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을 사랑하여라, 인생은 오늘의 연속이다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오늘을 사랑하여라, 인생은 오늘의 연속이다
안병욱 숭실대 명예교수 별세
일찍이 생활에세이를 통해 지혜와 사색, 명상을 설파했던 안병욱(사진) 전 흥사단 이사장(숭실대 명예교수)이 7일 오전 별세했다. 93세.
1920년 평안남도 용강에서 태어난 고인은 일본 와세다대 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했다. 59년부터 85년까지 숭실대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이후 흥사단 이사장, 도산아카데미 고문,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이사 등을 두루 지냈다.
“산다는 건 길을 가는 것” 설파
고인을 우리 사회에서 ‘힐링 메시지의 원조’로 기억하는 이들이 많다. 숱한 에세이와 강연을 통해 삶과 인간에 대한 명상적 메시지를 풀어냈기 때문이다. 가령 ‘인생’과 ‘오늘’을 고인은 이렇게 연결지었다. “오늘을 사랑하여라. 오늘을 감사하여라. 오늘을 열심히 살아라. 오늘을 내 인생의 최초의 날이라 생각하자. 인생은 오늘의 연속이다.”
이런 글귀들은 젊은이들의 수첩 한 귀퉁이에 적히기도 , 누군가의 좌우명으로 자리잡기도 했다. 고인이 제시한 삶은 ‘생즉도(生卽道)’였다. 산다는 건 길을 가는 것이라고 했다. “생즉도다. 나에게 주어진 길을 성심성의를 다하여 열심히 가야하는 것이 인생을 사는 대원칙이다.”
그 길을 가면서 마주치는 ‘만남’ 도 강조했다. “인생은 너와 나의 만남이다. 만남이 없이는 인생이 있을 수 없다. 우리는 매일 친구를 만나고, 애인을 만나고, 스승을 만나고, 동료를 만나고, 또 가족을 만난다.” 그런 만남이 모여 삶이 된다고 했다.
독서도 만남의 연장선이었다. “독서는 인생의 깊은 만남이다. 우리는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인류의 위대한 스승들을 만나기 위해서다. 동시대인을 만나면서, 동시에 옛사람들과 만나야 한다.” 옛사람과 만나는 방법은 독서뿐이라고 했다. “옛사람을 만난다는 건 그들의 정신과 만나는 것이요, 그들의 사상 과 만나는 것이다. 그걸 통해 나의 자아가 심화 된다.”
사색과 열정의 삶, 명에세이 남겨
고인은 책 읽는 기쁨을 ‘법열(法悅·참된 이치를 깨칠 때의 기쁨)’이라 표현했다. “양서(良書)를 펴 보아라. 종교의 진리를 말하는 구도자의 음성도 들을 수 있다. 학문의 깊은 이치를 정성스럽게 전해주는 스승도 만날 수 있다. 예술의 황홀한 미(美)를 직감시키는 창조의 거장을 발견할 수도 있다. 시인의 음성에도 접할 수 있다. 우리는 만나야 한다. 책 속에서 훌륭한 스승을 만나야 하고, 위대한 혁명가를 만나야 하고, 사숙(私淑·직접 가르침을 받진 않았으나 마음으로 본받아서 학문을 닦음)하는 영웅을 만나야 한다.”
삶을 향한 고인의 태도는 사색적이고 열정적이었다. “책을 읽어라. 위대한 음성들이 조용히, 그러나 간절히 우리를 부르고 있다.” 그런 나지막함과 간절함이 고인의 에세이에는 늘 깔려있었다.
고인은 국민훈장 모란장, 제1회 숭실인상, 제3회 도산인상, 제8회 유일한상 등을 수상했다. 유족은 부인 김광심씨와 아들 동명(위스텍 사장)·동일(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 대표)·동규(한림대 경영대학원장)씨, 딸 정남씨, 사위 강홍빈(서울역사박물관장)씨 등. 빈소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10일 오전 9시. 장지는 강원도 양구군청에서 고인의 뜻을 기리고자 설립한 ‘시와 철학의 집’이다. 02-2072-2091. <중앙일보> 사람 사람에서
필자는 청소년기에 함석헌, 김형석, 이어령님과 안병욱님의 글을 많이 읽고 성장했다. 요즈음 아이들의 가치관 문제가 매우 우려된다고 하는데, 저 분들의 책을 좀 더 많이 읽힌다면 상당 부문 해소되지 않을까 생각 된다.
안교수님의 글의 특징은 특히 점층법과 열거법을 자주 애용하고 있었다고 회고된다. 존경하고 따르는 제자들이 많은 만큼 저 나라에서도 아름답고 행복한 영원의 삶이 되시리라 믿으며, 명복을 빈다.
점층법이란, 어떠한 글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의 비중이나 정도를 한 단계씩 높여서 뜻을 점점 강하게, 높게, 깊게 층을 이루어 독자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절정으로 이끌어 올리는 표현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독자를 설득하여 감동시키는 데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표현 대상이 더 커지는 경우 점층법이라 하고, 점점 작아지는 경우는 점강법이라 한다. 이 둘을 묶어서 그냥 '점층법'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많고... 다음에서 점층법의 예를 들어 본다.
(예)
* 신록은 먼저 나의 눈을 씻고, 나의 가슴을 씻고, 다음에 나의 마음의 모든 구석구석을 하나하나 씻어 낸다.
*유교의 목적은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에 있다
열거법 :서로 비슷하거나 같은 계열의 구절이나 그 내용을 늘어놓음으로써 서술하는 내용을 강조하려는 수사법이다. 부분적으로는 각각 다른 자격과 표현 가치를 가진 어휘로써 전체 내용을 강조하는 수사법이다.
(예)
*우리의 국토는 그대로 우리의 역사이며, 철학이며, 시이며, 정신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의 어머니.... 어머니, 벌써 아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잼','라이나 마리아 릴케'의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윤동주의 '별 헤는 밤'에서>
안병욱(安秉煜, 1920년 6월 26일 ~2013.10.08 )은 대한민국의 철학자이다. 호는 이당(怡堂)이며 평안남도 룡강군에서 태어났다. 1943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58<
관련자료
이존형님의 댓글
인생은 미래를 보고 가는 것입니다.
인생에서 미래를 기다릴 줄 모르는 사람은 오늘이 괴롭고 힘든 사람일 것입니다.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당나라의 어느 명승이 한 말이라고 하는군요.
날마다 좋은 날만 사는 사람들이라면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마냥 즐겁기만 할 것입니다.
그러나 어제가 힘들고 어려웠든 사람이라면 오늘의 연속인 내일을
즐겁게 기다리진 않을 것입니다.
내가 싫다고 연속적인 내일을 피 할 수가 있는 것도 아니요.
내가 좋다고 해서 마냥 좋은 내일만 만날 수도 없는 것이겠지요.
그렇지만 누구나가 보다 나은 내일을 기다리고
희망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역사는 이어져 가는 것일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한한 도전 속에서 나의 길을 열기도 하면서
큰 인물은 큰 족적을 남기면서 후대에 이렇게 큰 조명을 받기도 하는가 봅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