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2. 한국 현대시사 개관-1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현대시2. [韓國現代詩史 槪觀]
우리나라의 현대시 100여년을 돌이켜보면 각종 사조와 시운동의 혼류, 교체, 간만 등 여러 기복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대개 10년을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왔음을 알 수 있는데, 이 10주년은 비단 詩史에서만 아니고 근대사 각 부문의 공통적인 특징임도 깨달을 수가 있을 것이다.
現代詩史는 편의상 먼저 近代詩(1905~1930)와 現代詩(1930~1960)로 구분하고, 근대시는 다시 제1기(1905~1920)의 신체시와 자유시의 출범, 제2기의 국내시단 형성과 낭만주의에 대하여 살펴본다.
1. 近代詩의 胎動과 展開
1) 근대시의 제1기(1905~1920)
[新體詩의 出帆]
한국 현대시의 기점을 六堂 崔南善의 <海에게서 少年에게>(1908.‘소년’ 창간호)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우리 신시사상 서구의 영향을 받아 씌여진 최초의 신시로 손꼽히고 있는 이 작품은 그 형태부터 우선 대담한 파격을 이루어진다. 이 시가 나오기 전까지는 우리 시가의 기본율조는 대체로 3.4조를 중심으로 한 외형률 또는 자수율에 의거하고 있었다.
신체시에 앞서 1890년대까지 그 기원이 소급될 수 있는 것으로 창가가 있었다. 기독교의 찬송가에서 기원된 것으로 보이는 창가는, 20세기 초에서 10년대까지 당시 우후죽순처럼 일어난 신식학교에서 많이 부른 일종의 시대적 행진곡이다. 창가는 말 그대로 ‘부르는 노래’, ‘부르는 가사’였고, 직접 시는 아니었다.
창가의 정형률은 대체로 4.4조였다. 그것이 차차 3.4조로 되었다가 다시 불규칙한 자유시의 형식으로 바뀌어 나가면서 신시의 형식에 접근해 갔다.
그러나 육당의 신체시가 반드시 창가의 영향만으로 된 것은 아니다. 일본은 명치유신의 이름 아래 우리보다 20여년 앞서 있었고, 신체시, 신시 등의 명칭 부터가 그들에게서 왔다.
그리고 신시 운동이 창가로부터 시작된 것도 같았는데, 일본에서는 창가가 1872(명치5년)에 등장 했다. 신문학의 선구자 최남선, 이광수, 주요한 등이 모두 일본 유학생들이었고, 일본을 통하여 서구의 문학을 습득했다고 할 수 있다.
[自由詩의 出帆]
육당의 퇴조를 몰고 온 岸曙 金億은 우리나라 최초의 주간지인 <태서문예신보>(1918-‘19)에서 프랑스 상징주의 작품을 번역하여 상징파 내지 데카당스의 시를 수입하고자 한 최초의 시도를 보인다. 그의 <오뇌의 무도>(1921)는 근대 최초의 번역 시집이다. 또한 그는 <해파리의 노래>(1923) 역시 최초의 개인 시집이 된다.
최초의 종합문예지 <창조>(1919-‘21)는 본격적인 근대문학의 첫 출범으로 특필된다. 계몽주의를 거부하고 사실주의를 내세운 그들은 그 창간호에 주요한의 유명한 <불노리>를 발표한다. 이 시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자유시라는 점이다. 산문으로 시를 써도 리듬이 약동하고 조화될 수 있다는 첫 본보기를 보인 것이다. 정형률에서의 탈피, 교훈적. 윤리적 목적이 배제된 이 시는 예술성을 담은 질적 요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 된다. 한국 현대시의 실질적인 기점은 신체시가 아니라, <불노리>로 내려와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관련자료
-
첨부
문정현님의 댓글
조공을 바치는 신하국가 이상의 실록은 없을듯 한데요.
징키스칸의 문명이 한국문명이라 찍어 말할 수도 없고...
작은 섬나라라고 비하하고 왜놈의 나라라고 가르쳤고
야만하고 미개하다고 업신여긴 섬나라에 어떻게
식민지가 되었는지?
궁금한게 참 많습니다.
우리의 역사관도 새롭게 솔직하게 밝히면 과거에 발목
잡히지 않고 미래로 나아가는 기초를 잘 놓을듯 합니다.
큰 나라 중국에 숨도 쉬지 못했고 섬나라의 세계관을
넘어서지 못한 과거는 아니었는지...
중화의 세계를 그린 중화민국의 옛적 화려한 문화문명의
발빠름은 지난번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자랑하는 올림픽
개막식전에서 뭔가를 보여줬다 생각합니다.
정해관님의 댓글
눈을 크게 떠 보면, 과거 당나라의 높은 문명이 이른바 주위의 여러 오랑캐(그들 표현 그대로 빌리자면) 나라와 유럽까지도 개화 시킨 바 있고, 징기스칸의 세력과 문명이 동서문화의 교류와 발전에 크게 기여 했으며, 오늘날의 주요 과학문명은 대부분 중세의 이스람 문명이 발전시켰고, 근대의 유럽문명이 지구촌 전체를 현대화 시킨 사실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진실'이라 할 것 입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