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독일의 대학의 교육제도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대학 (Universitaet/Fachhochschule)


독일의 교육제도(7)


대학 (Universitaet/Fachhochschule)


독일학생들은 졸업시험(Abitur) 성적에 따라 원하는 대학이나 학과를 지원하는데 여러 대학에 복수지원이 가능하다. 이때 몇몇 학과(법대 나 의 대 또 는 생 명 공 학 과 등 )의 경 우 인 원 제 한 (Numerus Clausus)이 있어서 성적이 나쁘면 그 해에 진학하지 못하고 대기자리스트에 올라가 자리가 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한다. 그러나 한국학생의 경우 독일학생들과 자리경쟁을 하는 것이 아니고 각 학과마다 정해져있는 외국인 쿼터제에 의해 다른 외국인학생들과 자리 경쟁을 하게 되므로 독일학생들보다는 입학이 수월한 편이다.

순수인문과학전공의 경우에는 마기스터(Magister; 석사에 준함), 응용자연과학의 경우에는 디플롬(Diplom; 석사에 준함) 학위, 사범대학,법학, 의학은 국가고시로 대학을 졸업한다. 최근 일부대학에서는 미국의 학사제도 (Bachelor)를 도입하여 학사학위로도 졸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서 독일대학에서 학사학위제도가 확대될 경우 한국과

마찬가지로 독일에서도 학사, 석사, 박사학위 취득이 모두 가능해 진다.

헤쎈주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있는 통합대학들의 경우 일반 종합대학교과정과 전문대학과정, 예술대학과정을 모두 한 대학에 유치하고 있어 최소 6학기를 수학하고 전문대학교 과정을 졸업하거나 최소 8학기 수학 후 일반 종합대학교 과정을 졸업할 수가 있다.


전문대학교 (Fachhochschule)

일반 종합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전문대학도 자율권을 향유하며 연방주가 운영하고 재정을 부담한다. 공학, 정보학, 경제/경영학, 사회복지 및 디자인 등 실용적이고 응용위주의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수강과목을 조정할 수 있는 종합대학과는 다르게 한 학기에 이수해야할 수강과목들이 정해져 있고, 수업과 병행하여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시험 및 그룹스터디 등을 통해 대개 4년 안에 학업을 마치도록 되어 있으며 졸업시 전문대학-디플롬을 취득하게 된다.

전문대학교에는 박사과정이 개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박사학위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합대학교에 지원해야만 한다.

전문대학의 교과과정 중 종합대학과 가장 큰 차이라면 실습기간이라 할 수 있는데, 교양과정 또는 전공과정에서 반드시 1~2학기의 실습을 하도록 하고 이를 성적에 반영하고 있어 학습과정내에 직업을 위한 준비를 하는 역할을 한다.


예술대학 (Kunsthochschule/Musikhochschule)

미술, 공연예술, 음악교육을 위한 실기위주의 예술대학으로 음악학이나 미술사와 같은 Abitur가 있고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실기시험에 합격해야 입학이 가능하며, 미술대학의 경우 자신의 작품들을 미리 입학지원신청기한내에 제출하고 실기시험에 참가 통보를 받은 후 시험을 치르고 입학통지를 받기도 한다.

수이론과목들은 종합대학교에서 전공할 수 있다. 예술대학도 국가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학기간은 일반적으로 7~10학기이며 졸업증서는 디플롬이나 각 대학총장이 발행한 졸업증서(Abschluss Zeugnis) 또는 마이스터슐러(Meisterschueler; 예술장인) 등을 취득하게 된다.

음악교사가 되려면 종합대학의 음악학 및 교육학 수강과목을 이수하고 국가고시를 통해 교사자격증을 취득해야만 한다.

Bachelor 와 Master, 어느 것이 현명한 선택인가
1267893702-22.jpg


소위 볼로냐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1999년, 전 유럽에 통일된 대학 학점 시스템과 학생들이 재학중에 대학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시스템을 2010년까지 만든다는 기치 아래 시행된 학사제도 (Bachelor)는 그동안 시행 과정에서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현재 46개국에서 공동으로 시행하고 있는데 독일내에서는 종전의 졸업을 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불리했던 일괄적인 석사제도에서 단시일내에 고등학교식의 대학 생활을 하는 학사및 석사제도로 바꾸는 것이 개혁의 목표였다. 학사를 위한 기간은 3년에서 4년으로 종전보다 더 빨리 직업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석사를 위해 다시 1년에서 2년 더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석사코스는 학사과정의 성적을 기준으로 입학이 결정된다.

2008년 학기를 보면 약 74% 입학생들이 학사코스에 등록을 했고 8%는 교사직에 그리고 18%는 “Klassisches Studium"에 등록을 했다. 여기는 학사과정이 인정되지 않는 의대, 법대 그리고 현재로 학사과정으로 바꾸지 않은 과목들이 포함된다. 독일 대학총장 협회에 의하면 80% 모든 전공과정이 이미 학사와 석사제도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러나 새 시스템은 학생들의 시험부담이 현저하게 높아졌고, 이수해야될 과목에 융통성이 없어서 자유로운 탐구분위기보다 고등학교식의 수업이 이루어진다고 교수들 사이에서도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금까지보다 학사과정이 경우에 따라 시간을 더 가질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독일내 대학의 재량에 따라 기간을 조절할 것도 고려중이다. 올 4월 중에 볼로냐 컨포런스가 열릴 예정이다.

1999년 이후 독일내 교육비에 관한 지출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올해는 사상 최고의 일 천억유로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연방 통계청에 의하면 대학졸업자에게 드는 교육비는 미용사나 수공업자의 직업교육비보다 삼분의 일이 더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종류에 따라 계산된 비용을 보면 하우프트슐레는 29,000유로, 레알슐레는 27,200유로 그리고 김나지움은 49,400유로의 순이다. 직업과 대학전공을 병행하는 듀엘시스템은 23,800유로, Fachhochschule는 평균 24,900유로이며 의대를 제외한 일반 대학을 졸업생은 34,000유로가 든다.

가장 비싼 직업교육은 아비투어를 한 후 직업교육을 이수하고 다시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로서 134,300유로가 든다. 이에 반해 가장 저렴한 방법은 레알슐레를 마치고 듀엘시스템으로 공부를 하는 것인데 이 경우 82,100유로가 든다.

사상 최대의 적자예산을 기록한 연정과 부채와 재정부족에 시달리는 지자체및 주정부가 높은 교육예산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 지는 아직 의문이다.

관련자료

댓글 1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