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도순
글마당
[초대글] 분류

古典漢詩21. 陋巷(누항) -정총(鄭摠)-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古典漢詩21. 陋巷(누항) -정총(鄭摠)-

陋巷生涯只一瓢, 門堪羅雀前寥寥. (누항생애지일표, 문감나작전요요)

누항의 생애는 표주박 하나뿐, 참새 그물을 칠 만큼 문전이 아주 쓸쓸하네.

누항(陋巷); 좁고 더러운 뒷골목, 나작(羅雀); 참새 그물, 요요(寥寥); 적막한 모양,

 

樹頭病葉知秋下, 階面新苔挾雨驕. (수두병엽지추하, 개면신태협우교)

나무 끝의 병든 잎은 가을을 알아 떨어지고,

섬돌 위의 새 이끼는 비를 맞으면 으스대네.

지추하(知秋下); 가을을 알아서 떨어지고, 계면(階面); 섬돌 위,

협우교(挾雨驕); 비에 교만하게 우쭐거리다.

 

懶慢有如嵆叔夜, 醒狂或似蓋寬饒. (라만유여혜숙야, 성광혹사개관요)

게으르고 느리기야 혜숙이도 있었지,

깨고도 어린 듯하긴 개관요 비슷할까

나만(懶慢); 게으르고 여유 있는 것, 느릿느릿한 것,

혜숙야(嵆叔夜);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위()나라 사람인 혜강(嵆康)을 가리킴, 중국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노장사상(老莊思想)을 즐겨했다. 숙야(叔夜)는 혜강(嵆康)의 자()이다.

성광(醒狂); 술 깬 것처럼 몽롱하고 미친 것처럼 어리석음,

개관요(蓋寬饒); ()나라 사람인데 강직하기로 소문난 인물이다.

 

邇來三逕荒松菊, 五斗令人尙折腰. (이래삼경황송국, 오두령인상절요)

이즈음 세 길에 솔과 국화가 거칠어도,

닷 말 쌀에 지금 사람은 상기 허리 굽히데.

이래(邇來); 요사이, 이즈음, 근래,

삼경황송국(三逕荒松菊); 도연명(陶淵明)<귀거래사(歸去來辭)>에 나오는 말이다. ‘세 길이 비록 거칠었으나 솔과 국화는 아직 있도다.’라는 말에서 나온 말,

 

1. 작자 소개

정총(鄭摠)은 고려말(高麗末), 조선초(朝鮮初)의 정치가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정형(鄭珩)의 아들이다. 우왕 초()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사예(司藝), 이조판서를 거쳐 정당문학(政堂文學)까지 올랐다.

 

조선 초에는 정도전과 함께 고려사(高麗史)를 편찬하기도 하고, 태조(太祖)의 명에 의해 인출대장경원문(印出大藏經願文)을 지어 바치기도 하였다.

 

태조(太祖) 4(1395)에는 예문춘추관대학사(藝文春秋館大學士)로서 왕의 고명(誥命)과 인신(印信)을 줄 것을 청하려 명()나라에 갔다가 표사(表辭)가 불손하다는 이유로 임금에게 트집을 잡혀 대리아(大里衛)에 유배 도중 사망하였다.

 

문집으로는 복재유고(復齋遺稿)가 남아 있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이 시는 세상 사람들의 비굴함과 의리를 존중하지 않는 세태를 비판적으로 꼬집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承句의 나뭇잎이 떨어지는 것과 섬돌 위에 이끼가 파랗게 나는 것이 좋은 대()를 이루고 있다.

 

고사를 인용한 용사(用事)를 적절히 배합하고 있어서 시의 깊이를 한층 더해 주고 있다.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 글의 어투(語套)가 불손하다고 트집 잡힐 정도로 굽히기를 싫어하는 시인의 성격이 이 작품에 잘 드러나고 있다.

 

누항에서 가난하게 사는 시인에게는 참새 그물을 칠 만큼 대문 앞은 아주 쓸쓸하기만 하다. 그래서 나뭇잎은 가을이 온 것을 스스로 알아서 떨어지고 그와는 반대로 섬돌 위의 이끼는 빗속에서 우쭐대기만 한다.

 

그러나 아무리 어렵고 힘들더라도 시인은 의리를 저버리는 일 따위는 하지 않으며 부당한 요구에 대해서는 몸을 굽히지 않는다. 이 대목은 시인 자신의 세계관을 잘 보여주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의 세태는 그렇지 않으니 닷 말 쌀에 허리를 굽신거리며 아부하고 아첨을 하여, 쌀 닷 말 때문에 허리를 굽힐 수 없다고 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도연명의 고사를 새삼 생각하게 한다.

 

관련자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