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일기]
분류
^^어느 노 부부^^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어느 노부부의 처절한 인생
우리 부부는 조그마한 만두 가게를 하고 있습니다. 손님 중에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매주 수요일 오후 3시면 어김없이 우리 만두 가게에 나타나는 겁니다. 대개는 할아버지가 먼저 와서 기다리지만 비가 온다거나 눈이 온다거나 날씨가 궂은 날이면 할머니가 먼저 와서 구석자리에 앉아 출입문을 바라보며 초조하게 할아버지를 기다리 곤 합니다. 두 노인은 별말 없이 서로를 마주 보다가 생각난 듯 상대방에게 황급히 만두를 권하다가 눈이 마주치면 슬픈 영화를 보고 있는 것처럼 눈물이 고이기도 했습니다. 대체 저 두 분은 어떤 사이일까? 나는 만두를 빚고 있는 아내에게 속삭였습니다. 글쎄요. 부부 아닐까? 부부가 뭐 때문에 변두리 만두 가게에서 몰래 만나요? 허긴 부부라면 저렇게 애절한 눈빛으로 서로를 바라보진 않겠지. 부부 같진 않아.” 혹시 첫사랑이 아닐까요? 왜 그런 거 있잖아요. 서로 열렬히 사랑했는데 주위의 반대에 부딪혀 본의 아니게 헤어졌다. 그런데 몇 십 년 만에 우연히 만났다. 서로에 게 가는 마음은 옛날 그대로인데 서로 가정이 있으니 어쩌겠는가. 그래서 이런 식으로 재회를 한단 말이지? 아주 소설을 써라. 말은 그렇게 했지만 나는 아내의 상상이 맞을 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서로를 걱정하는 마음이 그대로 드러나는 따뜻한 눈빛이 두 노인이 아주 특별한 관계라는 걸 말하는 것 같았습니다. 근데, 저 할머니 어디 편찮으신 거 아니에요? 안색이 지난 번 보다 아주 못하신데요?
아내 역시 두 노인한테 쏠리는 관심이 어쩔 수 없는지 걱정스러운 얼굴로 말했습니다. 그러고 보니까 오늘 따라 할머니는 눈물을 자주 닦으며 어깨를 들먹거렸습니다. 두 노인은 만두를 그대로 놓은 채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할아버지는 돈을 지불하고 할머니의 어깨를 감싸 안고 나갔습니다. 나는 두 노인이 거리 모퉁이를 돌아갈 때까지 시선을 뗄 수가 없었습니다. 곧 쓰러질 듯 휘청거리며 걷는 할머니를 어미 닭이 병아리 감싸 듯 감싸 안고 가는 할아버지. 두 노인의 모습이 내 마음을 아프게 했습니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대체 어떤 관계일까? 아내 말대로 첫사랑일까? 사람은 늙어도 사랑은 늙지 않는 법이니까 그럴 수도있겠지. 어머? 비가 오네. 여보, 빨리 솥뚜껑 닫아요. 그러나 나는 솥뚜껑 닫을 생각보다는 두 노인의 걱정이 앞섰습니다. 우산도 없을 텐데… 다음 주 수요일에 오면 내가 먼저 말을 붙여 볼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다음 주도 그 다음 주도 할머니 할아버지는 우리 만두 가게에 나타나지 않는 겁니다.
