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名詩15.走馬川行奉送封大夫出師西征(주마천행봉송봉대부출사서정)-잠참(岑參)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中國名詩15.走馬川行奉送封大夫出師西征(주마천행봉송봉대부출사서정)-잠참(岑參)
走馬川行奉送封大夫出師西征(주마천행봉송봉대부출사서정)
<주마천에서 봉대부 서역 원정을 전송>
君不見走馬川行雪海邊(군불견주마천행설해변)그대는 보지 못했는가,주마천이 설해가로 흐르고
平沙莽莽黃入天 (평사망망황입천). 평평한 모래벌은 끝이 없고 황사가 하늘에 닿는다
輪臺九月風夜吼 (륜태구월풍야후), 윤대의 구월 바람은 밤에 포효하고
一川碎石大如斗 (일천쇄석대여두). 하천에 부서진 돌은 한 말 크기로 크고
隨風滿地石亂走 (수풍만지석난주), 바람 따라 온 땅에 가득하고 돌은 어지러이 돌아다니네
匈奴草黃馬正肥 (흉노초황마정비). 흉노의 풀은 누렇고 말은 한참 살찌고
金山西見煙塵飛 (금산서견연진비), 금산의 서쪽에서 전쟁이 일어났네
漢家大將西出師 (한가대장서출사). 한나라 대장군들 서쪽으로 출정하네
將軍金甲夜不脫 (장군금갑야부탈), 장군의 쇠 갑옷 밤에도 벗지 못하고
半夜軍行戈相撥 (반야군항과상발). 한밤중 군대행열 창들은 서로 부딪히고
風頭如刀面如割 (풍두여도면여할), 바람 끝이 칼 같아 얼굴을 베어내듯 차갑네
馬毛帶雪汗氣蒸 (마모대설한기증). 말의 철에 눈이 쌓이나 땀이 다 증발시키고
五花連錢旋作冰 (오화련전선작빙), 오화, 연전마에 두루 고드름 달렸네
幕中草檄硯水凝 (막중초격연수응). 군막에서 글을 쓰매 벼룻물이 다 얼어버렸고
虜騎聞之應膽懾 (노기문지응담섭), 오랑캐가 소식 듣고 간담이 서늘하여
料知短兵不敢接 (료지단병부감접). 약한 병기로 감히 접전하지 못할 것을 짐작하고
車師西門佇獻捷 (거사서문저헌첩)! 거사국 서문에서 전리품 바치기를 가다린다네
感想 이 가행은 封常淸이 부대를 이끌고 서역으로 출전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변새시의 전형적인 풍격을 엿볼 수 있다. 행군의 괴로움을 묘사하는 장면에는 전형적인 환경과 줄거리를 수반한다. 가령 시간은 야간이고 장군은 밤에도 갑옷을 벗지 못하고 있어 그의 임무가 막중함을 암시하고 있다. 한밤중의 행군은 어둠속에서 신속하게 달려나가 불의에 적을 치고자 하는 것이고, 戈相撥(과상발 :창이 서로 부딪치는 것)의 스토리는 칠흑 같은 어두움을 상상하게 한다.
2. 잠참(岑參) : 중국 당대(唐代)의 저명한 시인. 잠가주(岑嘉州)라고도 한다.
잠참은 몰락한 귀족 출신이라 관직을 얻기 위해서는 문학적 재능에 의존하여 과거에 급제하는 수밖에 없었다.
750년대에 당나라 세력권 안에 있던 중앙아시아의 변경 식민지에서 관리로 일했지만, (安西節度使인 高仙芝 밑에서 掌書記로 근무) 755년에 안사(安史)의 난이 일어나자 중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황제에 대한 충성을 지켜 안사의 난이 진압된 뒤 768년에 은퇴할 때까지 계속 여러 지방의 지방장관 자리를 유지했다.
당나라 시의 전성기를 이룩한 성당(盛唐) 시인들 중에는 이백(李白)과 두보(杜甫) 같은 거장들이 있는데, 이 세대에 속하는 잠참은 어법과 운율을 혁신함으로써 '율시'(律詩)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 당시 사람들은 그의 능숙한 표현양식, 특히 틀에 박히지 않은 은유와 풍부한 상상력을 찬양했다.
그는 젊을 때 직접 경험한 이국적인 중앙아시아를 자주 시의 무대로 삼아 '변새 시인'으로 널리 알려졌다.
♣사조영웅전(射雕英雄傳)에서 곽정이 호라즘(Xorazm 花剌子模)을 원정할 때, 중앙아시아의 추운 날씨를 묘사하는 부분에서 잠삼의 이 싯구들이 인용되고 있다. <주마천행봉송봉대부출사서정(走馬川行奉送封大夫出師西征)>과<윤대가봉송봉대부출사서정(輪臺歌奉送封大夫出師西征)>은 잠참(岑參 715~770)이 754~5년에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미촨(米泉)에서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들로 원정을 떠나는 봉상청(封常淸)을 전송하고, 칭송하는 내용이다. 봉상청(封常淸 ?~756)은 고선지(高仙芝)에 의해 등용되어, 747년 소발률(小勃律)원정이나 751년 탈라스(Talas 怛羅斯)전투를 함께했고, 756년 안록산의 난 당시 동관(潼關)방어의 책임을 물어 고선지가 처형될 때 함께 참수당한 인물이다. 잠참도 고선지의 막료로서 서역원정에 종사하며 작품을 남겼다고 한다.
관련자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