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漢詩36. 別李禮長(별이예장) -李達(이달)-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古典漢詩36. 別李禮長(별이예장) -李達(이달)-
桐花夜烟落, 海樹春雲空. (동화야연락, 해수춘운공)
밤 연기인 양 오동꽃은 지는데, 바닷가 나무는 촛가지 사이에서 봄빛을 자랑하네,
[운공(雲空)]; 포살미 집의 촛가지 널판,
芳草一盃別, 相逢京洛中. (방초일배별, 상봉경낙중)
풀밭에서 나누는 이별의 한잔, 만남의 한 잔을랑 서울서 함께 하세.
[경락(京洛)]; 임금이 사는 서울, 중국의 낙양(洛陽)에 도읍이 있었기 때문에 일컫는 말,
1. 작자 소개
① 이달(李達)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자(字)는 익지(益之)이며, 호(號)는 손곡(蓀谷)이다. 이담(李擔)의 후손이며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일찍부터 문장에 능하여 이름이 높았다.
② 이달은 어머니가 기생이었던 관계로 신분이 낮아서 세상에서 알아주지 않는 인물이 되었다. 그러나 그의 글재주는 놀라워서 백광훈, 최경창 등과 삼당파(三唐派) 시인으로 불린다.
③ 그는 우리나라의 대문장가인 허균을 가르친 사람으로도 높이 평가를 받는데, 형인 허봉을 찾아온 이달을 보고 허균은 처음에는 대단찮게 여기다가 시를 보고 놀라서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
④ 문집으로 「손곡집(蓀谷集)」이 전한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① 이달의 시는 천착력이 뛰어나고 표현이 간결하여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상쾌한 느낌을 준다. 위의 시도 이런 이달의 시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② 오동나무의 꽃이 밤의 연기에 떨어지고 바닷가의 나무는 포살미 집의 촛가지 사이에 봄빛을 자랑한다는 표현은 상쾌하면서도 깔끔한 표현이 아닐 수 없다.
③ 방초(芳草)에서 한잔 술로 헤어지니 서울에서 만나기를 바란다는 표현도 이별의 슬픔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면서도 시를 읽는 이로 하여금 이별의 슬픔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구절이다.
④ 짧은 작품 속에 이만큼 절실하게 이별의 정한을 담은 작품은 정지상의 <대동강(大同江)> 이래 흔하지 않은 일이라고 할 수 있다.
畵鶴(화학) 이 달(李 達)
獨鶴望遙空 (독학망요공)
夜寒擧一足 (야한거일족)
西風苦竹叢 (서풍고죽총)
滿身秋露滴 (만신추로적)
외로운 학이 먼 하늘 바라보며,
밤이 차가운지 다리 하나를 들고 있네.
가을 바람에 대숲도 괴로워하는데.
온 몸이 가득 가을 이슬에 젖었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