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와 직책 사이의 궁합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성씨와 직책 사이의 궁합
조선왕조 세조 때 있었던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신숙주가 영상에 있을 때 구치관이 새로 우상으로 발탁 되었다. 하루는 세조가 두 정승을 불러 술자리를 마련하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오늘은 내가 경들에게 묻겠는데 제대로 답변을 못하면 그 때마다 벌주를 내릴 것이니라.” 그 말을 듣고 두 정승은 이구동성으로 “하문하여 주십시오.”라고 답했다.
먼저 세조가 “신정승”하고 불렀다.
이에 신숙주가 대답하니 세조가 이르기를 “내가 새로 된 신(新)정승을 불렀는데 경이 대답을 잘못했도다.”하고는 커다란 술잔에 벌주를 내렸다.
이어서 “구정승”하고 부르니 구치관이 대답을 했다.
“내가 구(舊)정승을 불렀는데 경도 대답을 잘못하였네.”라며 그에게도 벌주를 내렸다. 세조는 재미있다는 듯 껄껄 웃고는 또 “구정승”하고 불렀다. 신숙주가 답을 하니 “이번에는 구(具)정승을 불렀는데 경이 또 대답을 잘 못 하였도다.” 하였고, “신정승”하고 불러 구치관이 대답을 하니 “이번에는 신(申)정승을 불렀는데 경이 대답을 잘 못했네.”라며 각각 벌주를 내렸다.
다음에는 “신정승”하고 불렀는데 둘은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 “구정승”하고 불렀으나 역시 아무도 답하지 않았다. 이에 세조는 “임금이 불렀는데 신하가 대답을 하지 않은 것은 예의가 아니니라.”하며 역시 벌주를 내렸다. 이것은 세조와 신숙주 사이가 얼마나 막역했던가를 잘 나타내 주는 재미있는 이야기이다. 사실은 신숙주와 구치관의 사이가 좋지 않은 것을 눈치챈 세조가 그들이 화해 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만든 것이었다. 아무튼 이처럼 한국 성은 직책과 관련한 에피소드가 많다.
전두환대통령은 현직에 있을 때도 전(前)대통령으로 불렸고, 현승종 국무총리는 임기가 끝난 뒤에도 지금까지 현(現)총리로 불렸다.
영등포구 도림동에는 나의 동기동창인 시종덕(柴鍾德)이라는 친구가 살고 있다. 학창시절에는 많은 선생님들이 ‘섶 시’(柴)를 ‘자주빛 자’(紫)로 착각하고 출석을 부를 때 ‘자종덕’이라고 하여 웃음바다가 되곤 했다. 바로 그 친구가 영등포구 구의회 의원으로 당선이 되었는데 사람들은 그를 보면 언제나 시의원이라고 불렀다. 내막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그 친구가 서울시의회 의원인줄로 착각을 했다. 이처럼 군의원만 돼도 도(道)의원으로 대접 받는 성씨도 있다. 도(都)씨가 바로 그 케이스이다.
미국 워싱턴타임스 주동문(朱東文)사장은 한창 젊었을 때 세계평화교수협의회 사무차장이란 직을 맡고 있었는데 사람들이 그를 부를 때는 언제나 '주차장'이라고 하여 한바탕 웃곤 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성씨 가운데는 직책과 궁합이 잘 맞으면 크게 덕을 보기도 하지만, 반대로 궁합이 잘 맞지 않으면 크게 손해를 보거나 놀림감이 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영부인 가운데 가장 존경을 받는 분은 박정희 대통령 부인 육영수여사일 것이다. 그런데 그 육씨(陸)가 계장이 되면 ‘육개장’과 발음이 비슷하여 놀림감이 되기 십상이다. 계장이 되면 곤란한 성이 또 하나가 있는데 그건 바로 양씨이다. 양씨가 계장이 되면 양계장이 되기 때문이다.
