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도순
글마당
[초대글] 분류

古典漢詩7. 使宋過泗州龜山寺(사송과사주귀산사)---박인량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古典漢詩7. 使宋過泗州龜山寺(사송과사주귀산사)---박인량

(송나라에 사신 가다 사주泗州 구산사에 들러)

巉巖怪石疊成山 (참암괴석첩성산) 험한 바위 괴상한 돌이 쌓여 산을 이루었는데

上有蓮坊水四環 (상유련방수사환) 산 위에는 蓮坊이 있어 물이 사방을 둘렀네

塔影倒江翻浪底 (탑영도강번랑저) 탑 그림자 강에 거꾸러져 물 아래에 번득이고

磬聲搖月落雲間 (경성요월락운간) 풍경소리 달을 흔들어 구름 사이에 떨어지네

門前客棹洪波急 (문전객도홍파급) 문 앞의 나그네 탄 배 물결이 급하기만 한데

竹下僧碁白日閑 (죽하승기백일한) 대나무 아래 스님은 한가로이 바둑 두고 있네

一奉皇華堪惜別 (일봉황화감석별) 황성에 사신으로 오가는 몸 이별이 서럽지만

更留詩句約重攀 (갱류시구약중반) 시를 한 수 써 두고 가며 다시 오기를 기약하네

 

1.작자 소개

박인량(朴寅亮)11세기 후반기에 활동한 고려 초기의 정치가로 자()는 대천(代天), ()는 죽산(竹山)이다.

 

1075년 요나라가 압록강 동쪽을 경계로 삼으려 하자 진정표(陳情表)를 지어 압록강을 경계로 할 것을 주장 하였다. 요나라 임금이 문장의 아름다움에 감탄하여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였다.

 

그의 문장은 우아하고 아름다워서 외국에 보내는 문서는 거의 그의 손에 의해서 만들어질 정도였다.

 

시인이며 정치가였기 때문에 중국에서도 많이 알려졌으며, 정지상(鄭知常)과 함께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손꼽힌다.

 

그의 시문집(詩文集)소화집(小華集)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에서 출판까지 될 정도로 유명했다.

 

신라시대의 설화를 모은 수이전(殊異傳)을 짓기도 하였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이 시는 중국에 사신으로 가는 도중에 귀산사 앞을 지나가면서 지은 작품이다.

박인량의 시는 시상이 맑고 어운(語韻)이 청결하다는 평을 듣는데 이 작품도 시인의 그런 시풍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특히 이 시에서는 전연(轉聯)의 대()가 가장 빼어나다. 절 앞을 지나는 시인은 사신으로 가는 길이기 때문에 바쁜 걸음을 재촉하면서 물결 따라 갈 수밖에 없는데, 이런 사정과는 상관없이 귀산사의 스님들은 한가로이 바둑을 두고 있는 것이다.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것, 바쁨과 한가함의 대비는 기막힌 절창이 아닐 수 없다.

승연(承聯)도 대구(對句)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시각적인 것과 청각적인 것이 대를 이루도록 짓고 있다. 절이 높이 있어서 그 곳에 있는 탑의 그림자가 물 위에 뒤집어져 비추이는 모습과 종소리는 달빛을 흔들면서 구름 속으로 떨어진다는 표현은 어느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박인량만의 재주라고 할 수 있다.

관련자료

댓글 1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