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단상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설날단상
내 어릴적 설날은
일년 중 가장 마음 설레며 기다리는 날이었지
어머니가 정성껏 지어 주시는 설빔, 꼬까옷 때때옷
떡국 밤 대추 곶감 사과 배 떠올리며
손꼽아 기다리던 날이었지.
내 어릴적 설날은 또
잠들면 눈썹이 센다는 말을 진실로 믿고
윷놀이도 하고 재미있게 이야기도 하며
억지로 몰려오는 잠을 좇기 위해
밤새 잠을 설치는 날이었지.
내 젊었을 때 설날은
그리웠던 부모형제 일가친척 만날 생각에
정성껏 준비한 선물보따리 양손에 들고
가족 다 동반하여 설레는 마음으로
고향을 찾아가는 날이었지.
내 젊었을 때 설날은 또
한 해의 목표를 설정(設定)하고
밤새도록 업치락 뒤치락거리며
고래등 같은 기와집 몇 채 지었다 헐었다
꿈을 설계(設計)하는 날이었지
내 나이든 오늘날의 설날은
사랑스런 아들 딸과 손자손녀 젊은 후배들에게
기쁨과 즐거움, 힘과 용기 불어 넣어주는
덕담의 날, 설(說)날이 되고 있네.
신묘년 토끼해 올해 설날은
백설이 온 대지를 뒤덮은 설(雪)날이 되었네
귀성길의 자동차는 동장군의 위엄 앞에
모두 설설기고 있네.
관련자료
댓글 41 개
윤덕명님의 댓글
윤가들 가운데는 많은 편이지요. 윤세원 박사 대표적이시고
윤정로, 윤기숙(박총재님 사모님). 윤정은(곽회장님 사모님)
윤태근 회장. 윤영태 르완다 분봉왕, 이런 분들이 계시고요
현 석준호 회장님의 사모님도 아마 윤가인 걸로 압니다만...
문제는 종족의 의미를 갖는 성씨가 중요한 것이 아니기에
누가 더 뜻 앞에 충성하고 남아지느냐가 더 소중한 것이니
초지일관으로 결승 테프가 가슴에 닿을 때까지 모두 함께
위로격려, 협동하고 협심하여 협력으로 나아가야 하겠지요^^
윤정로, 윤기숙(박총재님 사모님). 윤정은(곽회장님 사모님)
윤태근 회장. 윤영태 르완다 분봉왕, 이런 분들이 계시고요
현 석준호 회장님의 사모님도 아마 윤가인 걸로 압니다만...
문제는 종족의 의미를 갖는 성씨가 중요한 것이 아니기에
누가 더 뜻 앞에 충성하고 남아지느냐가 더 소중한 것이니
초지일관으로 결승 테프가 가슴에 닿을 때까지 모두 함께
위로격려, 협동하고 협심하여 협력으로 나아가야 하겠지요^^
윤덕명님의 댓글
정치인들의 눈으로 본다면 모든 것이 경계의 대상!
정치란 "참부모의 심정으로 다스림"이라는 해석은
일리가 있어, 잘하면 <정말로 치하 할 수 있는 것>
잘 못하면 <정말로 치사한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대통령이 견통령으로, 전두환이 견두환으로 변한 것
어쩌면 모두가 개에다 빗대어진 것인지 모르게지만
암튼 개란 충견도 있지만 개답지 아니한 개도 있기에
성군과 폭군의 갈림길이라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善과 惡이 同形異質이듯이 성군과 폭군 역시 그런지?
아차 하는 순간 선함이 악함으로 돌변하는 것이라면
따르는 백성들이 얼마나 당황하고 고통을 당하겠으며
허전, 허무, 허탈, 허허로울 것인가 생각해 봅답니다.^^
정치란 "참부모의 심정으로 다스림"이라는 해석은
일리가 있어, 잘하면 <정말로 치하 할 수 있는 것>
잘 못하면 <정말로 치사한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대통령이 견통령으로, 전두환이 견두환으로 변한 것
어쩌면 모두가 개에다 빗대어진 것인지 모르게지만
암튼 개란 충견도 있지만 개답지 아니한 개도 있기에
성군과 폭군의 갈림길이라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善과 惡이 同形異質이듯이 성군과 폭군 역시 그런지?
아차 하는 순간 선함이 악함으로 돌변하는 것이라면
따르는 백성들이 얼마나 당황하고 고통을 당하겠으며
허전, 허무, 허탈, 허허로울 것인가 생각해 봅답니다.^^
윤덕명님의 댓글
덕담, 덕화. 덕명, 덕분이라는 4덕에는
친화력과 친밀감과 친교력이 있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지만 대개의 경우에
사람들은 이것에 인색하고 있기도 하죠.
자아, 자기,자신, 자체라는 4자야말로
진정한 아이덴티티의 본질이기도 한데
행복이라는 평상심에 거하는 것이건만
행운이란 특수한 것을 추종하기도 하죠.
설날단상에 곱게 여미는 우리들의 옷깃
토끼처럼 깡충깡충 뛸 만한 기쁜 일들만
일년 내내 모두 환희하고 환영할 일들만
두루두루 차고 넘치기를 아주 원합니다.^^
친화력과 친밀감과 친교력이 있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지만 대개의 경우에
사람들은 이것에 인색하고 있기도 하죠.
자아, 자기,자신, 자체라는 4자야말로
진정한 아이덴티티의 본질이기도 한데
행복이라는 평상심에 거하는 것이건만
행운이란 특수한 것을 추종하기도 하죠.
