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봄날은 간다.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봄날은 간다)

6.25 전쟁이 휴전으로 멈춘 슬프고도 암울했던 시기. '봄날은 간다'는 아름다운 노랫말 속에 슬픔을 감춘 채로 탄생했다.

시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대중가요의 노랫말로 선정될 만큼 서정적이고 한이 서린 가사는 지금도 우리의 마음을 아련하게 적셔온다.
많은 후대 가수들에 의해 여러 차례 리메이크 되기도 해서 더 잘 알려진 노래이지.

'봄날은 간다' 가사를 쓴 손로원.

미술을 좋아했던 청년이 작사가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것은 1940년대 말이었다고 한다. 어수선한 시국을 피해 조선 팔도를 돌아다니며 그림을 그리고 시를 썼다. 젊은 나이에 남편과 사별한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방랑을 이해하면서도 늘 그리워 했다고 한다. 결국 어머님이 돌아가시기 전 유언처럼 남긴 말은 '봄날은 간다'의 모티브가 되었다.

"로원이 장가드는 날 나도 연분홍 저고리와 치마를 장롱에서 꺼내서 입을 거야. 내가 열아홉에 시집오면서 입었던 그 연분홍 저고리와 치마를..."

어머니의 무덤 앞에서 통한의 눈물을 흘리며 그리움을 가슴에 간직하며 살다가 1953년 전쟁 막바지에 '봄날은 간다'의 가사를 완성하게 된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오늘도 옷고름 씹어 가며 산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알뜰한 그 맹세에 봄날은 간다.

새파란 풀잎이 물에 떠서 흘러가더라. 오늘도 꽃편지 내던지며 청노새 짤랑대는 역마차 길에. 별이 뜨면 서로 웃고 별이 지면 서로 울던 실없는 그 기약에 봄날은 간다.

열아홉 시절은 황혼 속에 슬퍼지더라. 오늘도 앙가슴 두드리며 뜬구름 흘러가는 신작로 길에. 새가 날면 따라 웃고 새가 울면 따라 울던 얄궂은 그 노래에 봄날은 간다"

슬프고 허탈한 감정을 체념하듯 풀어낸 '봄날은 간다'는 백설희의 꾸밈없는 노래로 더욱 빛이 났다.

이 노래가 품고있는 '역설'을 노래의 창법 또한 담담하게 흘려보내듯 표현해서 쥐어짜듯 기교를 넣어 부르는 것보다 오히려 더욱 듣는 이의 심금을 울린다.

긴 세월이 흘러도 늘 우리 곁에 있던 노래처럼 가슴을 파고드는 노래이다.

연분홍 치마도, 새파란 풀잎도, 열아홉 시절도 세월따라 흘러간다.
우리는 그들을 슬픈 마음으로 떠나보내지만, 꽃이 피고 별이 뜨고 새가 다시 날 때를 기다린다. 봄은 가지만 또 다시 봄은 오니까.

https://youtu.be/pTlR51MeQ0g

관련자료

댓글 2

성범모님의 댓글

혼란스런 과도기에 ^봄날은 간다^ 는 만인의 가슴에 각인된 애환의 노래였지요

세월이 흘러 전후 세대에게는 역사 속의 기록일 뿐 ~

 노래도 시대따라 마냥 흘러가는군요!  

조 시인님의

좋은 글 일독했습니다


.

김태순님의 댓글

2019 년 봄은 보내고

또다시 새봄을 기다리는것도

좋겠지요^^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