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漢詩28. 洛東津(낙동진) -金宗直(김종직)-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古典漢詩28. 洛東津(낙동진) -金宗直(김종직)-
津吏非瀧吏, 官人卽邑人. (진리비롱리, 관인즉읍인)
나루터의 아전은 농의 아전이 아니요, 그 관리들은 바로 읍 사람이라네.
진리(津吏); 사공, 강을 건너는 배를 젓는 사람,
농리(瀧吏); 한유의 오언고시(五言古詩) <농리(瀧吏)>의 주인공, 이 시는 한유가 원화(元和) 4년 조주(潮州)로 좌천되어 가는 도중 농리(瀧吏)를 만나 문답한 내용을 시화한 것이다. 그러나 김종직의 작품에서는 자신이 좌천된 것이 아니라 병을 앓은 후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三章辭聖主, 五馬慰慈親. (삼장사성주, 오마위자친)
삼장(三章)으로써 성주를 하직하고, 오마 (五馬)로써 자친을 위로하네.
삼장사(三章辭); 세 번을 올린 辭表,
오마(五馬); 태수의 행차는 말 다섯 필이 끈다,
자친(慈親); 어머니,
白鳥如迎棹, 靑山慣送賓. (백조여영도, 청산관송빈)
흰 새는 배를 맞이하는 듯, 푸른 산은 손을 보내기에 익었구나.
여영도(如迎棹); 배를 맞이하는 듯하고,
관송빈(慣送賓); 늘 그렇듯이 손님을 보낸다, 무심하게 손님을 보낸다,
澄江無點綴, 待以律吾身. (징강무점철, 대이율오신)
맑은 강은 찍은 점이 하나 없거니, 그것으로 내 몸을 다스리리라.
점철(點綴); 점을 찍은 듯이 여기저기 이어져 있음, 더러운 것,
대이(待以); 그것을 가지고, 그것으로,
1. 작자 소개
① 김종직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자는 季昷(계온)이고, 號는 佔畢齋(점필재)이다. 학문과 문자에 뛰어난 재질을 보였으며, 성종(成宗)의 총애를 받았다.
② 사림파(士林派)인 영남학파의 종조가 되었으며 성종조에는 자기 문파의 사람들을 많이 등제시켰고, 기성세력인 훈구파와 맞서 개혁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③ 김종직은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것을 비판하는 입장에 섰는데, 일찍이 <조의제문(弔義帝文)>이란 글을 지어서 이를 비판했다. 김종직이 죽은 후 1498년에 그의 제자 김일손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장(史章)에 넣었다가 그것이 화근이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났으며, 김종직은 시체의 목을 자르는 부관참시(剖棺斬屍)의 형을 당했다. 이 사화로 많은 문인들이 죽었으며, 수많은 문집이 불살라졌다.
④ 문집으로는 「점필재집(佔畢齋集)」이 전한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① 김종직의 시는 화려한 기교나 표현을 쓰지 않고도 뜻이 넓고 맑아서 품격이 엄중하며 규모가 큰 것으로 평가받는다.
② 위시는 사대부의 맑고 깨끗한 심성과 의지가 잘 표현된 작품이다.
③ 첫째 연은 선산부사로 가는 도중 강을 건너면서 사공과 대화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부분은 좌천이 아니라 마땅히 부임해야 할 곳에 온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④ 둘째 연은 큰 병을 앓고 난 후이기 때문에 임금에게 세 번이나 표를 올려서 선산부사로 내려오게 되어서 어머니에 대한 효도를 하려고 한다는 것을 노래하고 있다.
⑤ 셋째 연은 강을 건거는 과정에서 물새가 날아가고 날아오는 것과 푸른 산이 지나가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군더더기 하나 없는 지극히 典雅(전아)한 표현이다.
⑥ 마지막 연은 시인의 정치사상과 생활태도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더러움 하나 없는 맑은 강물을 거울삼아 자신의 몸을 다스리면서 나라의 일을 하겠다는 시인의 포부를 간결하게 나타낸 것이다.
관련자료
정해관님의 댓글
승갑님! 지금 우리중에 어느 누구도 소개된 고전한시와 대작할 수 있는 실력은 기대난이라고 생각 합니다.
또 걸출한 현대시 작품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저 역시 詩를 지을 능력도 제대로 평가할 능력도 없지만, 소개된 작품들을 통해 당시의 역사와 시인의 됨됨이와 시가 나타내고자 하는 정서를 '공부'할 뿐입니다. 또 이렇게 연재하면서 제가 가장 크게 공부하고 있음을 실감합니다.
요즈음 매일 빠짐없이 개근하시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나 개성있는 견해를 표하셔서 공감을 일깨우시는 인규 목사님 큰 가르침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