조씨 성을 가진 사람이 교수가 되면 어렵게 정교수 자리에 올라가도 평생 조교수가 되고, 피씨(皮)가 사법고시에 패스하여 검사가 되면 ‘피검사’가 된다. 지씨(池)는 아무리 큰 기업을 운영해도 본사 사장이 아닌 지사장이라 불리고, 대 그룹을 운영하는 왕회장이 돼도 지회장님 소리를 듣게 된다. 장씨가 의사가 되면 사람들은 그를 부를 때 '닥터 장'이라고 불러야 한다. 만약 '장의사'라고 부르면 죽은 시체를 장사지내는 일을 업으로 삼는 장의사로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수고를 많이 하고 큰 실적을 세워도 제대로 한번 평가를 못 받는 사람도 있다. 반기문(潘基文) 유엔사무총장과 같은 반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다. 반씨는 반교장. 반장군. 반교수 등 언제나 절반 밖에 인정을 못 받으니 답답할 일이다. 그렇다고 성을 온씨로 바꿀 수도 없고.........
제주도 삼성혈에서 나왔다는 고. 부. 양 3씨 중 부씨(夫氏)는 아무리 출세를 해도 정(正)이 아닌 부(副)의 칭호를 달고 살아야 한다. 도지사가 되도 부지사. 정교수가 되도 부교수. 회장이 되도 부회장이라는 말을 들어야 한다.
우리나라 성씨 가운데는 성전환 수술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성씨도 있다. 다름 아닌 남씨(南)와 여씨(呂)이다. 남씨는 여자라도 ‘남선생’이라는 소리를 듣고, 여씨는 사내 대장부라도 ‘여선생’이란 소리를 들으며 살아야 한다.
골씨(骨)는 치과를 개업해서는 안 된다. ‘골치과’라는 간판을 달면 사람들이 골치 아픈 사람들을 치료하는 정신병원쯤으로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백씨(白)는 기업을 운영하는 것 보다 다른 일을 하는 게 좋다. 사장이 되면 백사장(白沙場)이 되기 때문이다.
왕씨는 어디를 가나 덕을 보는 경우가 많다. 조그만 단체의 회장을 맡아도 왕회장으로 불리고, 보통 교수라도 왕교수 소리를 듣게 되니 하는 말이다.
관련자료
윤덕명님의 댓글
학문에는 왕도가 없고 항문에는 수도가 없죠.
聖과 俗이 一如라고 하더이다. 성자와 속인은
마음에 점 하나 차이일 것이기에 님과 남은...
한국사람이 미국에 갔다가 어줍쟎은 영어로
간단하게 길을 물었은데 미국인이 하는 말
"알았으니 따라 오시오"<아이 씨, 팔로미>라
발음하는 것을 듣고 귀싸대기를 올렸다지요^^
영어로 인 것을 연거퍼서
발음하면 <아이씨팔로미>라고 들어 욕으로
알고 무례한 짓을 저질렀다는 에피소드가 있어
한 바탕 웃기도 하였는데 암튼 유머란 재미가...
고종원님의 댓글
점잖으신 정총장님이 말씀을 하시기에 좀 곤란하셨던지 해설을 좀 생략하시어 마저 해설하마.
동생에게 이런 것까지 가르쳐 주어야 하나~~!!!
공부는 철저히 해야 하니까, 확실하게 가르쳐 주지.
조따꺼 다음엔 꼭 따라다니는 인사가 있다.
"츠판러마(吃飯了마)"가 그것인데 한국어로 발음하면 "ㅆ 팔놈아"와 비슷하여
한 바탕 웃게된다.
내용인 즉, 츠(吃-먹을 흘), 판(飯-밥반), 러(了-마칠료), 마(입구 옆에 말마한글자)- .....까?
종합하여 "식사하셨습니까?"인데 그만 흉악한 욕으로 변해 버리게 되지. ㅎㅎㅎ
조목사님께는 식사 때마다 그렇게 인사를 드려라.
여러사람 엔돌핀 팍팍 나오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