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漢詩6. 涇州龍朔寺閣(경주용삭사각)-朴仁範(박인범)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古典漢詩6. 涇州龍朔寺閣(경주용삭사각)-朴仁範(박인범)
翬飛仙閣在靑冥(휘비선각재청명) : 날아갈 듯이 절의 누각 하늘에 우뚝솟아
月殿笙歌歷歷聽(월전생가력력청) : 달나라 궁궐의 피리소리 또렷이 들리는구나.
燈撼螢光明鳥道(등감형광명조도) : 등불은 반딧불처럼 흔들려 좁고 가파른 산길 밝히고
梯迴紅影到巖扃(제회홍영도암경) : 사다리 길은 무지개 그림자 돌아 바위 문에 다다랐다.
人隨流水何時盡(인수유수하시진) : 사람은 흐르는 물 따라 흐르니 언제나 다 할런지
竹帶寒山萬古靑(죽대한산만고청) : 대숲은 산을 둘러 만고에 푸르구나.
試問是非空色理(시문시비공색리) : 옳고 그른 것, 공과 색의 이치 물어보려니
百年愁醉坐來醒(백년수취좌래성) : 평생의 취한 시름 앉자마자 깨는구나.
1. 작자 소개 : 박인범(朴仁範)
① 신라 말기의 학자로 唐나라에 유학한 사람인데 빈공과(賓貢科)에 급제 하였을 만큼 문장력이 뛰어났다.
② 신라로 돌아온 뒤에는 한림학사, 예부시랑 등의 벼슬을 하였고, 898년에는 명승 도선(道詵)의 비문을 지었다고 한다.
③ 전하는 작품으로는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칠언율시(七言律詩) 10수와 찬(贊) 2편이 있다.
④ 그는 시를 짓는 데 있어서 역사를 회고하고 고사를 다수 사용하는 편이었고, 특히 불교와 관계되는 작품이 많이 있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① 역사적 자취가 남아있는 요지(瑤池)의 깊은 산 속에 있는 용삭사(龍朔寺)를 대상으로 하여 지은 작품이다.
② 기(起句) : 용삭사가 매우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으로 시작한다.
③ 승(承句) : 인생의 어려움과 진리에 이르는 길을 상징적으로 묘사하여 많은 사람들의 칭 찬을 받은 부분이다.
④ 전(轉句) : 시상을 돌려 인생의 덧없음과 자연의 무궁함을 대구로 노래하였다.
⑤ 결(結句) : 불교의 교리를 통해 인생의 고뇌를 해결하려는 시인의 생각을 마무리하고 있다.
⑥ 이 작품은 중국의 『전당시(全唐詩)』에 수록되어 있을 만큼 명시(名詩)로 유명하다.
♣ 涇州 : 지금의 감숙성 경천현을 가르킴. 이곳은 周穆王이 西王母를 만나 잔치를 벌렸다는 瑤池를 말한다.
♣ 西王母 : 질병을 관장하는 여신
서왕모란 여신에 대한 이야기는 항아분월(嫦娥奔月)의 고사에도 약간 비친 바 있다. 그러나 서왕모의 전설은 각양각색이어서 하나로 통일되기는 어렵지만 [산해경(山海經)]이란 책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서왕모는 중국에서도 서쪽으로 멀리 옥산(玉山)이라는 산에 살고 있었다. 그 형상은 사람과 비슷하고 표범의 꼬리에 호치(虎齒)를 지녔으며, 휘파람을 잘 불고 봉발(蓬髮)에 화승(華勝-머리장식)을 꽂고, 천려와 오잔을 관장하는 여신으로서 질병의 신을 취체하는 임무를 띤 괴수(怪獸)와 같은 모습을 지닌 여신이었다. 이를 볼 때 겨우 봉발에 화승을 꽂았다는 것쯤에서 여성 비슷한 모습을 느낄 뿐이다.
그러나 서왕모는 후세에 이르러 기품있는 여신으로서 전해 내려왔다. 그리하여 동왕공(東王公)이라는 동방의 남신(南神)과 한 쌍이 된 여신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또한 후세에는 도교(道敎)의 신으로서 민중신앙의 대상으로도 되어 있다.
관련자료
정해관님의 댓글
저, 요즈음 글 올리는 재미로 삽니다.
한 때는 모그룹과의 논쟁으로 정신없이 글 쓰다가, 요즈음엔 동양고전 한시를 공부해 가면서 그 내용들을 카페(스마트한자)의 고정란으로 만들어주면서 게재해 달라는 요청이 있어 물만난 물고기처럼 신나게 되었답니다.
어느 면에서 타인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자신이 더 공부하지 않으면 안되는 이치를 터득하게 됩니다.
그 카페를 통해 외람되나마 아호도 갖게 되었습니다. 文輔(글월문. 참아버님 문+수레바퀴살 보. 도울 보)
앞으로 아호갖기 운동이라도 전개해볼 필요도 느낍니다. 동양의 좋은 전통이니까요....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