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는 모래에 새기고 은혜는 돌에 새겨라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용서는 모래에 새기고 은혜는 돌에 새겨라
두 사람이 사막을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여행중에 문제가 생겨 서로 다투게 되었습니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뺨을 때렸습니다.
뺨을 맞은 사람은 기분이 나빴지만
아무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모래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오늘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나의 뺨을 때렸다."
오아시스가 나올때까지 말없이 걸었습니다.
마침내 오아시스에 도착한 두 친구는
그곳에서 목욕을 하기로 했습니다.
뺨을 맞았던 사람이
목욕을 하러 들어가다 늪에 빠지게 되었는데
그때 뺨을 때렸던 친구가 그를 구해주었습니다.
늪에서 빠져나왔을 때
이번에는 돌에 이렇게 썼습니다.
"오늘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나의 생명을 구해주었다."
그를 때렸고 또한 구해준
친구가 의아해서 물었습니다.
"내가 너를 때렸을 때는 모래에다가 적었는데,
왜 너를 구해준 후에는 돌에다가 적었지?"
친구는 대답했습니다.
"누군가가 우리를 괴롭혔을 때
우리는 모래에 그 사실을 적어야 해.
용서의 바람이 불어와
그것을 지워버릴 수 있도록...
그러나 누군가가
우리에게 좋은 일을 하였을 때
우리는 그 사실을 돌에 기록해야 해.
그래야 바람이 불어와도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테니까."
- 좋은 글에서-
우리 속담에
"원수는 물에 새기고, 은혜는 돌에 새기라."
하는 말이 있습니다.
가만 생각해보면 맞는 말인데
돌아보면 우리는
그것을 거꾸로 할 때가 많습니다.
잊어서는 안 될 소중한 은혜는
물에 새겨 금방 잊어버리고
마음에서 버려야 할 원수는
돌에 새겨 두고두고 기억하는 것이지요.
은혜를 마음에 새기면 고마움이 남아
누구를 만나도 무슨 일을
만나도 즐겁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마음에 원수를 새기고 나면
그것은 괴로움이 되어 마음속에
쓴 뿌리를 깊이 내리게 됩니다.
우리의 마음은 하나여서
은혜를 새기든 원수를
새기든 둘 중의 하나일 것입니다.
한번 내 마음을 조용히 돌아봅시다.
지금 내 마음속에 새겨져 있는 것은
무엇인지를 돌아봅시다.
내 마음 가득히 원수를 새기고
쓴 뿌리를 키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은혜를 새기고 늘 감사하며
살아가는지 돌아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따뜻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하시고 건강들 조심하는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관련자료
이인규님의 댓글
혹 물위에 새길 사람은 없는 가 찾을 것도 없습니다.
돌에 새 길 사람이나 일을 찾는 나약한 모습은 결국 돌이 부족한 시대로 갈 것입니다.
모래나 물을 생각 않고 돌도 생각 않고 사는 사람이 천일국 백성일 것입니다.
맨 날 은혜나 입고 사는 사람들이 발에 걸린 그런 사회는
성숙한 사회는 아닐 것입니다.
내 마음에 원수가 없으면
그는 원수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 길을 갈 것이고
끝내 그는 천일국 주인이 될 것입니다.
청파동 박여사님!
제 이름을 물 위에 새기시건 돌에 새기시건 자유지만
그렇지 않아도 무거운 짐들을 지고 간다고 야단인 마당에
무엇땜새 마음에 돌을 주문하시고 거창한 모래 밭이나 거대한 물을 갖게 하십니까?
그냥 마음 그대로가 최상이 아닐까요?
아버지 말씀 적기도 바쁜세상에
사람 이름까지 생각해서 돌에 새길 사람인가 모래에 새길 사람인가를 분별하시라니
그러다가 버스떠나면 어쩌라고 ......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