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광장
건강상식

행복어-10. 서양 고대철인 들의 행복관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행복어-10. 西洋 哲人들의 幸福觀

-건강은 신체의 여러 부분이 자연의 이치에 따라 서로 지배하고 지배받는 관계에서 확립되며, 반면 질병은 그렇지 않는 관계에서 생겨 난다.

마찬가지로 정의는 혼의 여러 부분이 자연의 이치에 따라 서로 지배하고 지배받는 관계에서 확립되며, 부정의는 그렇지 않은 관계에서 생겨난다.

그러고 보면 덕은 일종의 혼의 건강이요, 아름다움 이며 좋은 상태이고, 반면 악은 일종의 혼의 질병이요 추함이며 허약함 이다.

-친근한 사람들이나 아는 사람들에 대해 온순한 사람은 천성적으로 지혜를 사랑하고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부는 사치와 게으름 및 혁명을 초래하고, 빈곤은 혁명에 더해 노예근성과 기량의 저하를 초래한다. --플라톤의 <국가>에서.--

-젊은이 들이 시가에 밝은 자 들이 되어 절제, 용기, 자유로움, 고매함 등의 덕목을 구별할 줄 알고 그것을 지닌 것들은 작든 크든 무시하지 않게 교육해야 한다.

-육체로부터 영혼의 해방과 분리 이것이야말로 죽음이라고 불리어지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런데 영혼의 해방에 가장 열의를 갖는 자들은 지혜를 사랑하는 자들로서 그들이 수련하는 것 또한 육체로부터 영혼의 해방과 분리 바로 그것이겠지. --플라톤--

-모든 기예와 탐구, 모든 행위와 선택은 어떤 善을 목표로 한다. 幸福이 最高善이다.

-幸福은 가장 좋고 가장 고귀하고 가장 즐거운 것이며, 이 3가지는 델로스의 碑銘에 새겨진 것처럼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幸福은 완전한 탁월성에 따르는 영혼의 어떤 활동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영혼이 그것에 의해 긍정하거나 부정함으로 참을 인식하게 되는 것에는 5가지가 있다.

이것들은 기예, 학문적 인식, 실천적 지혜, 철학적 지혜, 직관적 지성 이다.

-잘 숙고한다는 것은 사유의 일이며 숙고에 있어서 일종의 올바름이다. 잘 숙고했다는 것은 단적인 목적을 제대로 성취하는 것이며, 어떤 의미로는 특정한 목적을 성취하는 것이다.

만일 잘 숙고했다는 것이 실천적 지혜가 있는 사람의 특징이라면, 숙고를 잘 한다는 것은 목적을 성취하는데 따르는 올바름일 것이고, 이에 대한 참된 파악이 바로 실천적 지혜이다.

-젊은이들은 에로스 지향적이다. 에로스적인 사랑은 대부분 감정에만 따르는 것이며 즐거움을 이유로 성립하는 것이라 순식간에 사랑에 빠졌다가 순식간에 헤어진다.

-단적으로 좋은 것은 또 단적으로 즐거운 것인데, 이것이 가장 사랑할 만한 것이다.

사랑하는 일이나 친애는 바로 이 사람들 안에서 최고이며 최선이다. --아리스토텔레스--

관련자료

댓글 2

이무환님의 댓글

서양 철인들의 행복관!!똑소리 나는 마누라의 길 안내!!를 읽는 순간 저도 모르게 웃음이 나와서 한참동안 행복의 미소같은,,,악은 일종의 혼의 질병이요 추함이요 나약함과 더불어 무관심 무성의 무신경줄등 게으름의 대명사인양 상부상조의 미덕이 부족하고 애정이 결핍되고 좋은글을 보고도 그냥 지나쳐버리는 양상군자적 인간상의 심보등,,, 너무나 좋은글 감사하오며 더욱 정진하시길 합장 축원 아주,,,

정해관님의 댓글

똑소리 나는 마누라의 길 안내
낯선 길을 따라 운전을 할 때는 마누라가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마누라는 옆 좌석에 앉아 도로지도를 펴고 말했다.

“이 길을 따라 계속 3cm 가다가 우회전한 다음 1cm 만 곧장 가면 돼요, 여보!”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