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변화시키는 아름다운 용기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노인학교에 나가서 잡담을 하거나 장기를 두는 것이
고작인 한 노인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장기 둘 상대자가 없어
그냥 멍하니 있는데 한 젊은이가 지나가다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냥 그렇게 앉아 계시느니 그림이나 그리시지요?"
"내가 그림을?
나는 붓잡을 줄도 모르는데 ....."
"그야 배우면 되지요?"
"그러기엔 너무 늦었어나는 이미 일흔이 넘었는걸"
"제가 보기엔 할아버지의 연세가 문제가 아니라,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할아버지의 마음이 더 문제 같은데요"
젊은이의 그런 핀잔은 곧 그 할아버지로 하여금
미술실을 찾게 했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일은 생각했던 것만큼 어렵지 않았으며
더욱 그 연세가 가지는 풍부한 경험으로 인해
그는 성숙한 그림을 그릴 수가 있었습니다.
붓을 잡은 손은 떨렸지만 그는 매일 거르지 않고 그림을 그렸습니다.
이 새로운 일은 그의 마지막 인생을 더욱 풍요롭게 장식해 주었습니다.
그가 바로 평론가인 '미국의 샤갈'이라고 극찬했던
'해리 리버맨'입니다.
그는 이후 많은 사람들의 격려 속에서
죽을 때까지 수 많은 그림을 남겼으며
백한 살, 스물 두 번째 전시회를 마지막으로 삶을 마쳤습니다.
사람의 인생은 언제 끝날지 모릅니다.
50'이나 60'이 된 사람들은 자신들이 이미 나이가 너무 많아
무엇을 새롭게 시작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오히려 남은시간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왜 하지 않을까요?
생각을 바꾸면 인생이 달라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미 늦었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습니까?
아무리 늦게 시작해도 시작하지 않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남보다 늦게 시작하려면 용기가 필요합니다.
'남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라든가,
'너무 늦지 않았을까?' 등의 생각은 떨쳐 버려야 합니다.
남들이 하지 못하는 것을 하는 사람,
남들이 포기해 버린 것을 하는 사람은 용기 있는 사람입니다.
관련자료
이창배님의 댓글
조항삼님의 글을 보니 더욱 용기가 납니다
지나간 과거를 돌이켜보면 통일원리가 아니었으면 어떻게됐을까 생각해봅니다
타락하지않고 正道를 갈수있게 사춘기에 말씀으로 잡아주지않았다면...
나를 낳은 부모를 거짓부모로 알고 참부모를 찾아 열심히 바르게 살려고 노력했지요
회갑을 넘긴 지금 돌이켜보면 너무너무 감사하고 고맙지요
모세가 가나안을 바라보며 들어가지 못하였으니 얼마나 원통하고 한이됐을까요
기원절을 앞두고 함께 맞이하지 못하고 영계에 가셨으니 그한이 크지않을까 생각하며
마지막 숨가쁘게 다이루었다 다이루었다하시고 성화하셨으니
우리가 마지막으로 다이루었다해야하지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