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광장
건강상식

천마 이야기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img_10_2694_4?1193710853.jpg


옛날 중국의 신농가(神農袈) 산기슭에 살던 한 부잣집 외동딸이 두통이 몹시 심하여 집안 식구들한테 걱정거리가 되었다.

온갖 좋다는 약을 다 구하여 먹여 보고
이름 난 의사를 무수히 찾아다니며 치료를 했으나 아무 효험도 없이 병은 점점 깊어졌다.

그런 어느 날 딸의 어머니가 딸을 간호하다가 지쳐 잠이 들었는데 꿈에 수염이 하얀 할아버지가 나타나서 말했다.

“네 딸의 병은 신농가의 신마(神馬)가 아니면 고칠 수 없느니라.” 꿈에서 깨어난 어머니는 걱정이 태산 같았다.

신농가는 험하고 돌아와 맹수가 많기로 이름 난 산이었다. 그 험한 산에 누가 가서 신마를 찾는단 말인가?
딸의 부모는 고민 끝에 방을 써서 붙였다.

“신농가의 신마를 찾아오는 사람에게 내 딸과 결혼하게 해 주겠노라.”

그러나 목숨을 걸고 그 험한 신농가에 올라가서 신마를 찾아오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마침 그 옆 동네에 어려서 부모를 잃고 혼자 가난하게 사는 한 젊은 사냥꾼이 있었다.
사냥꾼은 딸의 부모한테 가서 말했다.

“제가 산에 올라가서 신마를 잡아오겠습니다.”
“네 뜻이 장하구나. 부디 꼭 성공해서 돌아오기를 기다리겠다.”

사냥꾼은 험한 고개를 넘고 개울을 건너고 가시덩굴을 헤치며 맹수와 독사를 피하기도 하면서
신농가의 깊은 산 속으로 들어가 신마를 찾아 헤맸다. 여러 날을 산을 뒤졌으나 신마는 보이지 않았다.

어느 날 사냥꾼이 지쳐서 숲 속에서 쉬고 있으려니 푸드득 하는 소리가 나더니
하늘에서 붉은 갈기를 휘날리며 말 한 마리가 숲으로 내려왔다.

“저것이 신마가 틀림없어. 게 섰거라.”

사냥꾼은 힘껏 달리며 올가미를 던졌으나 신마는 땅으로 땅바닥을 한번 치더니
붉은 갈기 한 가닥만을 남기고 땅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사냥꾼은 갈기를 따라 땅을 파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참을 파도 신마는 보이지 않고 둥글 납작하고 주먹만한 뿌리 같은

것이 하나 나왔는데 그것은 땅 위에 있던 붉은 갈기와 이어져 있었다.

“신마를 놓친 것이 원통하지만 이거라도 갖고 가야겠어.”
사냥꾼은 딸의 부모를 찾아가 말했다.
“아깝게도 신마를 놓쳤습니다. 대신 신마가 사라진 곳을 파 보니 이상한 뿌리 같은 게 있어서 가지고 왔습니다.”
“음… 신마가 남기고 간 것이라면 이것이 두통을 고치는 좋은 약이 될지도 모르겠군. 이것을 딸한테 달여 먹여 보겠네.”

딸의 부모는 그 뿌리를 달여서 딸에게 먹였다.
과연 그 약은 두통에 신효가 있어 딸의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약속대로 사냥꾼은 부잣집 외동딸과 결혼하게 되었다.
그 뒤로 그 약초 뿌리야말로 하늘이 신마를 통해 보내 준 약초라 하여 신마(神馬)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차츰 세월이

지나면서 천마(天馬), 또는 천마(天麻)로 부르게 되었다.


천마는 난초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키 30∼100센티미터쯤 외줄기로 곧게 자라고 뿌리는 고구마처럼 덩이졌다. 줄기는 붉은 밤색에 조그마한 잎이 듬성듬성 난다.

5∼6월에 싹이 나서 흰빛의 꽃이 피었다가 곧 시든다. 뿌리를 천마라고 하고, 줄기를 적전(赤箭), 또는 정풍초(定風草)라고

부른다. 참나무 뿌리 삭은 데서 다른 버섯과 공생하여 자라는 반기생식물이다.
천마는 뇌 질환 계통의 질병에 최고의 신약(神藥)이다. 두통, 중풍, 불면증, 고혈압, 우울증 같은 두뇌의 질환에 불가사의

하다 할만큼 효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위궤양, 간질, 간경화증, 당뇨병, 식중독, 디스크, 백혈병, 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병에 두루두루 뛰어난 효력을 발휘한다.
동의보감에는 "허로(虛勞)와 신을 보하고 오장을 튼튼하게 하며, 기력을 돋우고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하며, 위장을 잘

다스려 설사를 멎게 하고 정신을 편안하게 한다" 고 씌여져 있다. 오장의 기능을 충실하게 하기 때문에 마를 먹으면 몸의

근간이 되는 뼈와 근육이 튼튼해지고, 정신과 신경이 안정되고 의지가 강해진다는 것이다. 마의 주요성분은 전분, 단백질,

사포닌, Mucilang, Arginine, Allantoin, Amylase, Choline 등의 주요물질이 들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는 자양강장, 지갈,

진핵, 지석 등에 효과가 있다.<요통, 건위, 동상, 화상, 유종, 양모, 갑선선종, 심장염, 유정(遺精), <, 설사, 유뇨증(遺尿症)에

대단히 유효한 생약이다.

♣ 자양강장
무친이라는 단백질의 흡수를 돕는 점액질이 풍부하고 Arginine 등의 각종 Amino acid와 각종 당질(糖質) 등 풍부한 영양분

이 함유되어 있어 자양작용을 하며 비특이적 면역능력을 증강시키고 근육을 강화한다.

♣ 소화장애 개선
디아스타제 등의 소화 효소가 들어 있는데 이 효소는 음식을 3∼4배 빨리 소화하게 한다.

♣ 당뇨의 혈당수치 저하작용
호흡기점막에 자윤(滋潤)을 공급하여 노인성 해수(咳嗽)를 경감시키고 약한 거담(祛痰)작용이 있으며 경도, 중등도의

갈증이 있는 당뇨병에 혈당강하작용이 있다.

♣ 동맥경화 예방
녹말과 당분, 단백질이 풍부하며 B₁B₂,C, 등과 동맥경화예방을 돕는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관련자료

댓글 1

정해관님의 댓글

☯ 채근담88. 영화. 권력을 바라지 않는다.

내가 영화부귀를 바라지 않으면,
재물의 유혹으로 인한 근심이 있겠는가?
내가 남들과 명예나 권력을 다투지 아니하면,
어찌 관직으로 인한 위기에 떨 필요가 있겠는가?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