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광장
회원논단

충무공이 바늘이라면 실이었던 서애 유성룡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년 ~ 1607년)

류성룡(柳成龍, 1542년 ~ 1607년 음력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이자 유학자이며, 동인의 일원이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의성 출신이며, 군수 류작(柳綽)의 손자이며,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의 둘째 아들이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이황의 제자로 조목(趙穆)·김성일과 함께 수학하였으며 성리학의 대가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직전 군관인 이순신과 원균을 천거하여 선조로 하여금 이들을 각각 전라도와 경상도의 방어책임자로 임명하도록 하였으며 이 중 이순신으로 하여금 임진왜란 당시 열세였던 조선의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공을 세웠고, 죽을 때까지 청렴하고 정직한 삶을 살아 ‘조선의 5대 명재상(名宰相)’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순신과는 어려서부터 같은 동네에서 함께 자라 절친한 사이로서 후견인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 때 겪은 후회와 교훈을 후세에 남기기 위해 《징비록》을 저술하였다. 이 책은 현재 대한민국의 국보 제132호이다.

어렸을 때부터 신동으로 평가 받으며 이황의 문하로 들어가 학문을 닦았다. 1564년 명종 때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1566년 별시 문과를 거쳐 한원(翰苑)에 들어갔다가 승문원 권지부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예문관 검열과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였고, 1569년(선조 2)에는 성절사의 서장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때 명나라의 지식인들로부터 ‘서애 선생(西厓先生)’이라 불리며 존경을 받게 된다.

이조 정랑이 되어 이준경(李浚慶)의 관직을 삭탈함이 옳지 않음을 주장하였으며, 인성(仁聖) 대비가 죽었을 때 예조에서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하였으나 유성룡은 적손(嫡孫)의 예를 따라 3년설이 타당함을 주장하여 그대로 시행되었다.

이후 응교(應敎) 등을 거쳐 경연 검토관(經筵檢討官), 직제학(直提學), 부제학(副提學), 도승지, 대사헌(1582년~1583년), 대제학 등의 요직을 맡으며 별탈 없이 승진해 나갔다. 상주(尙州) 목사로 나가 예절로 다스렸으며 고향에서 어머니의 병을 간호하던 중 함경 감사·대사성 등에 연달아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예조 판서 재직 중 위주 목사 서익(徐益)이 소를 올려 그를 간신이라 탄핵하니 물러나기를 청하고 3년 동안 고향에 내려가 있었다. 형조 판서로 부름을 받고 대제학을 겸했다. 1590년 다시 예조 판서에 이르러 역옥(逆獄)이 일어나자 많은 사대부와 함께 그 이름이 죄인의 글에 나타났으므로 사퇴를 청하였으나 왕은 이조 판서에 옮겼다가 이어 우의정에 승진시키고 광국 공신(光國功臣) 3등으로 풍원 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하였다.

이듬해 좌의정과 이조판서를 겸하다가, 건저 문제로 정철을 비롯한 서인의 처벌이 논의될 때 온건파인 동인에 속하여 정철을 처벌하는 데는 찬성하지만 서인 전체를 처벌하는 것에는 반대한다며 강경파인 북인의 일원인 이산해와 대립하였다. 또한 좌의정에 재직 중 일본이 그들의 군사를 명나라로 들여보내겠다는 국서를 보냈는데 영의정 이산해는 이를 묵살하자고 했으나 성룡은 이 사실을 중국에 보고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그대로 실시하였으므로 뒷날에 명나라에 조선에 대한 의심을 풀게 하였다.

1591년 선조가 명장을 천거하라고 했을 때 성룡은 권율·이순신·원균 등을 천거하여 뒷날에 나라의 간성이 되게 했다. 이 중 이순신은 전라도에, 원균은 경상도에 각각 배치되었으며 그 결과 이순신이 조선을 일본으로부터 구원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4도 도체찰사(四道都體察使)가 되어 당쟁과 전란 속에서 조선의 조정을 총지휘하게 된다. 이때 왕을 모시고 송도(松都)에 이르러 영의정이 되었으나 신잡의 말에 따라 그 날로 사퇴하고, 평양에서 소동을 일으킨 난민들을 진정시키고 조정에서 북행(정확하게는 북행하여 압록강을 넘어 명나라로 들어가자는 의견)을 말하는 자가 많았으나 홀로 의주로 향할 것을 주장하여 뒷날에 명나라 구원의 길을 열게 하였다.

또한 일본의 군사적 도발을 근본적으로 저지하기 위해서는 국방 안보 체제를 제대로 확립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운 뒤 훈련도감을 설치하여 화기 제조, 성곽 수축, 병사 조련 등 군비 확충에 총력을 기울였다. 더불어 여러 신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순신과 권율 등의 명장을 대거 등용하였다. 이듬해 관서 도체찰사(關石體察使)가 되어 안주에 있으면서 백성들을 직문하고 군량을 준비하다가 명나라 장수 이여송을 만나 평양의 지도를 주어 전투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파주까지 진격하여 일본군을 궁지로 몰아붙이는 한편 일본의 간첩 수십 명을 잡아 적의 연락을 끊었다.

이순신이 역모를 당하자 유성룡은 이순신의 편에 서서 이순신을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 이순신을 참수형에 처해야 한다는 조정의 논지를 일단 유성룡의 이 발언으로 이순신의 처벌에 대해 토론하게 되는 상황이 되었으며 뒤이어 정탁이 상소문을 올려 이순신은 참수형 대신 백의종군을 하게 조치했다. 이때 살아남은 이순신은 복직 후 명량해전에서 대활약을 하여 조선을 또다시 구하게 된다.

