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광장
회원논단

첩어로 이뤄진 한자성어(참고 하셔요.中편)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怏怏之心(앙앙지심) : 불만족스럽게 여기는 마음.

揚揚自得(양양자득) : 뜻을 이루어 뽐내고 꺼덕거림.

(애지중지) : 매우 사랑함을 말함.

餘裕綽綽(여유작작) : 모자라지 않고 넉넉한 모양.

營營逐逐(영영축축) : 세리(勢利)를 얻기 위하여 분주히 왔다갔다 함.

否(왈가왈부) : 옳다거나 그르다거나 말함.

樂樂水(요산요수) : 산수(山水)의 자연을 즐기고 좋아함.

寥寥無聞(요요무문) : 명예나 명성이 드날리지 않음.

(우왕좌왕) :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종잡지 못함.

鬱鬱不樂(울울불락) : 마음이 답답하고 즐겁지 않음.

(유야무야) : 있는지 없는지 흐릿한 모양.

唯唯諾諾(유유낙락) : 명령하는 대로 언제나 공손히 승낙함.

悠悠度日(유유도일) : 하는 일 없이 세월만 보냄.

類類相從(유유상종) : 동류끼리 서로 내왕하며 사귐.

悠悠自適(유유자적) : 자기 하고 싶은 대로 느긋이 사는 일.

悠悠蒼天(유유창천) : 한없이 높고 푸른 하늘.

意氣揚揚(의기양양) : 득의에 차 있는 모양.

(이심전심) :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달되는 것.

(이열치열) : 열은 열로써 다스림.

足(자급자족) : 자기의 수요를 자기가 생산하여 충당함.

縛(자승자박) : 제 마음씨나 언행으로 제가 옴쭉 못하게 옭혀듦.

子子孫孫(자자손손) : 자손의 여러 대(代).

棄(자포자기) : 실망 타락 때문에 자기의 형편 전도를 파괴하고 돌보지 않음.

讚(자화자찬) : 스스로 자신을 칭찬함.

所(적재적소) : 적재를 적당한 지위에 씀.

前途揚揚(전도양양) : 장래의 발전성이 큰 모양.

(전무후무) :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

轉轉乞食(전전걸식) : 정처 없이 돌아다니면서 빌어 먹음.

戰戰兢兢(전전긍긍) : 매우 두려워하여 조심함.

正正堂堂(정정당당) : 태도 처지 수단 따위가 꿀림이 없이 바르고 떳떳함.

諸說紛紛(제설분분) : 이러쿵저러쿵 말이 많은 것.

濟濟多士(제제다사) : 쟁쟁한 여러 선비.

(좌지우지) : 마음대로 처리함.

遲遲不進(지지부진) : 매우 더뎌 잘 진척되지 않음.

己(지피지기) : 적의 사정과 나의 사정을 자세히 앎.

陳陳舊債(진진구채) : 아주 오래 묵은 빚.

(중언부언) : 이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함.

관련자료

댓글 1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