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후배사랑 게시판

장인 장모와 사위 사이의 호칭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115807134B8B238E4FA818 205807134B8B238E5073BC

장인 장모와 사위 사이의 호칭

나에게는 사위가 둘이 있다. 큰 사위는 나를 부를 때 언제나 '아버님'이라고 하고 둘째사위는 '장인어른'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장인을 '아버님'이라고 하는 말이 일반적으로 통용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는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잘못된 말이다. 그러나 나는 '아버님'이란 호칭이 제대로 부르는 '장인어른'이란 단어보다 오히려 더 정감 있게 느껴진다. 가족관계나 친척관계에 있어서 '어른'이란 호칭이 붙은 단어는 사돈(査頓)어른, 사장(査丈)어른 등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둘째사위가 나에게 '장인(丈人)어른'이라고 부르면 사돈관계처럼 어딘가 좀 거리감이 있는듯 느껴진다.

'장인어른'이란 말은 최고의 존경어이다. '장인(丈人)의 장(丈)은 '어른 장'이다. 그러니 '장인어른'은 어른이란 의미가 두 개 겹쳐 '어른 중의 어른'이 되는 셈이다. 조부모. 부모. 숙부. 숙모, 외숙부.외숙모, 당숙.당숙모 등으로 부르는 것처럼 아내의 어머니가 '장모(丈母)'라면 아내의 아버지는 '장부(丈父)'라고 해야할 것 같은데 유독이 장인이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요즈음 젊은이들은 대부분 자기의 친부모를 부를 때는 '아버지' '어머니'라고 하고, 사위가 장인 장모를 부를 때나 며느리가 시부모를 부를 때는 "아버님' '어머님'이라며 꼭 '님'자를 붙인다. 가정의례준칙에서 이렇게 규정한 바 없으나 사회통념상 그렇게 되어 버렸다. 그것은 부모와 자녀 간에는 예(禮)와 경(敬)보다 친(親)함이 앞서기 때문이며, 시부모와 며느리, 장인 장모와 사위 사이는 혈연(血緣) 관계가 아닌 결연(結緣) 관계이므로 친함보다 공경과 예절이 앞서기 때문이리라.

장인이 사위를 부를 때는 성(姓) 밑에 '서방'이란 단어를 붙여 '이서방, '박서방' 등으로 부른다. 중국에서는 '서방(書房)이라고 하면 서점(書店)과 함께 책을 파는 집이라는 뜻으로만 쓰인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자고이래 우리나라가 다른나라에 비해 유난히 학문을 숭상하는 나라이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우리나라의 '서방'이란 뜻은 ‘남편’을 낮추어 이르는 말, 성에 붙여 사위나 매제, 아래 동서 등을 이르는 말, 벼슬이 없는 사람의 성 뒤에 붙여 이르는 말로 쓰인다.

서방에 '님'을 붙여 서방'이라고 하면 ‘남편’의 높임말, 결혼한 시동생을 이르는 말로 쓰이고 있고, 예전에는 평민이 벼슬 없는 젊은 선비를 부르던 말로도 쓰였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서방'은 책방에 파뭍여 글공부를 하는 사내, 또는 그런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단어가 이닌가 싶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교육열이 높은 문명국가가 된 것은 바로 너나할 것 없이 모든 남자가 서방이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요즈음 우리 두 사위는 직장 일, 비즈니스에 바빠 일년에 책을 몇 권이나 읽는지 모르겠다. 아무리 바빠도 촌음을 아껴 책을 읽어가며 살아야 하는데 좀처럼 독서의 기미를 느낄 수 없다. 하루에도 몇 번씩 전화를 걸어 김서방(金書房), 도서방(都書房) 불러주면 책을 많이 읽을까!!!

관련자료

댓글 18

푸른빛님의 댓글

색시가 이쁘면 처가댁 말뚝을 보고도 절을 한다는
속담은 이미 천하가 다 아는 내용이고요,
난 사돈댁이 감사하여 그 앞에 절을 하고 싶은 심정을 느낀 답니다.
정현씨는 나중에 아들딸을 결혼시키고 좋은 사돈댁을 만나면
지금 내가 한 말의 의미를 느끼게 될 것입니다.

문정현님의 댓글

학습의 장이 되어갑니다.
웃고 갑니다. 사위가 둘씩이나
되시는 장로님은 참 좋겠습니다.

색시가 이뻐면 처가댁 말뚝 보고도
절을 한다는디......

푸른빛님의 댓글

맞습니다. 맞아요.
내용을 알고나면 사위 성 밑에 "서방'을 붙여
김서방, 박서방하고 부르는 것이 아주 정겹게 느껴진답니다.
다음에 만나면 꼭 그렇게 불러 보세요. ㅋㅋㅋ

이존형님의 댓글

저의 집에도 사위가 둘이나 생겼습니다.
처음에는 이름을 불렀는데 손자를 보니 손자의 이름을 붙혀서
형진이아빠라고 불렀는데 이제는 좀 고쳐야되겠다라고 생각합니다.

그 잘만 부르면 아주 정감이 듬뿍담긴 그런의미의 말이될 것 같습니다.

푸른빛님의 댓글

일본에서는 남에게 자기의 장인 장모,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이야기 할 때는
기리(義理)노 오토우상, 오까상이라고 하지요?
의리를 중시하는 국민답게 장인 장모와 시부모를 모두
의리의 아버지, 의리의 어머니란 뜻으로 호칭 하는 것이 일본 답다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푸른빛님의 댓글

사회의 변화와 함께 많은 단어가 소리없이 사라지고
또 새롭게 생겨나곤 합니다.
결혼을 하고 아기를 낳고서도 자기의 남편을 오빠라고 부르는 것 등은 문제가 있으나
장인 장모, 시부모를 아버님 어머님이란 호칭으로 부르는 것은
생각하기에 따라 바람직할 수 있다고 봅니다.
물론 절대 다수의 대상 앞에서는 객관적 표현을 써야 하겠지만...........

