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梨花에 月白하고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이화
(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이화에 월백하고~ "로 시작되는 이조년(李兆年)의 시(詩)와 그 형제 이야기

이화에 월백하고 (梨花 月白)

                                                 이조년(李兆年)

梨花月白三更天 (이화월백삼경천)

啼血聲聲怨杜鵑 (제혈성성원두견)

眞覺多情原是病 (진각다정원시병)

不關人事不成眠 (불관인사불성면)

........................

銀漢이 三更인 제,

一枝 春心을

子規야 알랴만은

多情도 病인양하여

잠 못들어 하노라.

 

 

 

 

다정가(多情歌)

                                      이조년(李兆年)

하얀 배꽃 밝은 달빛, 은하수는 한밤인데
아직 남은 푸른 내 맘, 소쩍새가 어찌 알까
정 많음이 병이라서, 잠 못 들고 뒤척이네.

"다정가(多情歌)"라고 하는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시조다.

 


이조년(李兆年)은 고려후기의 문신이며(1269~1343, 호는 梅雲堂)

성주(星州)李氏 의 12世孫 이장경(李長庚)의 다섯째 아드님이다.

형제들의 이름이 독특하고 재미 있다.

 

 

맏형, 이백년(李百年),

둘째, 이천년(李千年),

셋째, 이만년(李萬年),

넷째, 이억년(李億年),

    다섯째, 이조년(李兆年) 이다.

 

百年, 千年, 萬年, 億年, 兆年 이다.

 

 

***************************************** 

 

 

* 형제투금(兄第投金)의 일화(逸話)

 

 

두 형제가 길에서 황금 두 덩이를 우연히 발견, 하나는 형이 갖고

다른 하나는 동생이 나누어 가지게 되었다. 배를 타고 강을 건너던

느닷없이 동생이 물 속으로 황금을 던져버렸다.


형이 깜짝 놀라, 왜 그랬냐고 묻자

황금을 본 순간, 형의 황금도 탐하려는 마음이 생겨서

강에 던져버렸다는 것이다.


이 말에 형도 감동하여,

형 역시 황금을 물에 던져버렸다고 한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 바로 이조년과 그의 형 이억년이다.

 

형제간의 아름다운 형제애를 다룬, 고교 한문 교과서에 실린

"형제투금(兄第投金)" 사연이 

 

 김동건 형제님이 메일로 보내준 것을

올려봅니다.

관련자료

댓글 3

조항삼님의 댓글

초장 '이화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인 제'에서는
이화·달· 백색 이미지를 통해 봄밤의 정경이 시각적으로 드러나며,
중장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야 알랴마는'에서는 피를 토하듯이
처절하게 우는 자규의 울음소리(청각적 이미지)를 통해 연상되는
고독과 애련의 심리적 이미지가 초장의 백색 이미지와
서로 호응하며 달밝은 봄밤에 잠을 못이루는 화자의 애상적인
정서가 효과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특히 '춘심(春心)'은 모든 시상(詩想)이 집중되는
핵심어로 자규도 알지 못하는 화자의 고독감과
충정심을 비유적으로 함축하고 있다.
 
종장 '다정도 병인양하여 잠못들어 하노라'에는
정서의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할 수 있는 배꽃과
자규(두견새) 등을 통해 작가가 느끼는
봄밤의 정감이 물씬 드러나 있다.

 

 

정해관님의 댓글

子規도 모른다는 '一枝 春心'이 뭔지 궁금합니다. 

이무환님의 댓글

이兆年!!다정가의 유래,,

이조년의 황금 투척!!

법정스님의 무소유의 심경!!

정말 교훈이 많군요

진심으로 감사 감축

합장 축원 아주~~~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