다시 영의정에 보직되었다가 1598년 명나라 장수 정응태가 조선이 일본을 끌어들여 명나라를 공격하려 한다고 본국에 무고한 사건이 일어나자 이 사건의 진상을 해명하러 가지 않는다는 정인홍 등 북인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삭탈 당했다.

이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한 그는 조용히 저술에 몰두하였는데, 그 후 2년 만인 1600년에 복권되어 정부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일체 응하지 않았다. 1604년(선조 37) 호성(扈聖) 공신에 책록되었다. 1607년 음력 5월 6일 6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사당을 병산서원 뒤에 세우고 여산(廬山)의 퇴계묘(退溪廟)에 함께 모셨다.

<일화>

* 류성룡은 바둑의 고수로 이와 관련된 유명한 일화들이 전해지고 있기도 하다.

* 류성룡은 의학과 침술에도 조예가 깊어서 허준에게 의학과 침술에 대한 많은 조언을 하였다고 한다.

* 살아 생전 류성룡은 너무나 청렴했던 삶을 살았던 탓으로 장례비가 없었는데 이를 듣고 많은 백성들이 제수용품을 싸들고 문상을 왔다고 한다.

* 그가 죽었을 때, 세상 사람들이 모두들 “류성룡이 아니었다면 우리들은 지금 이렇게 살아있지 못했을 것이다.”라며 애석해 하였다고 한다.

* 류성룡의 십만양병설 반대일화는 후대 류성룡과 반대정파였던 서인들이 자신들 정파의 타당성을 부여하기위해 허구로 꾸며진 일이라고 한다.

관련자료

댓글 2

김동운님의 댓글

이 시대에도 유성룡 대감 처럼 몸을 사리지 않고, 입바른 소리와 인재를 발굴하는 안목을 가진 지도자는
진정 없단 말인가?

틈틈이 역사적 인물을 소개해주신 해관님께 감사드린다.

정해관님의 댓글

<서애 유성룡과 충무공의 교우>
중구의 충무로는 일제 때 본정통(本町通)이라고 불렸으나, 해방 후인 1946년 10월 1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가가 있던 곳이어서 충무로로 고치게 됐다.
통설에는 8살 때, 혹은 12살, 15살 때 외가로 낙향했다는 설이 있는데, 어릴 때 같은 마을에 살았던 서애 유성룡의 연보에 의하면 유성룡은 외가인 의성에서 태어나 13살 때 서울로 상경했다고 되어 있다. 이순신과 유성룡의 나이가 3살 차이인 것을 감안하면 유성룡이 이순신을 서울에서 만났다면 적어도 이순신이 10살이 되어야 한다. 또 서로 잘 알 수 있는 사이가 되려면 적어도 몇 년은 함께 교류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선조실록(권 84)에 선조가 서애 유성룡에게 이순신이 어떤 사람이냐고 묻는 대목이 나오는데 서애는 “신의 집이 순신과 같은 동네였기 때문에 어렸을 적부터 잘 아옵니다”라고 대답하고 있다. 따라서 세 살 위인 서애 유성룡과의 관계를 보면 이순신은 적어도 10살이 넘어서 외가로 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哀李統制(애이통제)

閑山島在何處(한산도재하처)
大海之中一點碧(대해지중일점벽)
古今島在何處(고금도재하처)
渺渺南溟橫一髮(묘묘남명횡일발)
當時百戰李將軍(당시백전이장군)
隻手扶將親天半壁(척수부장친천반벽)
鯨鯢戮盡血殷波(경예륙진혈은파)
烈火燒竭馮夷窟(열화소갈풍이굴)
功高不免讒妬構(공고불면참투구)
力戰不憚身殉國(역전불탄신순국)
君不見(군불견)
峴山東頭一片石(현산동두일편석)
羊公去後人垂泣(양공거후인수읍)
凄凉獨在一間屋(처량독재일간옥)
時有蜃戶來奠酒(시유신호래전주)

<이 통제사를 애도함>

한산도는 어디에 있는가
드넓은 바다 가운데 두어점 푸르렀네.
고금도는 어디에 있는가
멀고 먼 남쪽 바다에 한 가닥 머리카락처럼 빗겨 있네.
당시에 백전백승을 거둔 이 장군이
한 손으로 하늘의 절반을 붙들었네.
왜적을 다 무찌르니 물결은 피로 물들었고
거센 불길은 왜적의 소굴도 다 태워 없앴네.
공훈은 높았지만 모함과 시샘의 구죄(構罪) 면하지 못했으니
몸 사리지 않고 힘껏 싸워 나라 위해 몸 바쳤네.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현산 동쪽 언덕의 비석 하나를,
양공이 죽은 후에도 그의 덕을 흠모해 눈물 흘리네.
처량하다, 사당 한 칸만이 외로이 있으니
때때로 조개잡이 어부들이 와서 술잔을 올리네.

ㆍ이통제(李統制) :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장군을 지칭함.
ㆍ양공거후인수읍(羊公去後人垂泣) : 양공(羊公)은 진(晉)나라 양호(羊祜)임.
맹호연(孟浩然)의 <흥제자등현산(興諸子登峴山)>가운데 "양공비자재
(羊公碑字在) 독파루점금(讀罷淚沾襟)"이 있음.

<위 그림은 유성룡의 모든 것을 볼수 있는 세계문화 유산 안동의 하회마을>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