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이야기-21. 남평 문씨 (南平 文氏)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사랑방 이야기-21. 남평 문씨 (南平 文氏)
관향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시조 : 문다성 (文多省)
주요 중시조 : 문익 (文翼)
주요 집성촌
함경남도 함흥시. 전라남도 화순군. 전라남도 장흥군.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보성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 主要 人物
문극겸, 문익점, 문명기, 문종구, 문익환, 문선명, 문희상, 문국현, 문재인, 문성근, 문학진, 문병호, 문소리, 문정희, 문희준, 문대성, 문지애, 문채원, 문근영, 문준원
인구(2000년) : 380,530명 (21위)
남평 문씨(南平 文氏)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문다성(文多省)은 고려 개국공신이다.
♣ 歷史
남평 문씨의 시조 문다성(文多省)은 고려개국 벽상공신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지고 무성(武成)의 시호를 받았다. 이 후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조상 대대로 살아온 남평을 관향으로 하고 있다.
문다성은 갓난 아기 때 백제 남평현의 장자못이라는 연못가의 높은 바위 위에서 발견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장자못가에 문암(文巖)이라는 전설 속의 바위가 남아 있다.
전설에 따르면 472년(백제 개로왕 15년) 남평현 동쪽에 장자지란 못이 있고 그 못가에 천길 높이의 바위가 솟아 있었다. 하루는 군주가 그 바위 아래서 놀고 있었는데 갑자기 바위에 오색구름이 감돌면서 갓난아이의 울음소리가 은은하게 들려왔다. 신기하게 여긴 군주가 사다리를 가져오게 하여 바위 위에 올라가 보니 석함이 놓여 있었고, 그 속에는 피부가 옥설같이 맑고 용모가 아름다운 갓난아이가 들어 있어 기이하게 생각하며 군주가 거두어 길렀다. 나이 5세에 문사에 스스로 통달하고 무략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총명하여 사물의 이치를 스스로 깨닫는지라 성을 문으로 하고 이름을 다성이라 칭했다고 한다. 그후 삼중대광 벽상공신으로 남평백에 봉해지고 98세까지 살았다고 하여 후손들이 남평을 본관으로 하게 되었다.
대종회에서는 472년(백제 개로왕 15년) 탄생은 고려 개국공신이라는 역사 기록과 맞지 않아 통일신라 말기로 정정하였다.
시조에서 중시조까지는 해석상 모순이 있어 1731년 장흥 월천서원에서 발간한 남평문씨 최초의 족보인 신해보에서 문익(文翼)을 중시조(1세조)로 하였고 이후 최초의 합의된 대동보에서도 중시조를 1세로 하여 세계를 정리하였으며 최신의 대동보도 이를 따르고 있다.
중시조 문익(文翼)은 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해 헌종 1년(1095) 근신으로 보제사 상량준비문 받고, 숙종3년(1098) 찬선대부, 급사중(종4품)을 거쳐, 1099년 3월(숙종4년) 요나라에 원자 책봉 임무를 마치고 좌복야에 승진하였다. 1102년 직문하성사로 서북면 병마사를 하고, 1103(숙종8년) 우산기상시(정삼품)로 승진하고, 예종 3년(1108) 병부시랑지어사대사 충상장군 병부상사, 1112(예종7년) 참지정사(종2품)로 누진하였다. 시호(諡號)는 경절(敬節)이다.
남평 문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8명을 배출하였다.
♣ 본관
남평(南平)은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산포(山浦)‧금천(金川)‧봉황면(鳳凰面) 등 동부지역 일대의 옛 지명이다. 백제의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 지역이었는데,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뒤에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을 두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현웅현(玄雄縣)으로 고쳐 무주(武州:光州)에 속하게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남평군(南平郡:永平郡)으로 바꾸었고, 1018년(현종 9)에 나주목의 관할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어 독립했으나, 1390년(공양왕 2) 화순감무가 겸하여 통치하였다가 1399년에는 다시 감무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으로 남평현이 되었다. 오산(烏山)으로도 불렸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남평군으로 나주부 소속이 되었다가 1896년 전라남도의 관할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평군이 폐지되어 나주군(羅州郡)에 통합되고 1995년 통합 나주시가 되면서 나주시 남평면(南平面)이 되었다.
<위키백과사전>에서
사진1. 문암바위.
사진2. 문암각 낙성기념비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