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요 그리고 번개산행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서동요 그리고 번개산행
1. 서동요
백제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 일찍이 어머니가 과부가 되어 서울(서라벌) 남쪽 연못가에 집을 짓고 살던 중 그 연못의 용(龍)과 정을 맺어 그를 낳았다. 아명(兒名)은 서동(薯童). 그 도량이 비상하고 항상 서여(마)를 캐어 팔아서 생계로 삼고 있었으므로, 사람들이 아명을 그리 부른 것이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공주 선화(善花)가 아름답기 짝이 없다는 말을 듣고 더벅머리를 깎고 서울로 올라왔다. 그러고는 동네 아이들에게 마를 주며 자신을 따르게 했다. 드디어 노래 하나를 지어 아이들에게 부르게 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善化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卯乙抱遣去如
선화 공주니믄(선화공주님은)
남 그즈지 얼어 두고(남 몰래 시집가 두고)
맛둥방을(맛둥 서방을)
바매 몰 안고 가다.(밤에 몰래 안고 간다.)
이 동요는 서울(서라벌)에 퍼져 대궐에까지 스며들어 갔고, 백관(百官)들이 크게 간(諫)하여 공주를 멀리 귀양 보내게 되었다. 떠날 때 왕후(王后)는 그 딸에게 순금 한 말을 주었다. 공주가 귀양길에 오를 때 서동이 도중에서 나와 맞이하여 시위(侍衛)해 가겠노라 했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지도 모르나 우연히 믿고 기뻐하며 정을 나누었다. 그 후에야 서동이란 것을 알았다.
함께 백제로 와서 공주는 어머니가 준 금을 내놓으며 장차 생계를 꾀하려 하니 이 때 서동은 크게 웃으며 "이것이 무엇이냐?" 했다. 공주는 "이것이 황금이니 가히 백 년을 넉넉히 살 수 있을 것"이라 하자 서동은 말하기를 "내가 어려서부터 마를 파던 땅엔 이런 것이 흙과 같이 쌓였다." 하니 공주는 크게 놀라며 그것은 천하의 지보(至寶)이니 그 보물을 부모님이 계신 궁궐에 보내는 것이 어떠하냐고 했다. 서동이 좋다 하며 금덩이를 모아 구릉(丘陵)과 같이 쌓아 놓고 용화산(龍華山) 사자사(師子寺)의 지명법사(知命法師)에게 가 금 수송의 방책을 물었다. 법사는 "내 신력(神力)으로 옮기리라." 하니, 공주가 편지와 함께 금덩이를 절간 앞에 갖다 놓으니, 법사가 신력으로 하룻밤 사이에 신라 궁중으로 옮겨 놓았다.
신라의 진평왕은 그 신이(神異)함에 더욱 존경하고, 항상 편지를 보내어 문안을 물었다. 서동은 이런 일로써 민심을 얻고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 《삼국유사》, 권2. 무왕조
2. 번개산행
우리가정회에서 자생적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활발하게 운영되는 분야는 산악회와 홈관리위원회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 중 일팔열린산악회는 특이하게도 각팀장이 대표가 되는, 기획(김명렬), 여행(정해관), 번개(조선화), 사이버(조항삼), 건강(박영기), 복지(양은숙), 예술(이태임), 이벤트(최승연), 훈련(김태순), 다문화(유노숙), 봉사(진혜숙) 등 11개 팀으로 운영되고 있고 전직가정회장님들은 자문위원으로 모시고 있다. 오늘 번개팀(팀장 조선화, 일명 선화공주)의 산행이 있었는데, 그 경과는 다음과 같다.
팀장이 보내는 문자메시지에 따라 그날의 산행장소가 공지되는데, 오늘은 도봉산역에서 10시에 모여 우이암(牛耳岩)을 등정하기로 하였다. 참석자는 강유식-조선화. 김명렬-최양순. 류명락. 박순철. 조항삼. 양은숙. 정해관이 모였다. 그 코스는 1시간 30분 쯤 오르고 1시간에 하산할 수 있는 아주 적당한 코스였다. 멀리서 온 한 사람이 조금(사실 조금은 아니고 40여분) 늦게 참여한 관계로 입구에서 가까운 절에서 기다리다가 출발하였는데, 모두들 짜증을 내기 보다는 멀리서도 참석했다는데 고맙고 반갑다며 얼싸 안았다.
항상 느끼는바 이지만, 산에 가게 되면 형제자매들을 위한 배려와 희생 봉사가 몸에 밴 자매 형제들이 많아 쉬면서 또는 점심시간에 이른바 ‘오병이어의 기적’이 나타난다. 오늘도 멀리 강원도까지 가서 미리 준비한 나물반찬. 쑥떡(특히 류메이니옹께서 선호하심), 오미자차와 여러 과일, 음료 등등 성의와 정성이 묻어나는 음식에 ‘형제애’는 오뉴월 과일이 익어가듯 맛있고 실하게 영글어 감을 공감하게 된다.
적당하게 땀을 내고 계곡으로 하산하면서 시원한 물가에 자리를 잡고 둘러 앉아 류메이니옹의 ‘인생’과 선화공주의 ‘애향가’를 청해 듣는 시간은 아름다웠던 과거로의 회상이기도 했다. 산을 오르내릴 때 그날 화두의 주인공이 있기 마련인데, 오늘은 단연 류메이니옹이셨다. 그분은 시종 ‘우리가 넘이가? 하~모 하~모’를 선창하시는 분인데, 오늘따라 ‘쑥떡이 나를 인도 한다’라고 하시며, 천진난만하게 어느 자매의 뒤를 졸졸 따르신가 하면, 지금의 가정회 집행부가 가장 큰 목적사업으로 책정한 이른바 ‘원사모’의 나아갈 방향을 예리하게 조언 하시곤 했다.(아마도 현직의 두 위원장께서 동참하셨기 때문에 잘 반영되리라 생각 한다)
산행의 하이라이트는 뭐니뭐니 해도 하산후의 석식 시간이 아닌가 한다. 마침 도봉산역 가까이에 자리한 손칼국수집은 맛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오래 오래 단골이 될 집이었다. 그런 집에 가게 되면, 그날 스폰서를 자청한 사람이나 음식을 먹은 사람 모두가 별로 부담이 없게 되어 모두가 기분 좋은 곳인 것이다. 오늘은 우리가 좋아하고 사랑하고 존경하는 우리들의 영원한 ‘희망’인 팀장 선화공주의 ‘그이’께서, 지각생의 벌을 감수하며 실랑이를 벌이는 수원의 복지팀장을 누르고(?) 석식 계산을 마치셨다.
번개팀의 선화공주께서는 관리의 편의상 모든 행사에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시지만, 이런 산행기도 다시 쓸일이 별로 많지 않을 것 같아 홍보를 핑계로 눈치를 무릅쓰고 적게 되었다. 번개모임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서동공자 처럼 선화공주께 문의하고 상의하면 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