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건강수명은 70세(좋은 기사 인용)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한국인 건강수명은 70세(기사 인용)
<< 1.한국인 건강수명은 70세, 식습관·술·담배로 9.4년 질병에 시달려?
미국 워싱턴대학교의 건강측정평가연구소(IHME)의 크리스토퍼 머레이 교수팀은 홈페이지를 통해 국가별 장애보정수명을 조사한 결과 한국인들의 건강수명은 70세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는 출생 직후부터 생존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대 수명의 개념이 아니라 ‘질병에 시달리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기간’ 즉 건강수명을 조사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한국인 건강수명이 70세로 나타났다. 반면 기대수명은 79세여서 나머지 9년은 질병 등에 시달리며 생을 마감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교수팀이 밝힌 장애보정수명은 큰 질병 없이 살 수 있는 생존 기간을 뜻한다. 심각한 질병에 가중치를 두고 이를 일정기간으로 환산해 전체 기대 수명에서 그 기간만큼을 빼는 식으로 계산한다.
다시 말해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을 앓은 기간을 뺀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 건강수명’은 기대수명 79.7세에서 질병에 시달리는 9.4년을 뺀 70.3세가 된다.
이는 70세까지는 건강하게 살지만 나머지 9.4년 동안은 사망에 이르기까지 각종 질병으로 인한 건강악화로 생을 마감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으로 풀이된다.한국인들은 식습관 등의 이유로 9.4년이나 건강하지 못한 삶을 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과다 섭취나 과식하는 습관이 한국인의 건강 수명을 13.4개월 정도 낮추는 것으로 조사됐다. 뿐만 아니라 술은 11.1개월, 담배가 9.4개월로 건강수명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됐다.
특히 술은 미국에서 6개월, 일본과 중국에서 4개월의 건강수명을 단축시키는데 그쳐 한국의 11.1개월과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 2.예로부터 사람이 칠십을 살기는 드문 일이라고 했다.
당(唐)나라의 시성(詩聖) 두보(杜甫)의 〈곡강시(曲江詩)〉 일절이다.
조정에서 돌아와 하루하루 춘의를 잡혀[朝回日日典春衣],
매일 강두에서 취하여 돌아오네[每日江頭盡醉歸].
술빚이야 가는 곳마다 흔히 있지만[酒債尋常行處有],
인생 칠십은 고래로 드물도다[人生七十古來稀].
젊은 날의 두보는 각지를 방랑하였다. 그러다 나이 30세가 넘어 장안(長安)으로 돌아와 벼슬길에 나서기를 희망하였다. 그러나, 뜻대로 일이 잘 풀리지 않아 허탈한 나날을 보내던 중,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났다. 황제 현종(玄宗)이 난을 피해 쓰촨[四川]으로 가는 등 나라가 온통 뒤흔들렸다. 두보도 난을 피하여 새로 즉위한 숙종(肅宗)이 있는 영무(靈武)의 행재소(行在所)로 가려다가 반군에게 붙잡혔다. 9개월 동안 갇혀 있다가 탈출하여 봉상(鳳翔)의 행재소로 갔는데, 그 공으로 좌습유(左拾遺)에 임명되었다. 관군이 장안을 탈환하자 숙종을 따라 환도하였다. 이때 그의 나이 47세쯤 되었다. 수도 장안의 동남쪽에는 곡강이라는 못이 있었고, 그 못의 남쪽에 부용원(芙蓉苑)이라는 궁원(宮苑)이 있어 경치가 아름다웠다고 한다. 〈곡강시〉는 이곳을 배경으로 하여 지은 것이다. 두보는 59세에 죽었는데, 그의 말처럼 70세까지 살지는 못했다. >>
<< 3. 개관사정(蓋棺事定)
나라 때 시인 두보(杜甫)의 시에 이런 구절이 있다. “오동나무는 죽은 등걸로도 거문고를 만들 수 있고, 한 섬의 오래된 물에 교룡이 숨어 있다. 사나이 죽어 관 뚜껑을 덮고 나서 비로소 성패를 말할 수 있나니, 그대 아직 늙지도 않았거늘 어찌 산 속에서 불우함을 탓하는고(百年死樹中琴瑟 一斛舊水藏蛟龍 丈夫蓋棺事始定 君今幸未成老翁 何恨惟悴在山中).”
이 시는 두보가 친구의 아들 소계(蘇?)에게 보낸 편지 형식의 시다. 세상을 등지고 산 속에서 실의의 나날을 보내지 말고, 속히 나오라고 권하는 내용이다. 원하는 바가 잘 풀리지 않는다고 실망하거나, 극단적 선택을 하지 말라는 뜻이다. 쉽게 중도에 포기하지 말고 관 속에 들어가는, 죽는 그 순간까지 희망을 지니고 살라는 당부다. 삶의 고귀함을 잘 묘사하고 있다.
물론 인간에게는 능력의 한계가 있다. 하지만 사람마다 부여받은 재능이 달라서 누구나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분야가 있다. 소질을 계발하기 나름이다. 그런데 스스로 좌절해선 안 된다. ‘논어’에 “힘이 부족한 이는 중도에 포기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그대는 지금 미리 선을 긋고 있다(力不足者 中道而廢 今女?)”고 공자가 제자를 일러 말하는 대목이 있다. 해보지도 않고 자신이 스스로 한계를 정하지 말라는 가르침이다.
그렇다. 무슨 일이건 한 번 일을 벌였으면 진득하게 참고 추진하다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부와 명예도 얻을 수 있다. 고통이 따르기도 한다. 더 잘 되는 단련의 기회라고 받아들이면 좋을 것이다. ‘맹자’에 “하늘이 큰일을 맡길 땐 몸과 마음에 시련을 주시는 법, 성질 참고 고뇌하며 기품을 굳게 하여, 우환 속에 든다 해도 되레 근면 공경하네(天任黎民勞骨筋 忍性苦心堅氣稟 居憂處患却恭勤)”라고 한 바를 마음에 새길 일이다.
장기불황에다 세상이 각박하다 보니 투신자살 등 쉽게 삶을 포기하는 이들이 적잖다. 인생의 귀한 가치를 깨닫고 삶에 충실해야겠다. 관 속에 들어 갈 때까지 기회는 있잖은가.
蓋棺事定:‘관 뚜껑을 덮고서야 모든 일이 결정되듯 마지막까지 정성껏 살아야 한다’는 뜻. >>
...............................................................................................
결론적으로 볼때 만일 현재 70세로서 건강하게 살고 있다면 이미 건강삶은 다 채운 것으로 봅니다.ㅋㅋㅋ???!!!
나머지는 덤 인생??? 그렇더라도 지금은 100세장수 시대이므로 9988(구구팔팔) 의지로 장수합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