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 무드’ 조성 기대 솔솔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한반도 ‘평화 무드’ 조성 기대 솔솔<세계일보>
평창 2018 동계올림픽 유치
세계의 이목 쏠려 北도발 억제 효과
“6자회담 재개” 국제 여론도 커질 듯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는 한반도 정세 안정에도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사회의 시선이 한반도에 집중됨에 따라 도발이나 군사적 긴장과 같은 위험 요소가 억제되고 대화와 협상 무드가 조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 이전까지 한반도 정세의 전체적 흐름은 ‘안정적 관리’에 맞춰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지난해 천안함 사건 이후 형성된 ‘신냉전’식 대결구도가 완화되고 평화 무드 조성을 위한 움직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북한이 핵실험이나 천안함·연평도 사건과 같은 도발카드를 꺼낼 여지가 줄어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한반도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물리적 도발을 감행하는 것은 최악의 ‘자충수’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반도 정세의 뇌관인 북핵 문제에 실질적인 진전을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여론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추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 역시 이번 동계올림픽 유치로 국제사회의 위상이 높아진 만큼, 자신감을 갖고 보다 유연한 대북 접근을 시도할 것이라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동계올림픽 유치 자체가 남북 간 경색국면을 해소할 소재가 될지도 주목된다. 향후 남북관계 상황에 따라 우리 정부가 평창 동계올림픽 북한 초청 등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에 선제적으로 나서는 카드가 될 수 있다.
정부 당국자는 “동계올림픽 유치와 남북관계 사이의 직접적 연관성을 찾기는 어렵지만, 정부가 남북관계 등 여러 현안에 대해 자신감을 회복하는 계기는 될 수 있다”며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르려면 남북관계를 잘 관리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segye.com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