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6. <海에게서 少年에게>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현대시6. <海에게서 少年에게 > 최남선
1. 처....ㄹ썩, 처....ㄹ 썩, 척, 쏴....아.
따린다. 부순다. 무너 바린다.
태산 같은 높은 뫼, 집채 같은 바윗돌이나.
요것이 무어야,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나냐, 모르나냐, 호통까지 하면서
따린다, 부순다, 무너 바린다.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꽉.
2. 철썩, 철썩, 척, 쏴아.(원문은 1연과 같음. 이하 동문)
내게는 아모 것도 두려움 없어,
육상에서, 아모런 힘과 권을 부리던 자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모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지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
철썩, 철썩, 척, 튜르릉, 꽉.
3. 철썩, 철썩, 척, 쏴아.
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가,
지금까지 있거든 통기하고 나서 보아라.
진시황, 나팔륜, 너희들이냐.
누구 누구 누구냐 너희 역시 내게는 굽히도다.
나허구 겨룰 이 있건 오나라.
철썩, 철썩, 척, 튜르릉, 꽉.
4. 철썩, 철썩, 척, 쏴아.
조고만 산모를 의지하거나,
좁쌀 같은 작은 섬, 손벽 만한 땅을 가지고,
고 속에 있어서 영악한 체를,
부리면서, 나 혼자 거룩하다 하난 자,
이리 좀 오나라, 나를 보아라.
철썩, 철썩, 척, 튜르릉, 꽉.
5. 철썩, 철썩, 척, 쏴아.
나의 짝이 될 이는 하나 있도다.
크고 길고, 넓게 뒤덮은 바 저 푸른 하늘.
저것은 우리와 틀림이 없어,
적은 시비 적은 쌈 온갖 모든 더러운 것 없도다.
조따위 세상에 조 사람처럼.
철썩, 철썩, 척, 튜르릉, 꽉.
6. 철썩, 철썩, 척, 쏴아.
저 세상 저 사람 모다 미우나,
그 중에서 똑 하나 사랑하난 일이 있으니,
담 크고 순진한 소년배들이,
재롱처럼 귀엽게 나의 품에 와서 안김이로다.
오나라 소년에 입맞춰 주마.
철썩, 철썩, 척, 튜르릉, 꽉.
-<소년> 창간호. (1908. 11.)
<소년> 창간호의 권두시로 발표된 우리 나라 [최초의 新體詩]. 서구의 자유시 영향을 받아 씌여진 최초의 新詩로 손꼽혀지고 있는데, 오늘날 신시의 역사는 이 작품에서 起算되고 있다.
서구의 사상과 예술이 우리 나라에 상륙하기 이전, 우리의 詩歌는 그 기본율이 3.4조, 4.4조, 7.5조 등을 중심으로한 외형률 또는 자수율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것이 이 작품에 이르러서는 그 첫머리부터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로 대담한 의성법이 도입되었을 뿐만 아니라, ‘따린다, 부순다, 무너 바린다’, 또는 ‘태산 같은 높은 뫼, 집채 같은 바윗돌이나’ 등 외형율과 자수율이 동시에 격렬한 파격을 이룬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개혁은 옛 시가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일본에 유학했던 육당이 거기서 접한 서구의 영향을 받아 쓴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현대시사의 서두를 장식하고 있다.
다음으로 주목해야할 것은 바다가 이 시의 주제가 되어 있다는 점이다. 우리 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이지만 지금까지 대부분 시가의 소재는 산수에 있었고, 바다는 없었다. 그런데 육당은 바다를 시의 주인공으로 삼아, 바다로 하여금 소년들에게 말하는 형식으로 썼다. 바다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통하여 새 시대의 눈을 열고, 우리도 세게로 진출해 보자는 애국심이었을 것이다.
한편, 1907년에 쓴 육당의 작품이 있었고, 최근 이승만의 <고목가>(1896년 배재학당에서 나온 협성회보) 발견 등으로 최초의 작품 논쟁이 있고, 바이런의 의 끝부분 <대양. The Ocean>의 번안에 가까운 것이라는 주장이 있어 ‘신작인가, 모작인가’의 논쟁이 있음도 기억할 필요가 있다.
[崔南善, 1890~1957] 사학가, 문학자, 호는 六堂. 서울 출생. 新詩운동 초창기인 1908년에 잡지 ‘소년’을 발간하였고, 그 뒤 春園 李光洙와 함께 ‘샛별’, ‘아이들 보이’, ‘붉은 저고리’, ‘청춘’ 등의 잡지를 발간 하였다. 새로운 형식의 시 <海에게서 소년에게> 등을 지어 신시의 기원을 세웠고, 3.1운동 때 <독립선언서>를 기초하였다.
저서로 <심춘순례> <백두산 근참기> 시조집으로 <백팔번뇌> 역사서에 <고사통> <조선역사> <역사일감> 이 밖에 <조선상식문답> <신자전> <시조유취>등이 있다. 우리 나라 개화기의 문화 계몽운동가로 그 끼친 바 업적이 크다.
관련자료
정해관님의 댓글
최남선 /최남선
전통적인 시조 문학의 진흥과 계몽성을 드러낸 창가·신체시·기행수필 등을 썼고, 단군조선을 비롯한 민족의 상고사 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말기에 학병권유 등의 친일 행위를 하여 전반기에 보여주었던 민족주의자로서의 활동에 오점을 남겼다. 본관은 철원(鐵原). 아명은 창흥(昌興). 교명은 베드루. 자는 공륙(公六), 호는 육당(六堂)·육당학인(六堂學人)·한샘·남악주인(南嶽主人)·곡교인(曲橋人)·축한생(逐閑生)·대몽(大夢).
그는 일제강점기에 보여주었던 친일행위를 제외하고는 시인·수필가로서의 문학적 업적과 계몽주의와 민족주의를 견지한 사상가·출판인으로의 공헌, 조선의 상고사를 재건하려는 역사학자로서의 노력 등 다방면에 걸쳐 뚜렷한 자취를 남겼다. 이와 같은 문학·역사학 방면의 활동은 언론인·사상가로서의 측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업적은 이광수 등과 더불어 대표적인 친일파였음에도 불구하고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공적이다.
저서로 〈경부철도노래〉·〈한양가〉·〈세계일주가〉가 있고,〈백팔번뇌〉·〈시조유취〉·〈백두산근참기〉·〈심춘순례〉·〈금강예찬〉·〈반순성기〉 등의 문학적 관심을 표명한 것, 〈조선역사강화〉·〈아시조선〉·〈불함문화론〉·〈고사통〉·〈단군론〉·〈조선독립운동사〉 등의 역사와 민족문화에 관계된 것, 〈살만교차기〉·〈조선불교〉·〈조선의 신화〉·〈조선의 민담 동화〉 등의 종교와 민속에 관계된 것, 〈신정(新訂) 삼국유사〉·〈대동지명사전 大同地名辭典〉·〈신자전〉·〈신교본(新校本) 춘향전〉 등의 고전 정리와 주석에 관계된 것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1975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에서 〈육당최남선전집〉(15권)을 펴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