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회 게시판
[산행안내] 분류

주왕산A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주왕의 전설이 서린 주왕산

 

청송(靑松)의 주방산(周房山, 현재의 주왕산)은 골이 모두 돌로 이루어져 마음과 눈을 놀라게 하며, 샘과 폭포도 지극히 아름답다.

이중환이 주왕산을 두고 한 말이다.

조선 후기의 문인이었던 홍여방은 청송읍의 찬경루(讚慶樓)에 있는 『찬경루기』에서 이곳 청송의 형승을 일컬어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산세는 기복이 있어서 용이 날아오르는 것 같기도 하고, 범이 웅크린 것도 같으며, 냇물은 서리고 돌아 마치 가려 하다가  다시 오는 것 같다.

 

 

이 말처럼 주왕산은 다른 곳에선 볼 수 없는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국립공원 중 면적이 가장 작은 주왕산이 1976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수 있었던 것은 기이한 풍광이 많아서였다. 그렇게 높지도 크지도 않은 이 산은 조물주가 정성껏 빚은 솜씨인 듯 봉우리 하나하나와 계곡이 어울려 경이로운 절경을 연출한다. 특히 대전사(大典寺)에서 제3폭포에 이르는 4킬로미터에 이르는 계곡은 주왕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보여준다.


주왕산은 해발 720미터로 그다지 높지 않지만, 그 주위로 태행산(933미터)ㆍ대둔산(875미터)ㆍ명동재(875미터)ㆍ왕거암(907미터) 등 대개 해발 600미터가 넘는 봉우리들이 둘러서 있어 산들로 병풍을 친 듯한 모습이 매우 인상 깊다. 그래서 주왕산 일대는 예부터 ‘석병산(石屛山)’이라 불렸다. 그 병풍 같은 봉우리들 사이 남서쪽으로 흐르는 주방천 상류인 주방계곡의 이쪽저쪽으로 아들바위ㆍ시루봉ㆍ학소대ㆍ향로봉 등 생김새를 따라 이름 붙인 봉우리도 한둘이 아니다.

 



대전사 뒤편에 솟은 흰 바위봉우리는 마치 사이좋은 형제들처럼 옹기종기 모여 있는데, 이 봉우리가 주왕산 산세의 특이함을 대표하는 기암이다. 이 기암이 특별히 눈에 띄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울퉁불퉁한 화강암 바위와 달리 그 생김새가 매우 매끄러워 보이기 때문인데, 그것은 기암을 구성하는 석질의 성분 때문이다. 기암은 화산재가 용암처럼 흘러내려가다가 멈춰서 굳은 회류응회암으로 된 봉우리인 것이다. 이 기암처럼 주왕산의 봉우리들은 화산이 격렬하게 폭발한 뒤에 흘러내리면서 굳은 회류응회암으로 이루어졌다.

 

 

 

 

 

 

 

 



대전사와 주왕산 대전사 뒤편에 솟은 흰 바위봉우리는 마치 사이좋은 형제들처럼 옹기종기 모여 있는데, 이 봉우리가 주왕산 산세의 특이함을 대표하는 기암이다.

 

 

 

옛 이름이 석병산인 주왕산에는 중국 주나라 왕의 전설이 서려 있다. 중국 당나라 때 주도라는 사람이 스스로 후주천왕(後周天王)이라고 칭한 뒤 당나라의 도읍지였던 자안으로 쳐들어갔다가 크게 패한 뒤 쫓겨다니다가 마지막 숨어든 곳이 이곳 주왕산이었다고 한다. 당나라에서는 주왕을 섬멸해달라고 신라에 요청했고, 신라에서는 마일성 장군의 5형제를 보내 주왕을 쳤다. 그때 주왕은 주왕산에 솟은 기암들을 노적가리처럼 위장하여 적을 물리쳤다고 한다. 그러한 전설을 뒷받침하듯 주왕산에는 주왕이 군사들을 숨겨두었다는 무장굴과 주왕의 군사들이 군사 훈련을 하고 그 안에서 주왕의 딸인 백련공주가 성불했다는 연화굴 그리고 주왕이 마 장군을 피해 있으면서 위에서 떨어지는 물로 세수를 하다가 마 장군이 쏜 화살과 철퇴에 맞아 죽었다는 전설이 서린 주왕굴이 있다.

 



주왕굴에서 떨어져내리는 폭포 물로 세수를 하던 주왕이 화살과 철퇴에 맞았을 때 주왕이 흘린 피가 산을 따라 흐르면서 이 산기슭에선 수진달래[수단화(水丹花)]가 그토록 아름답게 피어났으며, 대전사도 고려 태조 2년에 보조국사가 주왕의 아들 대전도군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절이라고 한다.

 



이곳 주왕산은 주왕뿐 아니라 신라 때 사람 김주원이 숨어들었던 곳이기도 하다. 선덕왕의 뒤를 이어 왕으로 추대된 김주원이 훗날 원성왕이 된 김경신의 반란으로 왕위에 오르지 못한 채 쫓겨 이곳 석병산에서 숨어 지냈다고 한다.

 


주왕과 김주원의 한이 아직도 남아 있는지 주왕산의 골짜기들은 음습하기만 하고, 이곳저곳에서 세차게 떨어져내리는 폭포 소리는 여전히 요란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주왕의 전설이 서린 주왕산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관련자료

댓글 3

정해관님의 댓글

묘한 슬픈 운명의 두 사람이네요. 하나는 반란을 꾀했다가 실패한 사람이고, 다른 하나는 왕좌를 이어받아야할 사람인데 반란자 때문에 숨어야했던....수려한 그속에 슬픈 전설이 대조가 되어 오래 간직할 추억이 될듯 싶습니다.

성범모님의 댓글

웅장한 산세와 수려한 경관으로 소금강이라고도 불리는 주왕산!

 

단합대회 앞두고 미리보는 소개 글에 감사합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