처음엔 몹시 궁금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두 노인에 대한 생각이 묵은 사진첩에 낡은 사진처럼
빛바래기 시작했습니다. 그게 사람인가 봅니다. 자기와 관계없는 일은 금방 잊게 마련인가 봅니다. 그런데 두 달이 지난 어느 수요일 날, 정확히 3시에 할아버지가 나타난 겁니다. 좀 마르고 초췌해 보였지만 영락없이 그 할아버지였습니다. 오랜만에 오셨네요. 할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조금 웃어보였습니다. 할머니도 곧 오시겠지요? 할아버지는 고개를 가로 저으며, 못 와. 하늘나라에 갔어. 하는 겁니다. 나와 아내는 들고 있던 만두 접시를 떨어뜨릴 만큼 놀랬습니다. 할아버지 얘기를 듣고 우리 부부는 벌린 입을 다물 수가 없었습니다. 너무 기가 막혀서, 너무 안타까워서. 두 분은 부부인데 할아버지는 수원의 큰 아들 집에, 할머니는 목동의 작은 아들 집에 사셨답니다. “두 분이 싸우셨나요?할아버지께 물었습니다. 그게 아니라 며느리들끼리 싸웠답니다. 큰 며느리가 “다 같은 며느리인데 나만 부모를 모실 수가 없다”고 강경하게 나오는 바람에 공평하게 양쪽 집에서 할아버지, 할머니를 한 분씩 모시기로 했답니다. 그래서 두 분은 일주일에 한 번씩 견우와 직녀처럼 서로 만난 거랍니다. 그러다가 할머니가 먼저 돌아 가셨답니다. 이제 나만 죽으면 돼. 우리는 또 다시 천국에선 같이 살 수 있겠지.. 할아버지는 중얼거리며 창밖으로 시선을 던졌습니다. 할아버지 뺨에는 눈물이 주르륵 흐르고 있었습니다. (옮긴글) 노년의 빈곤은 노추(老醜)를 불러 불행한 일이라는 것이지요 부모는 자식이 내미는 그 손에 자신의 모든 것을 쥐어 주면서 애벌레가 성충으로 크도록 애정으로 돌봅니다. 그리고 껍질만 남은 곤충 처럼 되어 버립니다.
그러면서도 부모는 자식의 손에
세월이 흘러 부모는 늙고 힘도 없고 부모 마음 같지가 않습니다
|
출처 :사회복 지대로 원문보기▶ 글쓴이 : 고운님
관련자료
댓글 10 개
소상호님의 댓글
어제 김명대 순화사님의 부흥회를 마치고
이 글을 접하니 이러한 생각이 듭니다
모든 가치 기준의 결정의 선후는
종적인 것이 먼저고
다음이 횡적인 것이라 하였습니다
신과 인간, 부모와 자녀, 교회와 사회
전자가 먼저요
후자는 나중이라하여
항상 신에게 부모에게 교회에
먼저 정성과 제물을 드려야
횡적인 자기중신의 생활이
평탄하고 평안하며
축복을 받는 다고 하였습니다
상기 가정의 자녀들은 천법에 걸렸습니다
좀 알려주었으며,,,,
우리 부흥회에 참석하였으면
좋으련만........
이 글을 접하니 이러한 생각이 듭니다
모든 가치 기준의 결정의 선후는
종적인 것이 먼저고
다음이 횡적인 것이라 하였습니다
신과 인간, 부모와 자녀, 교회와 사회
전자가 먼저요
후자는 나중이라하여
항상 신에게 부모에게 교회에
먼저 정성과 제물을 드려야
횡적인 자기중신의 생활이
평탄하고 평안하며
축복을 받는 다고 하였습니다
상기 가정의 자녀들은 천법에 걸렸습니다
좀 알려주었으며,,,,
우리 부흥회에 참석하였으면
좋으련만........
이존형님의 댓글
그 어르신 이야기가 사나이넓은 가슴을 한방 때리고 지나갑니다.
우리집에야 아들하나뿐이니 며느리들 싸움은 면했고요.
우리부부는 아예 따로 살아갈 생각입니다.
하나뿐인 아들의 발목을 잡진않을까하는 노파심에서요.
그 어르신의 이야기가 실화이든 아니든간에 남의일 같지가 않구요.
우리들의 이웃에서 가끔은 들려오는 현실입니다.
아무튼 가슴아픈 사연이고요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동시성 사람으로서
조금은 반성을해볼 문제인 것 같습니다.
우리들의 이웃에 행여 그런 어르신들이 아니 계시는지 한번쯤 돌아보아야할 것 같은 생각이듭니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그 어르신의 이야기가 현실의 이야기가 아니었길 하면서 반성합니다.
.
우리집에야 아들하나뿐이니 며느리들 싸움은 면했고요.
우리부부는 아예 따로 살아갈 생각입니다.
하나뿐인 아들의 발목을 잡진않을까하는 노파심에서요.
그 어르신의 이야기가 실화이든 아니든간에 남의일 같지가 않구요.