문정현님의 댓글

언어학자의 밥그릇 까지 걱정하시는 총장님
복 많이 받으셔요.
시대의 흐름과 유행어는 자연스럽게 정착되고
이해 받게 되지요.

우리나라 호칭이 복잡한거지 이 동네는
아주 심플합니다....ㅋㅋ
촌수 이름이 없당께요.

정해관님의 댓글

존경하는 고박사님의 의미있는 지적에 감사드립니다.
주지하시는 바와 같이 말은 '생명력'이 있어 언중에 따라 항상 변하는 현상을 접하게 됩니다.
정보사회의 특성 답게 특히 요즈음에는 빨리 그리고 다양하게 변하는 모습을 봅니다.
그런 현상이 때로는 우려되기도 하지만, 자연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고 생각 합니다.
그런 현상들이 없다면, 아마도 언어학자들이 굶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부인하기도 어렵지 않나 그리 생각 되기도 해서, 그런 변화에 뒤쳐지지 않도록 눈과 귀를 열어야 할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푸른빛님의 댓글

그래요, 오순도순이 참 좋군.
이렇게 현해탄을 넘나들며 자주 만날 수 있으니 말이요. ㅋㅋㅋ
알랑드롱같이 핸섬한 애처가 신랑 잘 게슈?
모범가정, 훌륭한 부모 슬하에서 잘 자라는 애들............
그래도 딸램이는 질투가 심할껄요.
여자의 질투는 타락성 근성이 아닌 창조본성이니까. ㅎㅎㅎ

문정현님의 댓글

재미있습니다.
시원한 풍광이 열리는 카페에
마주 앉은듯 하옵니다.

진도가 너무 나가면 어지럽사옵니다.
문연아짱!~ 질투가 심한편입니더... ㅎㅎ

푸른빛님의 댓글

문정현씨 사위는 너무 행복할꺼요.
사위에 대한 장모 사랑이 지극해서.........
딸이 질투하지 않을 정도로 조절 하시길.............^&^

문정현님의 댓글

미래에 사위자리가 내게 어머님 어머님 하면
우리 아들이 샘통이 날거 같아요.

어머니 어머니라 불러도 좋겠지만 내 아들과
구분을 시켜야하니까 장모님 하이세... ㅋㅋ
김치국 참 시원합니더.

푸른빛님의 댓글

아이들은 부지불식 간에 부모의 모든 것을 따라하게 되는 법이니
아이들은 부모의 거울이 되는 셈이 아닌가!!!

공적인 자리나 타인에게 이야기 할 때는 장인 장모라고 하고
개인적인 석상에서는 어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면 좋을듯 하다는 생각이 드네.

글만 쓰면 딱딱하고 읽기에도 부담이 되는듯하여 사진을 올렸지..........^&^

고종우님의 댓글

몰라서 실수하고 알면서도 잘못하고
부부간에 경어 잘쓰고 사는이들 다시 봐지더군요.
어떤 가정에 전화하면 자녀들이 예의지키며 전화 잘 받으면
교육 잘 시켰구나 생각 듭니다.

그러나 사위들이 아버님 어머님 하면 정겹고 좋던데
장모님으로 부르라는 말 않고 그냥 살래요.
그러나 본뜻은 한번 이야기 하겠습니다.

신애부부, 미춘이부부 , 여기서 보니 많이 반갑습니다.

푸른빛님의 댓글

정현씨도 머지않아
장모님~어머님 소리 들을 꺼요.
뭐, 오래 기다려야 한다구요?
세월 잠간이더라구.................

굴쿠 말구요. 어떤 가정이든 2세커플 모두 감동적이죠.
3세는 더할 겁니다. 기대와 희망을 걸고 삽시다.

문정현님의 댓글

아버님 !~
장인어른 !~
각각 호칭을 달리 받으시니 이런 글감도 나오고
좋습니다.

2세 커플사진은 언제 봐도 감동입니다.
참 잘 어울리는 두 공주님 사랑 많이 실천하이소.

푸른빛님의 댓글

조항삼님 반갑습니다.
혜안과 좋은 지적 감사 하구요...........
우리는 문명사적 대전환기 속에 살아 갑니다.
역사적 대전환기에는 새로운 패라다임이 나타 납니다.
이것은 일정한 기간을 거치면서 다듬어지고 바람직한 것으로 정착되어 갑니다.
이같은 현상은 물리적 힘으로는 임의로 제어 할 수 없습니다.

조항삼님의 댓글

혈연과 결연관계의 칭호에 있어 시대상의 변화한 모습을 잘 정리 지적 하셨네요.
사위가 장인어른에게 "아버님"이라고 하는 표현은 무척 정겹고 듣기야 좋지만
결코 바람직한 표현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고루한 생각이라고 할는 지는 모르지만 의례준칙은 잘 지켜져야 혼선이 오지
않고 간혹 시속의 변화에 따라 순화된 어휘로 승화될 수는 있다고 생각되네요.

지난 일요일 광고 시간에 2세 상대매칭 몇 커플이 앞에 나가서 소개를 하는 데
한 커플이 00오빠와 매칭이 되어 마음이 기쁩니다란 말을 하는 것이 왠지 모르게
부자연스럽게 들렸습니다.

공중파 방송에서 젊은 커플들이 남편을 "아빠"라고 하는 표현 등 근간이 무너지는
듯한 묘한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