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漢詩41. 三日浦(삼일포) -崔岦(최립)-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古典漢詩41. 三日浦(삼일포) -崔岦(최립)-
三日浦(삼일포)
晴峯六六斂螺蛾, 白鳥雙雙弄鏡波. (청봉육육렴라아, 백조쌍쌍농경파)
갠 봉우리 서른여섯 蛾眉를 여몄는 듯, 흰 물새도 쌍쌍이 鏡波를 어르는데.
三日仙遊猶不再, 十洲佳處始知多. (삼일선유유부재, 십주가처시지다)
예 사흘 놀던 신선, 여태 아니 돌아오니, 십주에 아름다운 곳 많은 줄을 알리라.
[청봉(晴峯)]; 맑은 산봉우리,
[나아(螺蛾)]; 멀리 바라보이는 푸른 산의 모양, 소라처럼 엉키고, 나비의 눈썹처럼 고운 선을 가진 산의 모습,
[경파(鏡波)]; 경포호의 물결,
[유(猶)]; 오히려,
[십주(十洲)]; 신선이 산다고 하는 조(祖), 영(瀛), 현(玄), 염(炎), 장(長), 원(元), 류(流), 생(生), 봉린(鳳麟), 취굴(聚窟)의 열 개의 섬, 여기서는 영주십경(瀛洲十景)을 말한 것임,
1. 작자 소개
① 최립(崔岦)은 중종, 광해군 연간의 문인으로 자(字)는 입지(立之)이며, 호(號)는 간이(簡易)이다.
② 문장력이 뛰어나 임진왜란 때는 외교문서를 도맡아 썼으며, 명나라에 사신으로 여러 번 가서 그 곳 선비들에게도 문장으로 이름을 얻었다. 최립(崔岦)의 문장과 차천로(車天輅)의 시, 한호(韓濩)의 글씨를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고 일컬었다고 한다.
③ 시(詩)에도 놀라운 솜씨를 보여 허균 같은 이는 최립의 글에 대하여 ‘세상에서는 문장이 시보다 낫다고 하나 실제는 시가 더 낫다.’고 할 정도였다.
④ 문집으로는 「간이집(簡易集)」이 전한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① 이 시는 시인이 강릉의 삼일포(三日浦)에서 놀며 그 곳의 경치를 읊은 것이다. 최립의 시풍은 누구에게서 배운 것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시처럼 공교한 말이나 어휘의 매끄러운 표현들이 적고 조금 거친 편이다. 그러나 타고난 글 재주와 천착력 때문에 힘이 있고 웅혼하다.
② 맑은 봉우리가 봉봉이 빼어나 마치 소라등과 같이 뒤틀려서 절경을 이루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나비의 눈썹같이 섬세한 모습을 한 봉우리도 있다. 삼일포에서 바라보는 경치를 별다른 수사 없이도 잘 표현하고 있다.
③ 두 번째 구절의 백구가 쌍쌍이 날면서 경포호의 물결을 희롱한다는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④ 전구에서는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 너무 많아 3일을 선경 같은 경치 속에서 놀았어도 중복되는 경우가 없다.
⑤ 결구에서는 영주십경(瀛洲十景)에 아름다운 곳이 많다는 것을 비로소 알 것 같다고 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