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도순
글마당
[초대글] 분류

古典漢詩15. 癸未重九(계미중구) -정포((鄭誧)-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古典漢詩15. 癸未重九(계미중구) -정포((鄭誧)-

 

地僻秋將盡, 山寒菊未花. (지벽추장진, 산한국미화)

땅이 구석져서 가을이 장차 가려하는데,

산이 추워서 아직도 국화는 피려하지 않는다.

 

病知詩愈苦, 貧覺酒難賖. (병지시유고, 빈각주난사)

병을 앓을 때 시가 더욱 괴로운 것을 알겠다.

가난할 때 술 사오기가 어려운 것을 깨닫겠도다.

 

野路天容大, 村墟日脚斜. (야로천용대, 촌허일각사)

들길에서는 하늘 얼굴이 더 크고,

시골 빈터에 햇살이 비추이도다.

 

客懷無以遣, 薄暮過田家. (객회무이견, 박모과전가)

나그네 회포를 보낼 길 없어,

어스름한 저녁에 시골집 옆을 지나가도다.



  

1. 작자 소개

정포(鄭誧)는 고려 말기의 학자로서 仲孚이다.

 

18세에 급제하여 예문수찬(藝文修撰)으로서 표()를 받들고 원()으로 갔다. 그때 동환(東還)하는 충숙왕(忠肅王)의 행렬을 만나 알현(謁見)하였더니 왕의 곁에 머물게 하였다.

 

고려에 돌아와서는 충혜왕(忠惠王) 때에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가 되어 바른 소리를 많이 하니 집정(執政)이 싫어하여 관직을 빼앗고 집에 있게 하였다. 그러나 정포 형제가 모반을 꾀한다는 모함을 받아서 정포는 울주(蔚州)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시를 읊으며 세월을 보내다가 갑자기 벼슬할 생각이 나서 중국으로 갔다. ()의 승상(丞相) 별가불화(別哥不花)가 총애하여 원()나라 임금에게 추천하려고 하였으나 37세에 요절하였다.

 

문집으로는 설각집(雪各集)이 전한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이시는 시인이 원()나라에 머물면서 세상에 쓰이지 못한 자신의 신세와 타국에서의 서글픔을 노래한 작품이다. 작품의 내용과 표현으로 보아 죽기 얼마 전에 지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작품은 어려운 구절이나 고사를 이용한 用事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어려운 신세를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학의 도리를 펴서 정치를 올바르게 이끌려고 했으나 세상에서 버림 받고 만리타국에 와서 울분을 삭이고 있는 작가의 심정이 잘 표현되었다.

 

만리타국의 궁벽한 땅에서 가을도 끝나고 곧 겨울이 오려고 하는데, 몸은 병들어서 시도 짓기가 어렵고 살림은 가난하여 술도 마음대로 마시지 못할 지경이다.

 

황혼의 햇발이 길게 비치는 것과 하늘이 크게 보인다는 표현은 모두 죽음과 관계가 있다.

 

죽음을 눈앞에 두고서도 만리타국에서 지낼 수밖에 없는 나그네의 회포를 달랠 길이 없어서 할 일없이 농가를 오락가락하는 것이다.

관련자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