結草報恩의 由來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結草報恩의 由來
결초보은(結草報恩)은 은혜가 사무쳐 죽어서도 잊지 않고 갚는다는 뜻으로 춘추좌씨전과 동주열국지에서 나온 말이다. 직역하면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것으로, 아비의 혼령이 풀을 묶어 딸의 은인을 궁지에서 구하고 은혜를 갚는다는 이야기에서 유래
춘추시대 오패(五覇)의 한 사람인 진(晉)나라 문공(文公)의 부하 장군에 위주라는 용사가 있었다. 그는 전장에 나갈 때면 위과와 위기 두 아들을 불러 놓고 자기가 죽거든 자기가 사랑하는 조희라는 첩을 양반의 집 좋은 사람을 골라 시집을 보내 주라고 유언을 하고 떠났다.
그런데 막상 집에서 병들어 죽을 당시에는 조희를 자기와 함께 묻어 달라고 유언을 했다.
당시는 귀인이 죽으면 그의 사랑하던 첩들을 순장하는 관습이 있었다.
그러나 위과는 아버지의 유언을 따르려 하지 않았다.
아우인 위기가 유언을 고집하자 위과는, “아버지께서는 평상시에는 이 여자를 시집보내 주라고 유언을 했었다. 임종 때 말씀은 정신이 혼미해서 하신 말씀이다.
효자는 정신이 맑을 때 명령을 따르고(孝子 終治命) 어지러울 때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고 했다”(不從亂命) 하고, 순사를 면하게 하였다.
장사를 마치자 위과는 아버지의 유언을 어기고 서모를 개가시켜 좋은 집으로 시집을 보내 주었다.
뒷날 그가 전쟁에 나가 진(秦)나라의 두회와 싸워 위태롭게 되었을 때, 첫 싸움에 크게 패하고 밤에 비몽사몽간에 귓전에 맴도는 청초파(靑草坡)라고 속삭이는 소리를 듣고 위과는 청초파가 실제로 근처 지명이라는 것을 알고 그리로 진지를 옮겨 싸우게 했다.
적장 두회는 여전히 용맹을 떨치는데 위과가 멀리서 바라보니 웬 노인이 풀을 잡아매어 두회가 탄 말의 발을 자꾸만 걸리게 만들었다.
말이 자꾸만 무릎을 꿇자 두회는 말에서 내려와 싸웠다.
그러나 역시 발이 풀에 걸려 자꾸만 넘어지는 바람에 필경은 잡히어 포로가 되고 말았다.
그날 밤 꿈에 그 노인이 위과에게 나타나 말했다.
“나는 조희의 아비 되는 사람입니다. 장군이 선친의 유명을 따라 내 딸을 좋은 곳으로 시집보내 준 은혜를 갚기 위해 미약한 힘으로 잠시 장군을 도와 드렸을 뿐입니다” 하고
낮에 있었던 일을 설명하고, 다시 장군이 그 같은 음덕으로 뒤에 자손이 왕이 될 것까지 일러 주었다는 것이다.
♣ 유의어로는 각골난망(刻骨難忘), 백골난망(白骨難忘)이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