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漢詩44. 過松江墓有感(과송강묘유감) -權韠(권필)-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古典漢詩44. 過松江墓有感(과송강묘유감) -權韠(권필)-
過松江墓有感(과송강묘유감)
空山木落雨蕭蕭, 相國風流此寂寥. (공산목락우소소, 상국풍류차적요)
빈산에 잎은 지고 비는 우수수 내리고,
재상의 풍류가 이처럼 적막하기만 하구나.
惆悵一盃難更進, 昔年歌曲卽今朝. (추창일배난갱진, 석년가곡즉금조)
너무나 슬퍼서 한 잔의 술을 올리기가 어렵구나,
옛날의 시가가 지금도 남아 있을 뿐이로다.
[소소(蕭蕭)]; 쓸쓸한 모양, 바람소리,
[상국(相國)]; 재상, 정철을 가리킴,
[적요(寂寥)]; 적막함, 고요하고 쓸쓸함,
[추창(惆悵)]; 근심하고 슬퍼하는 모양,
1. 작자 소개
① 권필(權韠)은 조선조의 문인으로 자(字)는 여장(汝章)이고, 호(號)는 석연(石淵)이다. 과거를 보지 않고 평생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여러 곳을 다니면서 문명을 떨쳤으며 이정구(李廷龜)가 중국의 문장가를 접빈할 때 야인(野人)으로 뽑혀 문명을 떨쳤다.
② 권필의 문장은 일세에 풍미하여 허균은 「성소복부고(惺所覆瓿藁)」에서 권필, 이안눌(李安訥), 조위한(趙緯韓), 허체(許締), 이재영(李再榮) 등을 세상에 보기 드문 문장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하면서 ‘전오자(前五子)’라고 불렀을 정도로 뛰어났다.
③ 문집으로 「석연집(石淵集)」이 전한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① 권필은 시적 재능을 하늘에서 부여받은 작가로 알려졌을 만큼 작품의 구성능력이 뛰어났다.
② 계곡 장유는 “석주의 시를 보면 그이 입에서 형상화되고 그의 눈앞에서 구성되는 모든 것이 시가 아닌 것이 없다.”고 말할 만큼 그의 시에 대해 찬탄을 금치 못했다.
③ 그는 세상에 대한 울분을 자기성찰을 통해 시로 표현하고 잘못된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을 서슴치 않았다. 결국 시로 인하여 광해군(光海君) 때에 죽음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④ 위의 시는 그의 스승인 정철의 묘를 지나면서 읊은 작품이다. 슬픔을 애절하게 노래하고 있으면서도 슬픔만을 나타내지 않고 그 슬픔을 정철이 남겨 놓은 문학 작품과 연결시켜 승화시키고 있다.
⑤ 첫째 구절은 정철의 시구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대문장가요 정치가였던 정철도 죽어서 묻히게 되면 한줌의 흙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 바로 인생이다. 그것을 빈산에 낙엽이 지고 비는 쓸쓸하게 내린다고 한 것이다.
⑥ 재상의 풍류가 하나의 무덤으로 적막하게 누워 있는 것을 보니 슬픔이 앞을 가려 한 잔의 술을 올리기조차 어렵다. 비록 몸은 죽어서 묻혔고 쓸쓸하게 누워 있지만 정철이 지었던 가곡만은 지금까지도 남아 있어서 여러 사람들에게 불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관련자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