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漢詩47. 送秋日感懷(송추일감회) -金尙憲(김상헌)-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古典漢詩47. 送秋日感懷(송추일감회) -金尙憲(김상헌)-
送秋日感懷(송추일감회)
忽忽殊方斷送秋, 一年光景水爭流. (총총수방단송추, 일년광경수쟁류)
이역만리 가을도 덧없다마다, 한 해가 물살처럼 흘러가누나.
連天敗草西風急, 羃磧寒雲落日愁. (연천패초서풍급, 멱적한운락일후)
시든 풀 아른아른 바람 거세고, 포장막의 찬 구름 해는 저물어.
蘇武幾時終返國, 仲宣何處可登樓. (소무기시종반국, 중선하처가등루)
소무야, 어느 날에 돌아를 가노, 왕찬아, 망향대 어디이라냐.
騷人烈士無窮恨, 地下傷心亦白頭. (소인열사무궁한, 지하상심역백두)
원한에 사무친 시인과 열사, 저승에 가서도 머리 세오리.
[총총(忽忽)]; 문득, 갑자기,
[수방(殊方)]; 다른 장소, 이국(異國), 타국(他國),
[단송(斷送)]; 버림, 잃음,
(羃-덮을 멱, 씌울 멱, 磧-서덜 적, 냇가나 강가에 돌이 많은 곳, 여울 적)
[멱적(羃磧)]; 돌무더기처럼 생긴 천막, 청나라 병사의 막사,
[소무(蘇武)]; 한나라 무제(武帝) 때 사람으로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붙잡혀서 19년 동안 돌아오지 못하다가, 소제(昭帝)가 화친을 맺게 되자 귀국하였다. 절개를 지킨 사람으로 유명하다. 오언고시(五言古詩)의 창시자라고 알려져 있다.
[기시(幾時)]; 어느 때,
[중선(仲宣)]; 왕찬(王粲) 삼국시대 위(魏)나라 사람으로 조조(曹操) 때 사중(仕中)이 되었다. 박학다식(博學多識)하여 모르는 것이 없었다고 한다. 난을 피하여 형주에 있는 유표(劉表)에게 몸을 의탁하였으나 채옹(蔡邕)의 추천으로 나중에는 위(魏)나라를 섬기면서 높은 벼슬에 올랐다. 중선(仲宣)은 그의 자(字)이다.
[소인(騷人)]; 시인(詩人), 풍류객(風流客),
[백두(白頭)]; 머리가 희어지다,
1. 작자 소개
① 김상헌(金尙憲)은 조선조 선조, 효종연간의 문인으로 자(字)는 숙도(叔度)이고, 호(號)는 청음(淸陰)이다.
② 인조반정에 가담하지 않은 청서파(淸西派)의 영수로서 1624년에 다시 등용되어 대사간(大司諫), 대제학(大提學) 등을 거쳐 예조, 공조, 형조, 이조의 판서를 역임했다.
③ 친명파로 절의를 지켜 신망이 조야에 높았으며, 문집으로 「청음집(淸陰集)」이 전한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① 이 시는 시인이 심양의 옥에 갇혀 있을 때 고국을 생각하면서 지은 것인데 시인의 우국충정이 잘 묘사된 작품이다.
② 만리타국에 잡혀 와서 감옥살이를 하면서 덧없이 가을을 보내고 있으니 또 한해가 물살 흐르듯이 지나가고 만다.
③ 가을이 오니 풀은 이미 시들고 청나라 천막의 위로 해가 저물어가니 어느 때에나 조국에 돌아갈 것인가 하고 걱정하는 마음이 다음 구절에 묘사되고 있다.
④ 전련(轉聯)은 용사(用事)를 사용하여 자신의 충성과 절개가 변치 않음을 노래하고 있다.
⑤ 결련(結聯)에서는 우국지사는 죽어 황천에 가서도 그 원한을 잊지 못해 머리가 희게 될 것이라고 읊고 있다. 고국을 생각하는 충절은 죽어서도 변하지 않을 것이란 결연한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