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도순
글마당
[초대글] 분류

古典漢詩14. 思歸(사귀) - 李齊賢(이제현)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古典漢詩14. 思歸(사귀) - 李齊賢(이제현)

<고향으로 돌아가고파>

扁舟漂泊若爲情, 四海誰云盡兄弟. (편주표박약위정, 사해수운진형제)

조각배로 떠다니노니 마음 또한 그와 같은데,

사해가 모두 형제라고 누가 일렀던가?

 

一聽征鴻思遠信, 每看歸鳥嘆勞生. (일청정홍사원신, 매간귀조탄로생)

기러기 소리 한번 들어도 먼대 소식 생각나고,

돌아가는 새를 볼 때마다 수고로운 삶을 탄식한다.

 

窮秋雨鏁靑神樹, 落日雲橫白帝城. (궁추우쇄천신수, 낙일운횡백제성)

궁상맞은 가을비 청신 땅의 숲에 가득하고,

떨어지는 해에 구름은 백제성을 가로질렀구나.

 

認得蓴羹勝羊酩, 行藏不用問君平. (인득순갱승양명, 행장불용문군평)

순채국이 양락보다 나은 줄 겪어보고 알았으니,

내 행장은 군평에게 물어볼 필요조차 없겠네.

 

白帝城 : 중국 사천성(四川省) 봉절산(奉節山) 위에 있는 성(). 유비가 병사한 곳으로, 이곳을 지나면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나라에 와있는 자신의 임금을 생각하며 지은 이다.

행장(行藏); 논어(論語)에 나오는 공자(孔子)의 말, ‘세상이 나를 쓰면 나아가 도를 행하고, 나를 버리면 감춘다.’고 하였다.

군평(君平); 중국의 유명한 점술가,

 

1. 작자 소개

이제현(李齊賢)은 고려 말기의 정치가이며 문인이다. ()는 중사(仲思)이고, ()는 익재(益齋)인데, 충열왕(忠烈王) 25년에 15세의 나이로 성균관에 장원하고 34년에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에 들어갔다.

 

충선왕(忠宣王)이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짓고, 이제현을 불러 중국의 문사들과 어깨를 겨루면서 공부를 하였다.

 

계속해서 중국에 머물면서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서촉으로 들어가는 입구(백제성)에서 <사귀(思歸)>를 지었다.

 

외국에 오래 있어서 그런지 이제현은 우리 것에 대한 애착이 많아서 고유의 가요들을 한역(漢譯)하여 익재소악부(益齋小樂府)로 엮어서 익재란고(益齋亂藁)에 수록하기도 하였다. 문집으로는 익재집(益齋集)이 있다.

 

2. 작품해제(作品解題)

이제현의 문장은 워낙 폭넓어서 한두 마디로 말하기는 어려우나, 그의 사상은 유학을 강조하고 조선조 유학의 기틀을 닦은 것은 사실이다.

 

중국의 서촉으로 향하면서 지었다는 위 작품은 고려에 대한 걱정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고국과는 반대 방향으로 가서 백제성(白帝城)에 이른 시인은 촉의 유비가 중원 제패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죽은 생각을 하면서 원()나라의 부마가 되어야 하는 자신의 임금을 생각하면서 지은 가 바로 이 작품이다.

 

이 작품은 풍부한 용사와 섬세한 필치로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활기차게 표현하고 있다.

 

 

관련자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