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眞伊의 무덤에서 지은 詩 ----- 林悌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黃眞伊의 무덤에서 지은 詩
조선 중기 때의 문인 임제林悌(1549, 명종 4~1587, 선조 20)의 자는 자순子順, 호는 백호白湖∙풍강楓江∙소치嘯癡∙벽산碧山∙겸재謙齋,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절도사 진晉의 맏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지나치게 자유분방하여 스승이 따로 없다가 20세가 넘어서야 성운成運을 사사하였다. 교속敎束에 얽매이기보다는 창루娼樓와 주사酒肆를 배회하면서 살았다. 젊어서는 얽매임을 싫어하여 기녀와 술자리를 즐기며 살았다. 23세에 어머니를 여의었고 이때 잠시 동안 술을 끊고 글공부에 뜻을 두었다. 과거에 몇 번 응시했으나 번번이 떨어졌다. 그로부터 계속 학업에 정진했으며『중용』을 800번이나 읽은 일은 유명한 일화이다.
1576년(선조 9) 28세에 속리산에서 성운을 하직하고, 생원·진사에 합격했다. 이듬해에 알성시에 급제한 뒤 흥양현감·서도병마사·북도병마사·예조정랑을 거쳐 홍문관지제교를 지냈다. 그러나 성격이 호방하고 얽매임을 싫어해 벼슬길에 대한 마음이 차차 없어졌으며 관리들이 서로를 비방 질시하며 편을 가르는 현실에 깊은 환멸을 느꼈다고 한다.
벼슬에 환멸을 느껴 유람을 시작했으며 가는 곳마다 많은 일화를 남겼다. 서도병마사로 임명되어 임지로 부임하는 길에 황진이의 무덤을 찾아가 시조 한 수를 짓고 제사지냈다가 부임도 하기 전에 파직당한 일과 기생 한우寒雨와 시조를 주고받은 일, 평양기생과 평양감사에 얽힌 일화도 유명하다. 이러한 일화로 인해 사람들은 그를 평가하길 기이한 인물이라고 했으며 또 한편에서는 법도에 어긋난 사람이라 했다. 그러나 당시의 상반된 평가와는 상관없이 그의 글은 높이 평가됐다.
그는 관직에 뜻을 잃은 이후에 이리저리 유람하다 고향인 회진리에서 1587년(선조 20) 39세로 죽었다. 죽기 전 여러 아들에게 “천하의 여러 나라가 제왕을 일컫지 않은 나라가 없었다. 오직 우리나라만은 끝내 제왕을 일컫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못난 나라에 태어나서 죽는 것이 무엇이 아깝겠느냐! 너희들은 조금도 슬퍼할 것이 없느니라.”고 한 뒤에 “내가 죽거든 곡을 하지 마라.”는 유언을 남겼다. 검劍과 피리를 좋아했고 술 마시고 방랑하며 여인과 친구를 사귄 짧은 삶이었다.
다음은 황진이의 무덤에서 지은 詩이다.
청초青草 우거진 골에 자는다 누웠는다
홍안红颜은 어디 두고 백골만 묻혔나니
잔盏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슬퍼하노라.
다음은 黃眞伊의 詩 두 편이다.
산은 옛산이로되 물은 옛물이 아니로다
주야에 흐르거든 옛물이 있을손가.
인걸人杰도 물과 같도다 가고 아니 오는 것은.
청산은 내 뜻이요 녹수는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어예어 가는고.
<詩 한수로 목숨을 건진 임제>
꽃피는 춘삼월 어느날 한양에서 술에 만취하여 수원 어느 주막까지 갔는데,
그 집 주모와 눈이 맞아 하룻밤을 동침하게 되었다.
그런데 그만 주모의 남편에게 발각되었다. 그 남편이 칼을 들고 들어와 죽이려고 하자, 이왕 죽을 바에야 詩나 한 수 짓고 죽겠으니 허락해 달라고 하였다.
남편이 허락하므로 즉석에서 詩 한 수를 지었다.
昨夜長安醉酒來(작야장안취주래) : 어젯밤 장안에서 술에 취해 여기오니
桃花一枝爛漫開(도화일지란만개) : 복승아 꽃 한 가지가 아름답게 피었네.
君何種樹繁華地(군하종수번화지) : 그대 어찌 이 꽃을 번화한 땅에 심었는가
種者非也折者非(종자비야절자비) : 심은者가 그른가 꺾은 者가 그른가.
<신윤복의 기다림>
백호는 詩를 다 적은 후에 이제 죽이라고 목을 내밀었다.
그 남편은 이 詩를 보고 요염한 복숭아꽃의 유혹, 그리고 꽃(마누라)을 쉽게 꺾을 수 있는 곳,
뭇 남자와 격의 없이 접촉할 수 있는 술집에 둔 자신의 잘못도 있음을 꼬집은 글귀에 감복하였다.
그는 임제의 호탕한 성품과 출중한 인품에 매료되어 술상을 들여와서 융숭한 대접을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잘못도 있음을 인정, 백호의 罪를 용서하였다.
시 한수 때문에, 파직을 당했고. 또 이처럼 목숨을 살리는 시를 보더라도....
임제는 조선 최고 풍류남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