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 장모와 사위 사이의 호칭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장인 장모와 사위 사이의 호칭
나에게는 사위가 둘이 있다. 큰 사위는 나를 부를 때 언제나 '아버님'이라고 하고 둘째사위는 '장인어른'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장인을 '아버님'이라고 하는 말이 일반적으로 통용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는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잘못된 말이다. 그러나 나는 '아버님'이란 호칭이 제대로 부르는 '장인어른'이란 단어보다 오히려 더 정감 있게 느껴진다. 가족관계나 친척관계에 있어서 '어른'이란 호칭이 붙은 단어는 사돈(査頓)어른, 사장(査丈)어른 등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둘째사위가 나에게 '장인(丈人)어른'이라고 부르면 사돈관계처럼 어딘가 좀 거리감이 있는듯 느껴진다.
'장인어른'이란 말은 최고의 존경어이다. '장인(丈人)의 장(丈)은 '어른 장'이다. 그러니 '장인어른'은 어른이란 의미가 두 개 겹쳐 '어른 중의 어른'이 되는 셈이다. 조부모. 부모. 숙부. 숙모, 외숙부.외숙모, 당숙.당숙모 등으로 부르는 것처럼 아내의 어머니가 '장모(丈母)'라면 아내의 아버지는 '장부(丈父)'라고 해야할 것 같은데 유독이 장인이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요즈음 젊은이들은 대부분 자기의 친부모를 부를 때는 '아버지' '어머니'라고 하고, 사위가 장인 장모를 부를 때나 며느리가 시부모를 부를 때는 "아버님' '어머님'이라며 꼭 '님'자를 붙인다. 가정의례준칙에서 이렇게 규정한 바 없으나 사회통념상 그렇게 되어 버렸다. 그것은 부모와 자녀 간에는 예(禮)와 경(敬)보다 친(親)함이 앞서기 때문이며, 시부모와 며느리, 장인 장모와 사위 사이는 혈연(血緣) 관계가 아닌 결연(結緣) 관계이므로 친함보다 공경과 예절이 앞서기 때문이리라.
장인이 사위를 부를 때는 성(姓) 밑에 '서방'이란 단어를 붙여 '이서방, '박서방' 등으로 부른다. 중국에서는 '서방(書房)이라고 하면 서점(書店)과 함께 책을 파는 집이라는 뜻으로만 쓰인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자고이래 우리나라가 다른나라에 비해 유난히 학문을 숭상하는 나라이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우리나라의 '서방'이란 뜻은 ‘남편’을 낮추어 이르는 말, 성에 붙여 사위나 매제, 아래 동서 등을 이르는 말, 벼슬이 없는 사람의 성 뒤에 붙여 이르는 말로 쓰인다.
서방에 '님'을 붙여 서방님'이라고 하면 ‘남편’의 높임말, 결혼한 시동생을 이르는 말로 쓰이고 있고, 예전에는 평민이 벼슬 없는 젊은 선비를 부르던 말로도 쓰였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서방'은 책방에 파뭍여 글공부를 하는 사내, 또는 그런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단어가 이닌가 싶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교육열이 높은 문명국가가 된 것은 바로 너나할 것 없이 모든 남자가 서방이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요즈음 우리 두 사위는 직장 일, 비즈니스에 바빠 일년에 책을 몇 권이나 읽는지 모르겠다. 아무리 바빠도 촌음을 아껴 책을 읽어가며 살아야 하는데 좀처럼 독서의 기미를 느낄 수 없다. 하루에도 몇 번씩 전화를 걸어 김서방(金書房), 도서방(都書房) 불러주면 책을 많이 읽을까!!!
관련자료
정해관님의 댓글
주지하시는 바와 같이 말은 '생명력'이 있어 언중에 따라 항상 변하는 현상을 접하게 됩니다.
정보사회의 특성 답게 특히 요즈음에는 빨리 그리고 다양하게 변하는 모습을 봅니다.
그런 현상이 때로는 우려되기도 하지만, 자연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고 생각 합니다.
그런 현상들이 없다면, 아마도 언어학자들이 굶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부인하기도 어렵지 않나 그리 생각 되기도 해서, 그런 변화에 뒤쳐지지 않도록 눈과 귀를 열어야 할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조항삼님의 댓글
사위가 장인어른에게 "아버님"이라고 하는 표현은 무척 정겹고 듣기야 좋지만
결코 바람직한 표현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고루한 생각이라고 할는 지는 모르지만 의례준칙은 잘 지켜져야 혼선이 오지
않고 간혹 시속의 변화에 따라 순화된 어휘로 승화될 수는 있다고 생각되네요.
지난 일요일 광고 시간에 2세 상대매칭 몇 커플이 앞에 나가서 소개를 하는 데
한 커플이 00오빠와 매칭이 되어 마음이 기쁩니다란 말을 하는 것이 왠지 모르게
부자연스럽게 들렸습니다.
공중파 방송에서 젊은 커플들이 남편을 "아빠"라고 하는 표현 등 근간이 무너지는
듯한 묘한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