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4대 미인 서시(西施) --미인계와 臥薪嘗膽(와신상담)--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중국 4대 미인 서시(西施) --미인계와 臥薪嘗膽(와신상담)--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중국에서 미인을 표현 하는 대표적인 어휘가 있으니 그것이 바로
『 침어낙안(沈魚落雁) 폐월수화(閉月羞花) 』이다.
그중에서 각각 "침어(沈魚)", "낙안(落雁)", "폐월(閉月)", "수화(羞花)"의
대명사 격인 4명의 여인을 골랐으니 이들을 일컬어 [ 중국 4대 미인] 이라 칭하였다.
沈魚(침어) :물고기가 미모에 놀라 헤엄치는 것을 잊고 가라앉았다는 "서시西施"
落雁(낙안) :기러기가 나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지게 만든 "왕소군王昭君"
閉月(폐월)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는 "초선貂嬋"
羞花(수화) :꽃이 부끄러워 잎을 말아 올렸다는 "양귀비楊貴妃"
♣ 서시는 춘추말기의 월나라의 여인이다. 어느 날 그녀는 강변에 있었는데 맑고 투명한 강물이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 을 비추었다. 수중의 물고기가 수영하는 것을 잊고 천천히 강바닥으로 가라앉았다. 그래서 서시는 침어(浸魚)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서시는 오(吳)나라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왕 구천(勾踐)의 충신 범려가 보복을 위해 그녀에게 예능을 가르쳐서 호색가인 오왕 부차(夫差)에게 바쳤다. 부차는 서시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치를 돌보지 않게 되어 마침내 월나라에 패망하였다
왕소군, 초선, 양귀비와 더불어 중국의 4대미인 중의 한 사람인 서시는 춘추전국시기에 월(越)나라의 저라산(苧蘿山) 기슭(지금의 절강 제기시) 의 한 농촌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이광(夷光)이다.
어릴 때부터 천성이 곱고 용모가 아름다워 항상 마을 사람들의 부러움을 샀다고 한다. 하루는 서시가 강가에서 빨래를 하고 있는데,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이 맑은 강물에 비쳤다. 이때 물고기가 물에 비친 아름다운 서시의 모습에 도취되어 헤엄치는 것도 잊어 버리고 보다가 점점 강바닥으로 가라앉았다고 한다. 이후 사람들은 서시를 "침어(沈魚: 미모가 너무나 아름다워 그것을 감상하던 물고기를 강밑으로 가라앉게 했다는 의미임)"라고 하게 되었다.
또 ≪장자≫에는 그녀의 미모에 관한 유명한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어느 날 서시가 마음속의 근심으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이마를 찌푸리며 마을을 걷고 있었다. 이마를 찌푸려도 여전히 아름다운 서시의 모습을 보고, 이 마을의 추녀가 자기도 서시처럼 하면 아름다워 보일까 하여 얼굴을 잔뜩 찌푸린 채 걸어갔다. 그러자 마을 사람들은 이 추녀의 모습을 보고 모두 고개를 돌려 외면하고는 황급히 집으로 들어가 대문을 잠그고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오(吳)나라와 월(越)나라의 전쟁 중에 모국인 월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서시는 적국 군왕 부차(夫差)를 유혹하기 위한 정치적 임무를 지고 부차의 애첩이 되어 그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중국역사상 가장 유명한 미인계의 주인공이 된다. 춘추시대 후기 제후들의 쟁패의 중심은 장강 유역 하류와 절강 지역으로 옮겨진다.
