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광장
회원논단

현대시9. 논 개 ---변영로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현대시9. 논 개 (論介)

변영로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도 깊고

불붙는 정열은

사랑보다도 강하다.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아리땁던 그 아미

높게 흔들리우며

그 석류 속 같은 입술

<죽음>을 입맞추었네!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흐르는 강물은

길이길이 프르리니

그대의 꽃다운 혼

어이 아니 붉으랴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신생활> 3호(1923. 4)

임진왜란 때 진주의 義妓 論介가 촉석루 술자리에서 왜장 게다니무라 로꾸스께(主谷村六助)의 목을 안고 남강에 몸을 날려 순국한 史實을 소재로 한 명시.

수법으로는 상징시, 내용으로는 서정시, 수사법으로는 반복법, 댓구법이 쓰였다.

卞榮魯 (1898~1961) : 호는 樹州. 서울 출생. 중앙학교 중퇴하고 기독교청년회관 영어반 졸업후 모교의 영어교사가 됨. 그 후 미 캘리포니아주 산토세대학 졸업. 14세에 영시 <코스모스>를 발표. <폐허>의 동인. 이화전문 교수. 동아일보 기자. 성균관대 교수.

시집 <조선의 마음>, 영시집 <진달래> <명정>. 서울시 문화상 수상.

관련자료

댓글 3

정해관님의 댓글

이것만 있으면....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가 싸우고 있었다.
여자 아이가 인형을 각지고 놀리며 말했다.

"너 이렇게 예쁜 인형 본 적 있어?
난 이런거 백개 있다!!"

열받은 남자 아이는 자랑할 게 뭐가 있을까 잠시 생각을 하다가 자기 고추를 꺼내 보이며 말했다.

"흥! 넌, 이런거 없지?"

여자 아이는 자기 몸을 이리저리 더듬어도 그것이 없자 울면서 집으로 뛰어갔다.
잠시 후 여자 아이는 생글생글 웃으며 돌아왔다.
그 여자 아이는 자기 치마를 번쩍 들어올리며 말했다.

"우리 엄마가 그러는데, 이것만 있으면 나중에 그런 거 얼마든지 가질 수 있대!!"


정해관님의 댓글

변영로 (한국 시인) [卞榮魯]
논개, 생시에못뵈올님, 봄비, 명정40년, 한국시인

1897. 5. 9 서울~1961. 3. 14 서울.
시인.
1920년대 감상적이며 병적인 허무주의에서 벗어나 시를 언어예술로 자각하고 기교에 중점을 두었다. 호는 수주(樹州). 아버지 정상(鼎相)과 어머니 강재경(姜在卿) 사이에서 3남으로 태어났다. 서울 재동보통학교를 거쳐 1910년 중앙학교에 입학했으나 1912년 졸업을 앞두고 퇴학당했다. 1915년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학교 영어반을 6개월 만에 수료하고 1918년 모교인 중앙학교 영어교사가 되었으며, 이때 명예졸업생으로 졸업했다. 1919년 3·1운동 때는 독립선언서를 영문으로 번역해 해외에 발송하는 일을 맡았고, 1920년에는 〈폐허〉의 동인으로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1923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강사로 영문학과 조선문학을 강의했으며, 1931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대학에 입학해 2년 동안 공부했다. 1933년 귀국해 동아일보사 기자, 〈신가정〉 주간, 〈신동아〉 편집장 등을 역임했으며, 문우회관(文友會館)을 운영하기도 했다. 1946년 성균관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취임했다가 1955년 〈불감(不感)과 부동심(不動心)〉이 '선성모욕'(先聖侮辱)이라는 필화사건으로 사직했다. 1954년 국제 펜클럽 한국본부 초대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이듬해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펜클럽 대회 한국대표로 참가했다.

1921년 〈신천지〉에 〈소곡 5수〉를 발표한 데 이어 〈신생활〉·〈동명〉 등에 여러 작품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1924년에 펴낸 시집 〈조선의 마음〉으로 한국문단에서 주목받는 시인으로 부상했다. 〈페허〉의 동인이면서도 〈백조〉류의 낭만성이 짙은 작품을 발표한 그는 비교적 건강한 서정성과 민족정신을 드러내고 있다. 우선 그의 아름다운 서정성은 초기의 자유시들과 후기의 시조들에서 볼 수 있다. '나즉하고 그윽하게 부르는 소래잇서/나아가 보니, 아, 나아가 보니'로 시작되는 〈봄비〉(신생활, 1922. 3)와 '생시에 못뵈올님을 에나 뵐가하여/가는 푸른고개 넘기는 넘엇스나'로 시작되는 〈생시에 못뵈올 님〉(폐허 이후, 1924. 1) 등 초기시에 나타나는 연이나 행의 반복에 따른 표현의 기교와 음수율로 인한 음악적 요소의 강화는 후기에 와서 시조 〈고흔산길〉(시문학, 1930. 5)·〈곤충 9제〉(문장, 1941. 4)를 통해 더욱 정제되고 세련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특히 서정적 가락과 민족애가 함께 어우러진 〈논개〉에서는 상징과 은유, 그리고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그 물결 위에/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그 마음 흘러라'라는 붉음과 푸름의 회화적인 색채대비를 통해 민족에 대한 일편단심을 노래하고 있다. 논개에 대한 찬양은 자신의 민족애를 반영한 것으로 민족혼의 되새김을 통해 좌절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한편 〈논개〉와 주제면에서 일치하고 있는 〈조선의 마음〉에서는 당대의 현실 속에서 "조선의 마음을 어대가 차즐가?"라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직설적으로 표현해 민족적 울분을 대변하고 있다.

1930년을 기점으로 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고전문학부흥운동을 시조창작으로 구체화했다. 그러나 1940년대에는 작품활동이 저조했으며, 1950년대에는 주로 수필을 많이 썼다. 수필집 〈명정 40년〉(1953)은 그의 솔직한 심정과 풍자·해학·기지를 엿볼 수 있는 작품집이다. 그밖에 평론으로 〈메테를링크와 예이츠의 신비사상〉(폐허, 1921. 1)·〈종교의 오의(奧義)〉(신천지, 1921. 7) 등을 발표했고, 시집으로 〈수주시문선 樹州詩文選〉(1959)·〈차라리 달 없는 밤이 드면〉(1983) 등을 발표했으며, 수필집으로 〈수주수상록〉(1954)·〈명정반세기〉(1969) 등이 있다. 1948년 제1회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받았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