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漢詩8. 大同江(대동강) ---정지상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古典漢詩8. 大同江(대동강) ---정지상
大洞江(대동강) - 정지상(鄭知常∼1135)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 : 비 그친 긴 둑에 풀빛 더 파란데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 : 그대 보낸 남포에 슬픈 노래가 이네.
大同江水何時盡(대동강수하시진) : 대동강 저 강물이 언제 마르랴
別淚年年添綠波(별루연년첨록파) : 해마다 이별하며 흘린 눈물로 푸른 물결 보태네.
1.작자 정지상(鄭知常)
① 12세기 초반에 활동한 詩人이며 정치가이다. 고려 인종 때에는 높은 관직에도 올랐으나 유학의 논리에 반대하고 묘청의 난에 연좌되었다는 이유로 김부식에 의해 사형 당하였다.
② 그의 생애는 <보한집><파한집> 같은 여러 문헌에 흩어져 있다. 그는 당시 제1의 시인이었기 때문에 많은 작품을 남겼을 것으로 보이나 요절했고, 양반들에 대해서 비판적이었고, 게다가 역적으로 몰렸기 때문에 현재 남아있는 작품이 매우 적은 편이다.
③ 그의 시는 정서가 매우 깊고 풍부한데다 민족적인 색채를 띠고 있으면서 형식에 얽매인 당시의 귀족들을 비판하는 태도를 많이 취하고 있으며, 그 시대의 진보적인 시인이자 정치가였다고 할 수 있다.
④ 서거정은 그의 시를 평하여 “정지상의 시는 어운이 맑고 격조가 높으며 시의 정수를 깊이 체득하였는데, 특히 拗體(요체)에 장기를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拗體 : [문학] 한시(漢詩)의 한 체(體). 정해진 평측식(平仄式)에 따르지 않는 근체시(近體詩)이다. 절구나 율시의 변격으로, 두보의 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2. 작품해제
① 이 시는 海東三疊(해동삼첩)이라고 불릴 만큼 離別의 시로는 최고의 작품이다. 삼첩이라는 말은 王維의 시 <送元二使安西>라는 離別詩의 구절 중 ‘謂城朝雨泣更塵 西出陽關無故人’이란 대목을 후대의 시인들이 3번씩 외운 것에서 비롯된 ‘陽關三疊’에서 유래된 말이다. 후대의 시인 중에서 시를 한다는 사람으로 이 시에 次韻하지 않은 이가 없다고 할 만큼 유명한 작품이다.
② 특히 이 시는 용사나 어려운 표현을 한 마디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우리 민족의 이별 정서를 주옥같은 노래로 엮어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③ 이 시가 쉬우면서도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는 것은 바로 우리의 정서에서 소재를 취해와서 그대로 작품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왜 보내야 하는지, 왜 가야하는지는 한 마디도 없지만 고려시대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이별의 한 장면을 가지고 노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