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도순
글마당
[초대글] 분류

古典漢詩48. 試院作(시원작) -鄭斗卿(정두경)-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古典漢詩48. 試院作(시원작) -鄭斗卿(정두경)-

              試院作(시원작)

白雲蒼雲一萬重, 夜來寒雨滿池中. (백운창운일만중, 야래한우만지중)

흰 산에 검은 구름이 일만겹 쌓여있고, 밤사이 겨울비에 연못이 가득 찼네.

 

傍人莫怪冬雷動, 三十三魚變作龍. (방인막괴동뢰동, 삼십삼어변작룡)

세상 사람들아 겨울에 번개 친다고 이상히 생각지 마소,

33마리의 물고기가 변해 용이 된 것이노니.

 

[시원작(試院作)]; 이 작품은 호곡시화(壺谷詩話)에 실려 있는데, 작품의 이름은 없고 시험 삼아 지은 것이라고 하여 시원작(試院作)이라고 한다.

[창운(蒼雲)]; 검은 구름, 비를 몰고 오는 검은 구름,

[일만중(一萬重)]; 겹겹이 둘린 모양,

[삼십삼(三十三)]; 불교에서 말하는 欲界의 두 번째 하늘인 도리천(忉利天)을 말함,

 

1. 작자 소개

 

정두경(鄭斗卿)은 조선 선조, 현종 연간의 문인으로 자()는 군평(君平)이고, ()는 동명(東溟)이다.

 

1629년 별시문과에 장원하여 부수찬(副修撰), 직강(直講) 등의 벼슬을 지냈고,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을 거쳐 공조참판겸(工曹參判兼) 승문원제조(承文院提調)까지 올랐다.

 

시문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시조에도 관심을 가져 2편의 작품을 남겼고 문집으로 동명집(東溟集)이 전한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이 시는 채유후(蔡裕後)의 청에 의하여 지은 작품으로 호곡시화(壺谷詩話)에 실려 있다. 정두경의 시는 그 기운이 사해를 삼킬 정도로 굳세어서 태산북두와 같다는 평을 많이 듣는다.

 

기구(起句)는 흰 산에 검은 구름이 일만 겹으로 둘러쌌다는 표현은 하늘에서 벼락이 치듯이 힘이 있고 기상이 굳세다.

 

승구(承句)는 밤중에 오는 겨울비가 연못에 가득 찼다고 했으니 이 역시 앞구절을 이어 받은 호방한 기운이라고 할 수 있다.

 

전구(轉句)는 겨울에 우레가 친다고 사람들이여 괴이하다고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노래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도리천(忉利天)의 고기가 변해서 용이 된 것이기 때문이다.

 

결구(結句)는 다른 사람이 흉내 내기조차 어려운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우레를 하늘의 물고기가 변한 용으로 나타낸 것은 갠 하늘의 태양이 빛남과 같은 찬란한 표현이기 때문이다.

관련자료

댓글 1

이인규님의 댓글

괴이한 현상도 자연의 현상일 뿐 특이하게 생각할 것 없다고 해석한 작가의 해석도 분명 시비거리는 아니다.

그렇게 넘어가면 우선 편하다. 그러나 따지기를 좋아하는 이들은 언제나 지도자와 연결해서 해석하려 한다.

해석 때문에 민심이 요동하는 경우도 역사에는 많이 있었다.

해석에 따라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한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