우리들의 이웃에서 가끔은 들려오는 현실입니다.
아무튼 가슴아픈 사연이고요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동시성 사람으로서
조금은 반성을해볼 문제인 것 같습니다.
우리들의 이웃에 행여 그런 어르신들이 아니 계시는지 한번쯤 돌아보아야할 것 같은 생각이듭니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그 어르신의 이야기가 현실의 이야기가 아니었길 하면서 반성합니다.
.
문정현님의 댓글
일요일 새벽 아침 !~
KN-TV 한국방송 채널을 가끔씩 봅니다.
안방 노래방 같이 가삿말 따라도 부르고
.
.
가을이면 더욱 바빠진다는 이용 가수의 순서였습니다.
세월은 흘렀으나 지난 세월에 비해서 동안의 모습으로
열창하는 순간!~ 아!~ 음악은 노래는 참 좋구나 느꼈습니다.
.
.
여타한 잡음도 그의 열정적인 노랫말과 음폭에 실려서
용서가 되고 노래 잘하는 가수로 크게 각인되었습니다.
.
.
어느 가정의 예화인지는 알 수가 없지만 실화인지의 여부도
물을 수는 없지만.........
아들네 따로 살 바에는 다리밑에서라도 둘이 사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건강관리 잘 합시다!~ 몸 보존할때 까지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를 바라고.......
세상사람들 부러울 만큼의 효자 효녀 열남 열녀로
영생 부활하는 참가정 공동체가 되면 싶어요.
이인규님의 댓글
그래서 관두껑 닫을 때 까지 재산을 자식들에게 나눠주지 말라는 말도 있습니다.
며느리들의 문제는 곧 아들들의 문제
여자의 문제는 곧 남자들의 문제
자녀의 문제는 곧 부모의 문제
북한의 문제는 남한의 문제
살았을 때 만두라도 하나 더 갖다 드리면서 어찌된 사연인지 알고자 관심을 보였어야지 죽은 다음에야 관심을 보이는 만두집 주인같은 사람들이 많은 것도 문제
맨날 같은 사람들을 앞에 놓고 왜 교회부흥이 안되느냐고 안타까워하는 목사도 문제
그런 교회 식구도 문제
이런 글에 댓글 다는 사람도 문제
이런 글을 18홈으로 옮겨온 사람도 문제
도대체 얼마나 처절한 노부부의 이야기인가 궁금해서 그냥들렸가 그냥 가는 사람도 문제
문제때문에 사는 사람도 문제
문제때문에 죽는 사람도 문제
도대체 문제는 누가 만드는 것인가?
본래부터 있었던 것인가?
없는 것을 있다고 착각하고 사는 것인가?
얼마나 가면 문제가 없어지는 것인가?
고달픈 인생문제 가지고 오는 극성
종소리가 평화나 행복의 종소리이기를 바라지
우는 세상의 우는 이야기 아니기를 바라는 것은 인지상정
며느리들의 문제는 곧 아들들의 문제
여자의 문제는 곧 남자들의 문제
자녀의 문제는 곧 부모의 문제
북한의 문제는 남한의 문제
살았을 때 만두라도 하나 더 갖다 드리면서 어찌된 사연인지 알고자 관심을 보였어야지 죽은 다음에야 관심을 보이는 만두집 주인같은 사람들이 많은 것도 문제
맨날 같은 사람들을 앞에 놓고 왜 교회부흥이 안되느냐고 안타까워하는 목사도 문제
그런 교회 식구도 문제
이런 글에 댓글 다는 사람도 문제
이런 글을 18홈으로 옮겨온 사람도 문제
도대체 얼마나 처절한 노부부의 이야기인가 궁금해서 그냥들렸가 그냥 가는 사람도 문제
문제때문에 사는 사람도 문제
문제때문에 죽는 사람도 문제
도대체 문제는 누가 만드는 것인가?
본래부터 있었던 것인가?
없는 것을 있다고 착각하고 사는 것인가?
얼마나 가면 문제가 없어지는 것인가?
고달픈 인생문제 가지고 오는 극성
종소리가 평화나 행복의 종소리이기를 바라지
우는 세상의 우는 이야기 아니기를 바라는 것은 인지상정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