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열쇠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열쇠 / 문용대
우리 집 대문 열쇠는 나와 참 가까운 사이다. 자동차 열쇠, 사무실 열쇠와 함께 어떤 물건보다 나와 같이 있는 시간이 많다. 내가 외출할 때면 가장 먼저 챙기는 귀중품이다.
독일에서는 열쇠를 더 잘 간수해야 된다고 한다. 독일이라 하면 세계적으로 기술력이 뛰어난 곳이지만, 아날로그방식을 고집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 열쇠를 사용하는 점이 대표적이다. 집을 빌릴 때 체크 리스트에 건물 외부, 집 안, 창고 등의 열쇠 개수를 적고 확인하는 것은 물론, 열쇠를 제작한 회사명까지 적어 임의로 복제할 수 없게 한다. 그 곳에서 사용하는 열쇠는 구조가 복잡해 열쇠 없이는 일반인이 문을 열 수가 없다.
열쇠를 집안에 두고 대문을 닫았거나, 밖에서 분실했다가는 수리공의 수리비와 출장비, 주말이나 저녁때라면 특별 출장비를 포함해 적게는 우리 돈 30~40만원부터 100여만 원까지 부담해야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1,000만 원 이상 될 수도 있다. 분실한 열쇠로 외부인이 들어갈 수 있어서 몽땅 다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또 주말이라 수리공이 오지 않을 때는 길거리에서 지낼 수밖에 없으니 열쇠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열쇠로 인해 생각나는 일이 몇 가지 있다. 경남 창원 어느 아파트에 살던 때다. 저녁 때 일곱 살, 다섯 살 두 아이를 집에 두고 우리 부부는 열쇠 없이 잠시 외출했다가 열 시가 좀 안된 시간에 돌아왔다. 초인종을 눌러도, 문을 두드려도, 전화를 해도 인기척이 없다. 현관 문 밖에 무릎을 꿇고 허리를 굽혀, 우유 구멍에다 입을 대고 10분 이상 아무리 소리를 질러도 소용이 없다. 앞집 새댁식구들은 무슨 일인가 싶어 나와 보는데도 우리 아이들은 깊은 잠에서 깰 줄을 모른다. 계단에 앉아 우리는 이 생각 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를 어찌하나? 친구네 집으로 가야하나, 차 안에서 아침이 되기를 기다려야 하나!”
잠시 숨을 고르고 있다가 마지막으로 다시 우유구멍 앞에 손바닥을 말아 안쪽을 향해 더 크게 소리를 질렀다. 다섯 살 작은 애가 “시끄러워서 잠을 못자겠다”고 투덜대며 눈을 비비고 나와 문을 열어 주어서 사건(?)이 종료된 적이 있다. 생각하면 지금 아이의 엄마가 된 그 딸이 고맙다.
지난 해 유사한 일이 벌어졌다. 내가 아니고 이웃집 70세가 넘은 지인 유아무개씨는 열쇠없이 외출했다가 담을 넘어야했다. 그 충격으로 발뒤꿈치 인대를 다쳐 1년 넘게 병원을 다니면서 고생하고 있다.
자동차 안에 열쇠를 두고 문이 잠기는 바람에 자동차 보험회사로부터 개문 서비스를 몇 차례 받은 적도 있다. 나중에는 철사 옷걸이나 납작한 잣대를 이용해서 문을 열 수 있을 정도의 요령이 생겼다.
중요시하게 다루어야 하는 열쇠가 있는가 하면, 수없이 버려지는 열쇠도 있다. 남산 서울타워 옆에는 족히 수 톤(Ton)이 될 만큼 량의 ‘사랑의 자물쇠’가 채워져 있다. ‘자물쇠를 채우고 열쇠를 버리면 사랑이 영원하다’는 잘못된 속설로 인하여 부근에 버리고 가는 열쇠를 처리하느라 타워 측에서는 골머리를 앓는다고 한다. 해결 방법으로 열쇠가 없는 자물쇠를 팔기도 해 보고, 열쇠를 버리지 말아달라는 문구의 안내판도 붙여 보지만 소용이 없어 열쇠 회수를 위한 ‘사랑의 우체통’을 설치했다. 나는 그 통이 편지를 써서 넣는 것인 줄 알았는데 우체통이 아니라 열쇠를 버리고 가는 통이란다.
1960년대 초등학교 졸업식장에서 있었던 경찰 지서장의 축사 내용도 생각난다.
“자물쇠가 필요 없는 세상, 즉 믿음 있는 사회, 도둑이 없는 사회를 만들자”는 요지였다. 자물쇠가 없으면 당연히 열쇠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도둑 잡는 것이 당시 경찰의 주된 일이었던 그 시대상을 짐작할 수 있다.
‘열쇠’는 문단속이나 귀중품을 보관하는 데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재는 열쇠’ 등 참 좋은 비유로도 다양하게 쓰인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로도 쓰이고, ‘성공의 열쇠’, ‘행복의 열쇠’, ‘비밀열쇠’, 미국에서 존경받는 시민에게 시장이 주는 황금 ‘행운의 열쇠’, 그리고 예수가 베드로에게 건네 준 ‘천국 문 열쇠’가 그렇다. 그 중에서도 마음을 얻으면 천하도 손에 넣을 수 있는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가 가장 소중하지 않을까.
(사)한국수필가협회 한국수필 2017년 8월호 게재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