오순도순
글마당
[초대글] 분류

♣中國名詩5. 詠史(영사)... 左思(좌사; 字 太沖)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中國名詩5. 詠史(영사)... 左思(좌사; 字 太沖)

<역사를 읊다>

皓天舒白日(호천서백일), 靈景耀神州(영경요신주).

列宅紫宮裏(열댁자궁리), 飛宇若雲浮(비우약운부).

峨峨高門內(아아고문내), 藹藹皆王侯(애애개왕후).

自非攀龍客(자비반용객), 何爲欻來游(하위훌래유)

被褐出閶闔(피갈출창합), 高步追許由(고보추허유).

振衣千仞岡(진의천인강), 濯足萬里流(탁족만리류).

 

* 藹藹; 숫자가 많은 모양. *欻欻; 갑자기. *出閶闔(출창합); 궁문을 나오다.

攀龍客(반룡객) 제왕을 따르며 벼슬을 구하는 사람.

千仞岡(천인강); 천인이나 되는 높은 산등성이. 인은 길이의 단위로 1인은 7척 혹은 8척이다.

許由 : 요임금 시대의 전설적인 은둔거사

 

[역사를 읊다]

하늘에 흰 해가 펼쳐져,

눈부신 햇살 신주를 비춘다.

황도에는 저택이 늘어서,

높은 집들 구름이 떠가 듯하다.

높고 높은 문 안에는,

수많은 사람들 모두 왕후라.

스스로는 권세를 좇는 사람이 아닐진대,

무엇하러 갑작스레 와서 노니는가?

갈옷을 걸치고 궁문을 나서서,

높은 걸음으로 허유를 좇으리라.

천길 높은 산언덕에서 옷을 털고,

만리를 흐르는 강에서 발을 씻으리라.

 

1.感想 ; 詠史는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을 노래한 내용이나 거기에 작자 자신의 이상과 포부를 깃들이는 한편 사회적인 모순과 정치적인 불평도 함께 표현한 것이다. 첫째 구절과 마지막 구절은 특히 스케일이 광대하여 장엄하기까지 하다. 밝은 해가 떠올라 신주(神州)을 밝게 비친다. 마치 높은 하늘에서 굽어보는 것 같다. 황도의 화려한 왕족들은 높고 큰 집에서 번듯하게 살고 있다. 그러나 시인은 기죽지 않는다. 사실 좌사(左思)는 한미한 집안의 사람이다. 자신은 '반용객(攀龍客)'이 아니라는 자기 규정으로 당당하게 갈옷을 걸치고 대궐문을 나서 높은 걸음으로 허유(許由)를 좇는다. 부귀영화를 탐하는 것을 으뜸으로 아는 세속의 문을 큰 걸음으로 성큼성큼 나와 새로운 세계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천인의 높은 산에서 옷을 벗어 훌훌 먼지를 털어내고, 만리를 흐르는 긴 강물에 발을 담그고 탁족을 즐기는 완전한 자유인이 된다.

 

2. 좌사(左思) 서진인(西晋人)으로 자는 태충(太沖)이고, 임치(臨淄: 지금의 산동성 임치현) 출신이며, 생몰 연대는 모두 미상이다. 그의 출신은 미천하였지만 집안은 대대로 유학을 업으로 하였으며, 어렸을 때부터 서예와 고금(鼓琴)을 배웠으나 모두 대성하지 못했다. 그후에 부친의 격려로 학문에 힘썼다. 서진 무제(武帝) 태시(泰始) 8(272)에 그의 누이동생 좌분()이 재명(才名)으로 궁중에 발탁되어 들어가게 되자 집을 낙양(洛陽)으로 옮겼다.

 

좌사는 일찍이 비서랑(秘書郞)과 사공제주(司空祭酒)를 역임하기도 하였고, 원강(元康) 연간(291299)에는 당시의 문인집단인 "이십사우(二十四友)"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며, 또 당시의 권세가 가밀(賈謐: 晉 惠帝 賈皇后의 조카)에게 한서(漢書)를 강론하기도 하였다. 혜제(惠帝) 영강(永康) 원년(300)에 가말이 피살되자 좌사는 의춘리(宜春里)로 가서 은거하여 전적(典籍)에 전념하였다. 후에 제왕(齊王) ()이 그를 불러 기실독(記室督)으로 삼으려 하자 그는 병을 핑계로 응하지 않았다. 태안(太安) 2(303)에 하간왕(河間王) ()의 부장 장방(張方)이 낙양에서 난동을 일으키자, 그는 집을 기주(冀州)로 옮겼으며, 몇 년 후에는 병사하였다.

좌사는 외모가 추하고 눌변이며 교우관계가 좋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는 10년 동안의 노력으로 <삼도부(三都賦)>를 완성하였는데, 당시에 이것이 얼마나 유명하였든지 귀족들이 그것을 다투어 베끼느라 일시에 낙양의 종이가 귀하게 되었다. 그러나 비록 당시의 문단에서는 그가 <삼도부>로써 영예를 얻었다고 할지라도, 문학적으로나 후세에 미친 영향적인 면에서는 오히려 <영사>시가 더 중시되고 있다.

현존하는 좌사의 작품은 부() 2편과 시 14수가 있으며, <삼도부><영사>시가 각각 그의 작품을 대표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