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 호흡법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류현민의힐링스토리-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복식호흡
호흡은 기(氣)를 움직이는 매개체이다. 기는 몸과 마음의 사다리 역할을 한다. 호흡이 얼마만큼 규칙적이고 고르냐에 따라 육체적, 정서적, 정신적 건강을 좌우한다. 예를 들어 비상식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건을 목도할 때 몸과 마음은 스트레스 상태에 놓인다. 사건에 대한 공격반응이든 회피반응이든 모두 스트레스 반응이다. 당연히 몸과 마음에 부정적이다. 이럴 때 호흡을 가슴에서 배로 내리자. 그러면 흥분이 가라앉는다. 더불어 감정은 가슴에서 머리로 올리자. 뜨거운 가슴도 필요하나 차가운 머리로 이성적인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호흡을 내리는 일은 사건에 대해 이완반응을 하는 방법이다.
각종 매체의 범람으로 마음을 챙기기는 쉽지 않다. 특히 자극적이고 부정적인 사건에 뇌는 더욱 즉각 반응한다. 그런 면에서 요즘은 복식호흡이 필요한 시대이다. 복식호흡은 심폐 기능을 강화하고 소화력을 좋게 한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피로 해소에 좋다. 복부에 주의를 두기 때문에 위에 있던 기운을 내려 마음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정신이 가면 곧 기가 가고, 정신이 머물면 기도 머문다. 정신이 이르는 곳이면 기도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 조선 시대 도학자 북창 정렴이 지은 용호비결(龍虎秘訣)에 나오는 문구이다. 우리는 중요하다고 여기는 곳에 주의를 둔다. 주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기와 마음의 흐름은 달라진다. 주의를 두는 곳에 기운이 모인다. 만약 손바닥에 집중하면 손바닥이 따뜻해진다. 몸에 주의를 두면 해당 신체 부위는 긴장하는 게 아니라 이완한다. 기가 모이고 혈액 순환, 산소 순환, 림프 순환, 체액 순환 등이 활발해져 몸과 마음의 독소를 배출한다.
류현민 한국전인치유연구소장·뷰티건강관리학
무언가에 대한 긍정적인 의도는 그에 상응하는 호흡을 이끌어낸다. 호흡 상태에 따라 근육의 강도와 마음 상태가 따라간다.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챙기겠다는 의도는 깊고 고른 호흡, 즉 복식호흡을 하게 한다. 복식호흡은 근육과 감정을 부드럽게 마사지한다.
복식호흡은 숨을 들이쉴 때 횡격막과 복부를 부풀게 하고, 내쉴 때 수축하도록 하는 호흡이다. 복식호흡은 쉽고 간단하다. 그러나 무의식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습관화되려면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턱은 약간 당기고 입가에 미소를 머금는다. 코를 통해 들이쉬는 숨이 배를 불릴 수 있도록 한다. 내쉬는 숨에 몸의 긴장을 풀고 배는 수축할 수 있게 한다. 깊고, 길고, 미세하고, 균등하고, 자연스러운 호흡 상태를 지속해서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들숨과 날숨의 비율은 1대 2 정도이다. 5초 동안 숨을 마셨다면 10초 동안 내쉰다. 숨이 가쁘지 않도록 호흡 능력의 80∼90%만 활용하는 게 좋다. 호흡 자세는 마음과 기운을 안정시키는 바르게 앉는 자세가 기본이다. 앉기가 힘들면 누워서 한 손을 가슴에 다른 손바닥을 복부에 올려놓고 한다. 호흡에 의한 복부의 움직임이 손에서 감지되므로 집중이 쉽다. 또는 호흡의 횟수를 관찰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보통 1분에 16∼20회의 호흡을 하지만 나중에는 호흡이 더 느려지고 부드러워진다
제공 : 세계일보
호흡은 기(氣)를 움직이는 매개체이다. 기는 몸과 마음의 사다리 역할을 한다. 호흡이 얼마만큼 규칙적이고 고르냐에 따라 육체적, 정서적, 정신적 건강을 좌우한다. 예를 들어 비상식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건을 목도할 때 몸과 마음은 스트레스 상태에 놓인다. 사건에 대한 공격반응이든 회피반응이든 모두 스트레스 반응이다. 당연히 몸과 마음에 부정적이다. 이럴 때 호흡을 가슴에서 배로 내리자. 그러면 흥분이 가라앉는다. 더불어 감정은 가슴에서 머리로 올리자. 뜨거운 가슴도 필요하나 차가운 머리로 이성적인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호흡을 내리는 일은 사건에 대해 이완반응을 하는 방법이다.
각종 매체의 범람으로 마음을 챙기기는 쉽지 않다. 특히 자극적이고 부정적인 사건에 뇌는 더욱 즉각 반응한다. 그런 면에서 요즘은 복식호흡이 필요한 시대이다. 복식호흡은 심폐 기능을 강화하고 소화력을 좋게 한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피로 해소에 좋다. 복부에 주의를 두기 때문에 위에 있던 기운을 내려 마음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정신이 가면 곧 기가 가고, 정신이 머물면 기도 머문다. 정신이 이르는 곳이면 기도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 조선 시대 도학자 북창 정렴이 지은 용호비결(龍虎秘訣)에 나오는 문구이다. 우리는 중요하다고 여기는 곳에 주의를 둔다. 주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기와 마음의 흐름은 달라진다. 주의를 두는 곳에 기운이 모인다. 만약 손바닥에 집중하면 손바닥이 따뜻해진다. 몸에 주의를 두면 해당 신체 부위는 긴장하는 게 아니라 이완한다. 기가 모이고 혈액 순환, 산소 순환, 림프 순환, 체액 순환 등이 활발해져 몸과 마음의 독소를 배출한다.
류현민 한국전인치유연구소장·뷰티건강관리학
무언가에 대한 긍정적인 의도는 그에 상응하는 호흡을 이끌어낸다. 호흡 상태에 따라 근육의 강도와 마음 상태가 따라간다.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챙기겠다는 의도는 깊고 고른 호흡, 즉 복식호흡을 하게 한다. 복식호흡은 근육과 감정을 부드럽게 마사지한다.
복식호흡은 숨을 들이쉴 때 횡격막과 복부를 부풀게 하고, 내쉴 때 수축하도록 하는 호흡이다. 복식호흡은 쉽고 간단하다. 그러나 무의식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습관화되려면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턱은 약간 당기고 입가에 미소를 머금는다. 코를 통해 들이쉬는 숨이 배를 불릴 수 있도록 한다. 내쉬는 숨에 몸의 긴장을 풀고 배는 수축할 수 있게 한다. 깊고, 길고, 미세하고, 균등하고, 자연스러운 호흡 상태를 지속해서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들숨과 날숨의 비율은 1대 2 정도이다. 5초 동안 숨을 마셨다면 10초 동안 내쉰다. 숨이 가쁘지 않도록 호흡 능력의 80∼90%만 활용하는 게 좋다. 호흡 자세는 마음과 기운을 안정시키는 바르게 앉는 자세가 기본이다. 앉기가 힘들면 누워서 한 손을 가슴에 다른 손바닥을 복부에 올려놓고 한다. 호흡에 의한 복부의 움직임이 손에서 감지되므로 집중이 쉽다. 또는 호흡의 횟수를 관찰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보통 1분에 16∼20회의 호흡을 하지만 나중에는 호흡이 더 느려지고 부드러워진다
제공 : 세계일보
관련자료
댓글 1 개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