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어16. 功利主義者 벤담의 행복관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幸福語16. 功利主義者 벤담의 幸福觀
-功利性이란 어떤 대상의 성질이며, 이것에 의해 그 대상이 그의 이익이 고려되는 당사자에게 이익, 평의, 쾌락, 善 또는 幸福을 낳거나 또는 위해, 고통, 해악 또는 불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을 갖는 것을 의미 한다.
-공리성의 원리란 幸福을 促進하는 것처럼 보이는가 또는 행복에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는가에 따라 모든 행위를 시인하고 또는 부인하는 원리를 말한다. 유익한 말로 표현하자면 최대 행복의 원리이다.
-금욕주의 원리를 받아들이는 것은 종교가와 도덕가이다. 도덕가들은 희망 즉 쾌락의 예상 때문에 금욕주의의 꾀임에 빠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 희망이란 철학적인 허영심이라는 마음의 양식 즉 사람들로부터 영에와 명성이 주어지는 것에 대한 기대이다.
그리고 종교가들은 공포 즉 고통의 예상 때문에 금욕주의의 꾀임에 빠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 공포는 미신적인 환상에 기원하는 것으로서 까다롭고 복수심에 넘친 신의 손에 의한 내세의 처벌에 대한 공포이다.
금욕주의자들도 동기는 다르다 하더라도 원리는 공리성의 원리와 동일하다.
---공리주의자 벤담---
-영속할 수 있는 행위의 유일한 정당한 근거는 결국 공리성에 대한 고려이다.
-공리성의 원리는 수미일관하게 추구할 수 있다. 그러나 금욕주의의 원리는 어떤 사람에 의해서도 수미일관하게 추구된 일은 결코 없으며 또 그와 같은 일은 불가능하다. 이 지구상 인구의 1/10에 대항하는 사람들에게 금욕주의의 원리를 수미일관하게 추구시켜 보라. 그러면 그들은 하루 사이에 지구를 지옥으로 만들어 버릴 것이다.
-한편에서 모든 쾌락의 양을, 다른 한편에서 모든 고통의 양을 합산한다. 만약 그 차이가 쾌락 쪽이 많다면 그 개인의 이익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그 행위가 보다 좋은 경향을 가질 것이며, 그 차이가 고통 쪽이 많다면 그것은 전체적으로 그 행위가 나쁜 경향을 가질 것이다.
-슬픔이라 불리는 고통의 양은 실제상 외부적인 표적에 의해서는 거의 측정할 수 없다. 그것은 이를테면 눈물의 양이나 흐느껴 우는 시간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결 명백한 표적은 맥박일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얼굴 근육은 지배할 수 있어도 자기 심장을 지배할 수는 없다. ---공리주의자 벤담---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