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분류
제물 위에 춤추는 자 누구인가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제물 위 춤추는 자 누구인가
후목/ 소 상호
거룩한 제상 위에
한 개의 동전도 얹지 않고
파아란 배춧잎 하나도 얹지 않던 이
탐욕을 내는
제물의 떨거지
그들은 제물 위에서 춤을 추누나.
더러운 냄새를 풍기고
가면을 쓰고 칼을 꽂고 창을 던지는
아벨에 싸움을 거는 자
제물을 팔아 방주를 짓고
제물을 팔아 욥을 살려는 어리석음으로
제물은 울고 있다.
제물의 눈물을 보았는가?
여의도 땅도 울고
메리어트 호텔도 울더이다.
제물을 탐하려는 자
제물 위에서 춤추는 자
그를 버리려는 논개는 없는가.
그를 돌이키는 선지자는 없는가.
관련자료
댓글 4 개
정해관님의 댓글
문예 사조에 따른 詩의 갈래
① 낭만시(浪漫詩) : 전통에 대한 반발로 개인의 자유로운 정서를 중요시한 시. 영국의 워즈워드가 대표적 시인이다.
② 상징시(象徵詩) : 언어가 지닌 모호성, 상징성, 음악성에 깊은 관심을 보인 시로 난해한 시를 낳게 됨. 프랑스의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이 대표적 시인이다
③ 주지시(主知詩) : 냉철한 지성을 바탕으로 해서 씌어진 시. T.S.엘리어트가 대표적 시인이다.
④ 초현실시(超現實詩) : 인간의 내면 세계를 중시하여 자동 기술법을 바탕으로 씌어진 시. 이상의『오감도』등이 이에 속한다.
여기서 후목님은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과 같은 반열로 생각 됩니다만...
① 낭만시(浪漫詩) : 전통에 대한 반발로 개인의 자유로운 정서를 중요시한 시. 영국의 워즈워드가 대표적 시인이다.
② 상징시(象徵詩) : 언어가 지닌 모호성, 상징성, 음악성에 깊은 관심을 보인 시로 난해한 시를 낳게 됨. 프랑스의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이 대표적 시인이다
③ 주지시(主知詩) : 냉철한 지성을 바탕으로 해서 씌어진 시. T.S.엘리어트가 대표적 시인이다.
④ 초현실시(超現實詩) : 인간의 내면 세계를 중시하여 자동 기술법을 바탕으로 씌어진 시. 이상의『오감도』등이 이에 속한다.
여기서 후목님은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과 같은 반열로 생각 됩니다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