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사진]
분류
양영희(前하일교회장)님과 박춘열(전도되신분)님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경남 3차 기동대를 수료하고
애띤 소녀 양영희양은 경남고성 하일교회장으로 부임한다.
건장한 청년 박춘열군은
교회장의 정성과 열정으로 우여곡절끝에 일주일 수련회에 참석하고
말씀에 감동하여 하일교회의 중심 식구가 된다.
1800가정 축복식에
모자가 함께 은총을 받고
사회 봉사 활동등 변함없는 믿음과 실천으로
주변의 존경을 흠뻑 받고있다.
1800가정 속리산 행사장에서 함께한 사진을 올린다.
관련자료
댓글 6 개
정해관님의 댓글
아미타불은 영원한 생명, 한량없는 광명을뜻하는 부처님의 명호입니다. 아미타불다(Amita Buddhai Amitayus Buddha),란 범어를 흔히 아미타불이라 부르고 뜻으로 무량수불(無量壽佛) 무량광불(無量光佛)이라 하여 영원한 생명과 한량없는 광명이신 부처님이라는 말입니다. 여기에 나무(南無-Namo)라는 말을 덧붙이는데 이는 귀명(歸命) 귀의(歸依)로써 나의 신명을 던져 돌아가 의지하여 구원을 청한다는 뜻입니다, 결국 나무아미타불은 영원한 생명, 한량없는 광명인 깨달음의 본체에 돌아가 의지하여 구원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관세음 보살은 아발로키데스바(Avalokitesvara) 를 번역한 말로 관자재 라고도 합니다. 관세음 보살은 이 세상의 모든 소리를 관(觀)하는 보살이요, 깊은 지혜를 세상을 관조하여 자재로운 묘과(妙果)를 얻는 이란 뜻으로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으로 서원으로 하는 보살 이름입니다. 또 중생들에게 온갖 두려움이 없는 무외심(無畏心)을 베풀어주는 시무외자(施無畏者)요, 자비를 위주로 세상을 구제하는 대비성자(大悲聖者)입니다. 관세음보살을 부르고 염(念)하는 것도 사바. 고해에서 허덕이는 중생들이 대자대비의 본원력으로 구제를 받으려는 염원인 것입니다.
할렐루야는 헤브라이어로 "야훼를 찬양하라"의 뜻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전례에서 쓰였으며, 70인역 성서에서 알렐루야(alllouia)라고 그리스어로 고쳐 썼기 때문에 라틴어에서도 알렐루야로 쓰게 되었습니다.
[할렐루야와 알렐루야는 같은 말]
알렐루야(Alleluia)
우리는 미사 중에 그리고 특히 부활때 알렐루야 (Alleluia)라는 전례적인 용어를 많이 씁니다. 알렐루야란 말은 하느님을 찬미하여라는 뜻이며 여기에서 라틴어 라우다떼 도미눔(Laudate Dominum 주님을 찬미하여라)이라는 말도 나왔습니다.
관세음 보살은 아발로키데스바(Avalokitesvara) 를 번역한 말로 관자재 라고도 합니다. 관세음 보살은 이 세상의 모든 소리를 관(觀)하는 보살이요, 깊은 지혜를 세상을 관조하여 자재로운 묘과(妙果)를 얻는 이란 뜻으로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으로 서원으로 하는 보살 이름입니다. 또 중생들에게 온갖 두려움이 없는 무외심(無畏心)을 베풀어주는 시무외자(施無畏者)요, 자비를 위주로 세상을 구제하는 대비성자(大悲聖者)입니다. 관세음보살을 부르고 염(念)하는 것도 사바. 고해에서 허덕이는 중생들이 대자대비의 본원력으로 구제를 받으려는 염원인 것입니다.
할렐루야는 헤브라이어로 "야훼를 찬양하라"의 뜻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전례에서 쓰였으며, 70인역 성서에서 알렐루야(alllouia)라고 그리스어로 고쳐 썼기 때문에 라틴어에서도 알렐루야로 쓰게 되었습니다.
[할렐루야와 알렐루야는 같은 말]
알렐루야(Alleluia)
우리는 미사 중에 그리고 특히 부활때 알렐루야 (Alleluia)라는 전례적인 용어를 많이 씁니다. 알렐루야란 말은 하느님을 찬미하여라는 뜻이며 여기에서 라틴어 라우다떼 도미눔(Laudate Dominum 주님을 찬미하여라)이라는 말도 나왔습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