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도 부끄러워 고개를 숙인(羞花) 절대가인絶對佳人 양귀비楊貴妃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꽃도 부끄러워 고개를 숙인(羞花) 절대가인絶對佳人 양귀비楊貴妃
『 양귀비의 미모에 꽃도 부끄러워서 고개를 숙였다. 』
당대(唐代)의 미녀 양옥환(楊玉環)은 당명황(唐明皇) 에게 간택되어져 입궁한 후로
하루 종일 우울하게 보냈다.
어느 날 그녀가 화원에 나가서 꽃을 감상하며 우울함을 달래면서
무의식중에 함수화(含羞花)를 건드렸더니 함수화는 바로 잎을 말아 올렸다.
당명황이 꽃을 부끄럽게 하는 아름다움에 찬탄하여
그녀를 " 절대가인(絶對佳人)" 이라고 칭하였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 양귀비(楊貴妃)의 생애
양귀비(楊貴妃, 719년6월 26일~756년7월 15일)는 당 현종의 후궁이자, 며느리이다. 성은 양(楊), 이름은 옥환(玉環)이며, 귀비는 황비로 순위를 나타내는 칭호이다. 현종 황제의 총애를 받았지만, 정도가 지나쳐 안사의 난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기 때문에 경국의 미인이라고도 부른다.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초선(貂蟬)과 더불어 중국의 4대 미인 중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양옥환(楊玉環)은 719년 당 현종 집권 초기에 쓰촨성 촉주(蜀州)(현재의 두장옌 시)에서 태어나 포주(蒲州)의 영락(永樂)(현재의 산서성 융지 시)에서 자랐다.
그의 고조부인 양왕(楊汪)은 수양제 때의 중신이었다. 수나라의 멸망 이후 정나라의 왕세충을 모시고 살았다. 621년 당나라에 의해 왕세충이 패배할 때 양왕도 죽음을 당했다. 양왕은 원래 산서성 화현(지금의 웨이난 시) 출신이었는데, 그의 일가는 용락(지금의 윈청 시)에 이주를 해서 자리를 잡았다.
733년 개원 23년 양옥환은 16세의 나이로 무혜비(武惠妃)의 아들인 제18왕자 이모(李瑁)와 결혼을 했다. 이모는 무혜비와 이임보(李林甫)의 후원으로 황태자에 추천되었고, 무혜비의 사망 이후 다음 해 환관 고력사의 추천으로 이여(李璵)가 황태자에 책봉된다.
740년 뛰어난 시와 노래에 능한 예술가였던 그녀는 환관 고력사의 소개로 만난 현종의 눈에 들게 된다. 현종은 그녀를 화산의 도사로 출가시켜 아들인 수왕(이모)에게서 빼내고, 궁안의 도교사원 태진궁(太眞宮)을 짓고 다시 이곳을 관리하는 여관(女冠)으로 불러 들인다.
이때 양귀비의 나이 22세, 현종은 57세였다.
745년 양옥환이 27세에 귀비가 되면서, 당나라는 서서히 끝자락을 달리게 된다.
당 현종 초기에는 개원의 치를 이룩할 정도로 어진 정치를 하였지만, 양귀비의 등장이후 양귀비 일가의 전횡이 시작되면서, 당나라는 점점 힘을 잃게 된다.
양귀비의 세 오빠에게 모두 높은 벼슬을 주었고, 세명의 언니들 모두를 국부인에 책명할 정도로 그녀를 총애하였다. 그 중 양귀비의 사촌 오빠인 양소는 현종에게 '국충'이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승상의 지위에까지 올라 국정을 전횡한 인물로 환관 고력사와 담합하여 당 현종을 정치에서 관심을 멀어지게 한다.
2. <안사의 난>과 최후
747년 절도사 안녹산이 등장하여, 양귀비는 그와 친해지게 된다. 새로운 권력자의 등장에 위기를 느낀 양국충은 견제를 하게 되는데, 이것은 안사의 난이 일어나 당나라가 멸망하는 원인이 된다.
756년 지덕 원년 가서한은 안녹산에게 대패하면서 잡혔고, 동관도 함락 되었다.
현종은 수도 장안(長安)을 빠져 나가, 촉(쓰촨성)으로 피난을 가게 되었고, 양귀비, 양국충, 고력사, 이형(李亨) 등도 동행을 했다.
섬서성 마외(馬嵬)에 이르러, 전란의 원인이 된 양국충을 증오하던 진현례(陳玄禮)와 병사들은 양국충과 부인들을 살해했다. 게다가 진현례 등은 현종에게 ‘도적의 근본’인 양귀비를 죽일 것을 요구했다.
현종은 ‘양귀비는 심궁에 있었고, 양국충의 모반과는 관계가 없다’고 감쌌지만, 고력사의 진언에 의해 부득이 양귀비에게 자살을 명할 수밖에 없었다. 고력사에 의해서 양귀비는 목매달아 죽었다.
현종은 그녀를 안장하고, 장안에 돌아간 후 이장을 명했지만, 예부시랑 이규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러나 현종은 내시에게 은밀히 이장을 명했다.
♣ 안사의 난(安史之亂)은 755년 12월 16일부터 763년 2월 17일에 걸쳐 당나라의 절도사인 안록산과 그 부하인 사사명과 그 자녀들에 의해 일어난 대규모 반란이다.
안사의 난이란 안록산과 사사명의 첫 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으로 〈안록산의 난〉 또는 〈천보의 란〉(天寶之亂)이라고도 한다. 안록산은 나라 이름을 연(燕)이라고 하여 칭제를 했으며, 9년간 지속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중국의 인구는 3600만명이 줄어들었으며, 이것은 전란으로 소실된 호적 체계 때문이기도 하였다.
원인 : 당나라 말기 율령제의 변질, 균전제와 조용조의 변화, 부병제의 붕괴 등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개원의 치를 이끌었던 당현종은 양귀비에 빠져서 정치를 고력사 등의 환관들에게 넘겼고, 이로 인해 양국충 등의 외척과 환관들의 본격적인 환관-외척정치가 시작되었다. 환관과 외척들의 전횡과 부패 속에서 제도와 관리들은 타락할 수밖에 없었으며, 권력 다툼은 결국 755년 안녹산에게 난을 일으킬 명분을 주게 된다.
부패한 관리와 환관정치로 인해, 수탈을 당할 대로 당한 농민의 소외로 자립 소농민층이 해체된 것도 원인이다. 해체된 자립 소농민층은 유민화되었다.
관련자료
이창배님의 댓글
우주만물의 아름답고 귀한 모든 것을 모아 모아서만든 것이 모음 즉 몸이니
꽃도 고개를 숙이고 만상만물이 우러러 존경할만 할것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마음은 마의 음 즉 마귀의 소리에 귀가 솔깃해지는 모습이 타락됐다..
하나님의 생명의 말씀은 들어도 듣지못하고 보아도 보지못하는 청맹과니...
부모를 부모로 알아보지 못하고 남의 부모를 부모라고 여기며 부모를 외면하는
그 자식을 바라보는 생명의 하나님은 언젠가 알고 찾아오겠지하고 기다려주시는 분
내가못나 자식을 잘못키워서 모든 것이 내 잘못이라고 여기며 기다려 주시는 분
위로의 말한마디에도 울음이 터져나올 것같은 생명의 하나님 심정을 알아야합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