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도순
글마당
[초대글] 분류

古典漢詩35. 大隱巖(대은암) -崔慶昌(최경창)-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古典漢詩35. 大隱巖(대은암) -崔慶昌(최경창)-

 

門前車馬散如煙, 相國繁華未百年. (문전거마산여연, 상국번화미백년)

문 앞에 드나들던 귀인들 연기처럼 흩어지고,

상국의 영화도 백년은 가지 못하였구료.

[상국(相國)]; 제상, 정승,

 

深巷寥寥過寒食, 茱萸花發古墻邊. (심항요요과한식, 수유화발고장변)

시골 거리에는 조용하게 한식이 지나가고,

수유 꽃만 활짝 옛날 담장 가에 피었도다.

(-쓸쓸할 료, 텅 빌 료, -수유 수, -수유 유)

[심항(深巷)]; 깊숙한 샛길, 마을의 한적한 뒷길,

[요요(寥寥)]; 쓸쓸하고 고요한, 공허한 모양,

[수유(茱萸)]; 예향과의 낙엽 교목이나 그 나무의 열매, 중양절(重陽節)에 높은 산에 올라가서 이 열매를 머리에 꽂으면 마귀를 쫓는다고 한다.

[장변(墻邊)]; 담장의 귀퉁이, 담장의 가,

 

1. 작자 소개

 

최경창(崔慶昌)은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자()는 가운(嘉運)이며, ()는 고죽(孤竹)이다.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재주가 뛰어나 이이, 송익필 등과 함께 8문장으로 손꼽힌다. 또 그는 당시(唐詩)에 뛰어난 재주를 보여 백광훈, 이달과 함께 삼당파(三唐派) 시인으로 불린다.

 

문집으로는 孤竹遺稿가 있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최경창의 시는 남녀 간에 가지는 사랑의 감정과 하층민의 생활을 노래한 것이 많다.

 

위의 작품은 과거의 재상집을 지나면서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서 느끼는 시인의 감회를 차분하게 읊조리고 있다.

 

첫째 구와 둘째 구에서는 재상이 살았을 때 먼지를 일으키면서 드나들었을 사람들과 마차들이 재상이 죽은 후로는 연기처럼 흩어지니, 재상의 부귀영화가 백년을 가지 못한다고 노래하고 있다.

 

셋째 구와 넷째 구에서는 한식에 인적 드문 거리를 지나다 보니 수유꽃만 만발하여 있으니 인간의 부귀영화는 덧없음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는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공간을 비교하여 인생의 허무함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노래한 작품이다.

관련자료

댓글 1

이인규님의 댓글

인간의 영화가 어찌 수유 꽃만 못하리오만 때때로 그 무상함이 꽃 한송이 만 못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영화에 모든 것을 건다. 왜냐면 영화를 버리면 곧

죽음인 줄 알기 때문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