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 별 ^^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닿을 수 없는 거리는 그리움을 낳고,
메울 수 없는 거리는 외로움을 낳는다.
바라는 보아도 품을 수 없는 것들은 사무침으로 다가온다.
가까이 있다가 멀어지면 그 거리만큼 눈물이 흐른다.
이별의 강은 그래서 마르지 않는다.
한 생의 황혼에 서면 불러도 대답 없는 이름들이 또 얼마나 많은가.
울수록 이별의 슬픔은 배가(倍加)된다. 여든을 눈 앞에 두고 상배(喪配)한 김춘수 시인(1922~2004)의 사무침이다.
"조금 전까지 거기 있었는데/
어디로 갔나/
밥상은 차려놓고 어디로 갔나/
넙치지지미 맵싸한 냄새가/
코를 맵싸하게 하는데/ 어디로 갔나/
이 사람아 갑자기 왜 말이 없나.
" 2년 전에 사별했지만 아내는 아직도 밥상을 차려놓고 어디로 잠시 외출한 듯하다.
불러도 대답이 없자 노시인은 풀이 죽고, 가슴엔 빗발이 퍼붓는다.
피를 나눈 형제와의 이별도 목이 멘다.
한 가지에서 태어났지만 죽음은 선후를 가리지 않는다.
"어느 가을 바람에 여기저기에 떨어지는 나뭇잎처럼,
한 가지에서 나고서도 네가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 먼저 간 누이를 기린 신라 월명스님의 '제망매가(祭亡妹歌)'는 천년 세월을 메아리진다.
이별 중에서도 가장 비통한 것은 생전에 자식을 잃는 것이다.
허난설헌의 곡자(哭子)는 창자를 끊는다.
"지난해 사랑하는 딸을 잃고, 올해는 사랑하는 아들 잃었네(去年喪愛女 今年喪愛子) 슬프디 슬픈 광릉 땅이여,
두 무덤이 마주보고 있구나(哀哀廣陵土 雙墳相對起).
" 두 아이의 무덤 앞에 선 허난설헌은 유령과도 같다.
"너희 넋은 오누이임을 알지니,
밤마다 서로 쫓으며 놀고 있으리"라는 대목에서 그녀의 통곡은 이 세상 모든 부모의 통곡이 된다.
관련자료
-
첨부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