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회 소식

서라벌의 정취

컨텐츠 정보

본문





옛 서라벌의 정취를 찾아서~

간압지의 야경과 문무대왕능의 해돋이

사적 제158호.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은 자신이 죽으면 불교식으로 화장한 뒤

유골을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는 유언을 남겼다.

681년 문무왕이 죽자 유언에 따라 화장한 유골을 동해의 큰 바위에 장사지내고,

그 바위를 대왕암(大王巖)이라고 불렀다. 바위는 둘레가 200m쯤 되는 천연 암초인데

사방으로 바닷물이 드나들 수 있는 물길을 터놓아 언제나 맑은 물이 흐르고 있다.

이 물길은 인공을 가한 흔적이 있고, 안쪽 가운데에 길이 3.7m, 높이 1.45m, 너비 2.6m의

큰 돌이 남북으로 길게 놓여 있어 이 돌 밑에 문무왕의 유골을 묻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다 수면은 이 돌을 약간 덮을 정도이다. 한편 바위의 안쪽 가운데에서

사방으로 물길을 낸 것은 부처 사리(舍利)를 보관하는 탑의 형식을 적용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682년(신문왕 2) 양북면 용당리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어 불력(佛力)에 의해

왜구를 막으려 했는데, 〈삼국유사〉에는 감은사의 금당 아래를 깎아 동해로 구멍을 내어

해룡이 된 문무왕이 드나들 수 있도록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15113B334F669B7A26B6D8

관련자료

댓글 6

조항삼님의 댓글

사가(史家)들의 설화가 후세인들의 가슴에
면면히 흘러 내려오는 것이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군요.

가히 사적(史蹟)의 가치가 보여지는군요.

박신자님의 댓글

정현씨..한은희총무님..해순언니..
발검음 감사합니당^^
어설프게 셔터를 눌렀어도 올리고보니 그림이네요!
문무왕능은 가까이서 찍어도 바위만 나오더라구요~

정해순님의 댓글

아~ 그러고 보니 보이네요
친절하신 우리총무님
참으로 장관이군요
해 뜨는 모습이 문무왕 무덤에 비추이는
햇님이 그림입니다

한은희님의 댓글

해순님!
해돋이 밑으로 보이는 바위가 바로 문무대왕릉이예요.
바닷속에 묻혀 있어 무덤같은 기분은 없거든요.
아주 멋진 해돋이입니다.

정해순님의 댓글

박신자님 기왕이면
문무왕 무덤인 대왕암도 찍어서
보여주지 그랬어요
이야기만 듣기보다
어떤모습에 돌일까 궁금하네요

문정현님의 댓글

주말같은
화요일 춘분의 날 오후를 만나고 있습니다.

여기저기 화사한 매화꽃이 봄소식의
단초가 됩니다.
행복한 주간 되이소.

겨울 바닷가 !~
추운 바람이라도 좋으니
칼바람이라도 좋으니 달려보고 싶습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