설날단상에 곱게 여미는 우리들의 옷깃
토끼처럼 깡충깡충 뛸 만한 기쁜 일들만
일년 내내 모두 환희하고 환영할 일들만
두루두루 차고 넘치기를 아주 원합니다.^^
윤덕명님의 댓글
고시인님~~~!!! 설날의 설계가 설정 되셨을 것이온데
스마트와 집단지성의 시대에 걸맞게 열정과 열의로써
이 방을 리더해가는 열성에 뜨거운 박수를 보냅니다.^^
댓글의 결과에 초점하시는 것도 일리가 있겠습니다만
동기와 과정과 결과가 평행선 상에 있을 때 만 진정한
진리일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는 것은 무슨 일일까요?
설 가운데 가장 좋은 설은 형설일 것이고 두려운 것이
구설수인가 봅니다. 말이라는 것이 와전이 될 경우에
많은 부작용이 초래 되겠지요. 특히 컴의 댓글 말입니다.
유명 연예인들이 댓글에 자극받아 자살에 이르기도 해
오해와 이해의 차이가 삼회인 것은 三思一言이먀말로
진정한 이해의 관건임을 시사하는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스마트와 집단지성의 시대에 걸맞게 열정과 열의로써
이 방을 리더해가는 열성에 뜨거운 박수를 보냅니다.^^
댓글의 결과에 초점하시는 것도 일리가 있겠습니다만
동기와 과정과 결과가 평행선 상에 있을 때 만 진정한
진리일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는 것은 무슨 일일까요?
설 가운데 가장 좋은 설은 형설일 것이고 두려운 것이
구설수인가 봅니다. 말이라는 것이 와전이 될 경우에
많은 부작용이 초래 되겠지요. 특히 컴의 댓글 말입니다.
유명 연예인들이 댓글에 자극받아 자살에 이르기도 해
오해와 이해의 차이가 삼회인 것은 三思一言이먀말로
진정한 이해의 관건임을 시사하는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정해관님의 댓글
<설날의 어원>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이고 설날은 그 중에서도 첫날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설날의 어원에 대해서는 대개 세가지 정도의 설이 있다.
우선, 설날을 '낯설다'라는 말의 어근인 "설"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이다.
그래서 설날은 '새해에 대한 낯설음'이라는 의미와 '아직 익숙하지 않는 날'이란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설 날은 묵은해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해에
통합되어 가는 전이 과정으로, 아직 완전히 새해에 통합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그러한 단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설날은 "선날" 즉 개시(開始)라는 뜻의 "선다"라는 말에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선날"이
시간이 흐르면서 연음화(連音化)되어 설날로 와전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날을 "삼가다[謹愼]" 또는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옛말인
"섧다"에서 그 어원을 찾기도 한다. 이는 설날을 한자어로 신일(愼日)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신일이란 '삼가고 조심하는 날'이란 뜻인데,
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간 질서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 문에 인간의 모든
언행을 삼가고 조심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긴 말이다.
한편 설날은 원일(元日)·원단(元旦)·정조(正朝)·세수(歲首), 세초(歲初)·
세시(歲時)· 연두(年 頭)·연시(年始) 등의 한자어로도 불린다.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이고 설날은 그 중에서도 첫날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설날의 어원에 대해서는 대개 세가지 정도의 설이 있다.
우선, 설날을 '낯설다'라는 말의 어근인 "설"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이다.
그래서 설날은 '새해에 대한 낯설음'이라는 의미와 '아직 익숙하지 않는 날'이란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설 날은 묵은해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해에
통합되어 가는 전이 과정으로, 아직 완전히 새해에 통합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그러한 단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설날은 "선날" 즉 개시(開始)라는 뜻의 "선다"라는 말에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선날"이
시간이 흐르면서 연음화(連音化)되어 설날로 와전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날을 "삼가다[謹愼]" 또는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옛말인
"섧다"에서 그 어원을 찾기도 한다. 이는 설날을 한자어로 신일(愼日)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신일이란 '삼가고 조심하는 날'이란 뜻인데,
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간 질서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 문에 인간의 모든
언행을 삼가고 조심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긴 말이다.
한편 설날은 원일(元日)·원단(元旦)·정조(正朝)·세수(歲首), 세초(歲初)·
세시(歲時)· 연두(年 頭)·연시(年始) 등의 한자어로도 불린다.
고종우님의 댓글
설 풍자
설왕설레 했던 일년이 가고
설빔 챙겨 주시던 어머니 생각
설중에 핀 꽃처럼 숭고한 종가집 며느리로
설날되면 그리움이 한아름 눈가에 어려
설거지가 가득 쌓인 차례상 뒷정리
설설기며 치우는것은 무릎에 부담되어
설치고 부산스런 필리핀 동서 풍습에 적응하는
설익은 모습이 작년보다 올해가 크게 성장해 어여뻐
설렘보다 부담이 더 큰 명절, 새해엔
설자리 가려서서 본분을 다하는 이름으로
설레설레 머리 흔드는 손가락질 당하는일 없게
설령 어려운 일 생겨도 잘 해결하는 사람 되고 싶어요.
설왕설레 했던 일년이 가고
설빔 챙겨 주시던 어머니 생각
설중에 핀 꽃처럼 숭고한 종가집 며느리로
설날되면 그리움이 한아름 눈가에 어려
설거지가 가득 쌓인 차례상 뒷정리
설설기며 치우는것은 무릎에 부담되어
설치고 부산스런 필리핀 동서 풍습에 적응하는
설익은 모습이 작년보다 올해가 크게 성장해 어여뻐
설렘보다 부담이 더 큰 명절, 새해엔
설자리 가려서서 본분을 다하는 이름으로
설레설레 머리 흔드는 손가락질 당하는일 없게
설령 어려운 일 생겨도 잘 해결하는 사람 되고 싶어요.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