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깨 상깨 똥깨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유깨 상깨 똥깨
우리 사는 이 세상에 유쾌 상쾌 통쾌
밝은 날이 많았으면은 나는 나는 좋겠네.
우리 모두 가슴 속에 기쁨 희망 사랑
좋은 일들이 많았으면은 나는 좋겠네.
이왕에 사는 거 웃으며 사는 게 좋지.
어차피 사는 거 즐겁게 사는 게 좋지.
그까짓 거 걱정 그까짓 거 고민 다 그냥 던져버리고
크게 한 번 웃어 보는거야.
유쾌하게 살자 상쾌하게 살자. 통쾌하게 살자구
가슴 쫙 펴고 사는거야.
이상은 요즈음 새롭게 뜨고 있는 정의송 작사 . 작곡, 소 명 노래 "유쾌 상쾌 통쾌"라는 유행가 가사인데 이 노래가 나를 대단히 즐겁게 하고 있다.
우리집에는 천안 시내에 살고 있는 한.일국제축복가정 일본 부인들이 자주 놀러 온다. 그들 가운데는 1주일에 한 번씩 열리는 노래교실에 가서 한국노래를 배우는 이들이 몇 명 있다. 그들이 우리집에 들리는 날은 웃음꽃이 핀다. 요즈음은 특히 "유쾌 상쾌 통쾌"를 신나게 불러 우리집 분위기를 그야말로 유쾌, 상쾌, 통쾌하게 만들어 준다.
일본말은 50음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노력해도 우리 한국말처럼 다양한 발음을 내지 못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어려운 것이 있다. 일본사람들은 'ㅇ' 발음이 두 개 겹치면 반드시 하나는 'ㄴ'으로 발음 한다. 그래서 '공장'이 곤장'이 되고 '광장'이 '관장'으로 변한다. 또 'ㅌ'을 언제나 'ㄸ'으로 발음하는 바람에 '통일'이 '똥일'이 되기도 한다.
이런 글자는 수 십번 수백 번 교정을 해 주어도 좀처럼 그 발음이 고쳐지지 않는다. 마치 경상도 사람들이 '쌀'을 '살'이라고 하여 웃기는 것과 같다. 일본사람들은 또 '쾌'발음이 잘 되지 않는다. 몇 번씩 따라하라고 하고 반복적으로 가르쳐 주면 "구찌가 마와라나이."라고 말한다. 입이 잘 돌아가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러다 보니 '유쾌' '상쾌'는 '유깨' '상깨'가 되고, '통쾌'는 아예 '똥깨'가 되어 버린다.
이런 경우는 교정해 주겠다는 생각을 아예 포기해 버리는 게 상책이다. 괜히 발음을 교정해 준다고 하다가 주눅이 들게 하거나, 분위기를 깨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발음교정을 해 주려 애쓰다가 "차라리 나오는 대로, 그냥 그대로 즐겁게 부르는 게 좋겠다."고 하였더니 박장대소를 하고는 아까보다도 더 큰 소리로 합창을 한다.
유깨 상깨 똥깨~
이왕에 사는 거 웃으며 사는 게 좋지.
어차피 사는 거 즐겁게 사는 게 좋지.
사실 일본 부인들의 서투른 발음이 더욱 웃음을 자아내어 엔돌핀이 많이 돌게 한다.
한국사람이 제대로 발음하는 노래 소리보다 훨씬 더 분위기를 유쾌하게 만들어 준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괜히 않되는 발음을 억지로 고쳐준다고 끼어들어 스트레스를 주고 판을 깨서야 되겠는가! 아서라. 어차피 사는거 즐겁게 살도록 그냥 놔두는 게 좋지 않은가!
유깨 상깨 똥깨~ 유깨 상깨 똥깨~ 유깨 상깨 똥깨~
관련자료
푸른빛님의 댓글
"스바루'는 내 애창곡이 올시다.
다니무라 신지는 참아버님께서도 한 때 좋아했던 가수고..........
우리 교회도 좀 나왔었죠, 아마.
메오 도지데 나니모 미에주
가나시쿠데 메오 아케레바(중략)
아아~ 이쯔노 히까
다레까가 고노 미찌요.
아~아~ 이쯔노 히까
다레까가 고노 미찌요.
와레와 유꾸 아오지로끼 호호노 마마데~
와레와 유꾸 사라바 스바루요
사라바 스바루요~~~~
일본식구들 발음 교정 아무리 해 줘도 안되는 사람이 있어요.
그 대표적 인물이 우리집 옆지기라오. ㅋㅋㅋ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