이에 이 지역을 기반으로 세력을 키워가고 있던 오나라와 월나라는 끊임없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빠져 견원지간(犬猿之間)이 된다. 월나라는 하(夏)나라 우(禹)임금의 후손이고, 오나라는 주(周)왕실의 속국이었다. 오왕(吳王) 합려(闔閭)의 통치 시기에 오나라는 초(楚)나라에서 귀순한 대신 오자서(伍子胥)와 유명한 병법가 손무(孫武)의 보좌로 국력이 강성해졌다. 이에 초나라를 공격하여 대파하고 승리를 눈앞에 둔 순간 월나라의 공격을 받아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주(周) 경왕(敬王) 24년 구천(勾踐)이 월나라 왕에 즉위했다. 오왕 합려는 이때를 틈타 월나라를 공격하여 지난 날의 원한을 갚고자 했다. 그러나 뜻하지 않게 오왕 합려는 부상을 입어 결국 죽게 되었으며, 그때 그는 아들 부차(扶差)에게 반드시 월나라를 평정하여 원수를 갚아달라는 유언을 남긴다.
오나라 왕에 오른 부차는 한시도 아버지의 원한을 잊지 않고 "땔나무 섶에 누워자면서(臥薪)" 복수의 날을 기다렸다. 때가 되어 부차는 필사의 각오로 월나라를 공격하여 구천의 군대를 대파하고, 회계산(會稽山)에서 월왕 구천을 사로잡는데 성공하였다. 이에 구천은 대부 문종(文種)과 범려(范?)의 건의를 받아들여 미녀 8명과 금은보화를 오나라 태재(太宰) 백비(伯?)에게 보내어 매수하고, 오왕 부차에게 화의를 주선하도록 청하였다.
결국 화의는 성사되고 약정에 따라 구천은 오나라의 신하가 되었다. 구천은 겉으로는 오나라를 섬기면서도 안으로는 내실을 다지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경주하였다. 직접 농사를 지으면서 백성들을 독려하고 인재를 널리 모집하는 등 월나라를 부흥시키기 위한 각종 조치들을 취했다. 그러면서도 항상 부차에게 당한 치욕을 잊지 않기 위해서 쓸개를 걸어두고 그 맛을 보면서(嘗膽) 복수의 날을 기다렸다. 이때 구천은 부차를 안심시키기 위하여 매년 많은 금은보화와 미녀들을 예물로 바쳤는데, 서시도 그러한 목적으로 오왕 부차에게 바쳐진 미녀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이때 월나라 대부 범려는 여러 차례 오나라에 미녀를 선사하였음에도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자 직접 전국 각지를 돌면서 절색의 미녀를 찾아 나섰다.
하루는 범려가 저라산(苧蘿山) 기슭에 이르렀는데, 약야계(若耶溪)라고 하는 곳에 두 명의 미녀가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그 두 미녀는 바로 서시(西施)와 정단(鄭旦)이었다. 범려는 그녀들의 자태를 보자마자 아름다움에 도취되어 자신도 모르게 이렇게 말했다.
"조금만 더 다듬는다면 세상에 보기 드문 보물이 되어 반드시 오왕 부차의 환심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월나라의 미래는 저 여인들에게 달려 있도다!"
범려는 그녀들을 만난 다음 자기의 신분을 밝히고 그가 오게 된 이유를 설명하였다. 서시와 정단은 무릎을 꿇어 절을 올리고
관련자료
정해관님의 댓글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들을 인도한다.” ---괴테의 <파우스트> 마지막 문구---
여기서 말하는 ‘여성적인 것’은 창조와 생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봅니다. 작품 마지막에 이 말이 나오며 ‘천상의 서곡’에 제시된 문제에 대한 해답의 구실을 합니다. 즉, 파우스트의 영이 그렌트헨의 영에 의하여 천상으로 올라가게 되는 것은 ‘영원한 여성’이 거칠기 짝이 없는 남성의 의지에 대한 구원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겁니다.
예나 지금이나 아름다운 미인에 대한 관심은 노소남녀를 불문할 것입니다. 가뜩이나 봄이로되 봄 같지 아니한 이 때에 중국 최고의 4대 미인에 대한 고사를 살펴보면서 잠시나마 근심걱정을 덜어보고자 합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