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호 Dr의 부처님에 대한 논문 2편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종교칼럼―
사월 초파일과 석가모니 탄신일
김 주 호/철학박사. 2지구 UPF 종교국장
석가모니 탄신일은 지금까지도 정확히 알 수 없어 추측만 무성할 뿐이다. 기독교인들이 예수의 탄생일을 모르는 것과 같다. 음력으로 2월8일과 4월8일, 4월15일, 12월8일, 양력 5월15일 이밖에 베사카 달(태양력의 5월쯤)의 제8일 또는 15일 등 알려진 것만도 여러 설이 있으나 그 어느 것도 정설로 인정된 것이 없다.
정확한 탄신일 몰라 추측만 무성
당나라 태상(太常)이던 단성식(段成式)이 저술한 《유양잡조전집(酉陽雜俎前集)》과 《정이교론(正二敎論)》, 청나라 강희제(康熙帝, AD.1662~1735) 38년에 장계종(張繼宗)이 편저한 《역대신선통감(歷代神仙通鑑)》에는 가빌라국 정반왕의 왕비인 마야부인이 아이를 낳지 못하다 22년만인 계축년에 낮잠을 자다 태몽을 꾼 날이 음력 4월8일이라 했다. 즉, 하얀 코끼리 이빨 16개가 입속으로 퍼져 들어오는 것을 삼켰는데 왼손을 든 어린아이가 오른쪽 갈비뼈를 가르고 나타나 일곱 발자국을 걸으면서 사자 같은 울음소리를 지르며 말했다.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天上天下唯我獨尊).’
여기서 각종 문헌을 근거로 잉태는 2월8일이고 탄생은 이로 부터 10개월 후인 12월8일, 득도는 33세(또는 35세) 을유년(乙酉年) 되던 해 2월8일 묘시(卯時: 오전5시~7시)라는 연구가의 제시도 있다. 불교경전(經․律·論)에는 석가탄신일을 2월8일 또는 4월8일이라고도 했다. 그러나 공인된 정설은 아니다.
상좌부(테라바다) 불교권인 태국은 석탄일을 ‘웨삭’ 또는 ‘웨사크’ 라고 하며 영어로 풀문데이(Full Moon Day)라고 하는데 음력 4월15일이다. 인도차이나 지역 불교권과 스리랑카, 인도 등이 모두 이날에 봉축 한다.
이렇듯 석가모니 탄신일이 서로 달라 각각 지내게 됨에 따라 일어나는 혼란을 막고 공통된 기념일을 제정한 회의가 1956년11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서 열린 제4차 세계불교도(WFB)대회였다. 이 대회에서 양력 5월15일을 세계불교도들이 공통으로 기념하는 석가탄신일로 결정한 것이다. 또 이 대회에서는 불교연대를 불멸후 2500년을 서기 1956년으로 결정 했다(운허 지음, 《불교사전》).
이렇듯 4월8일이 사실상 석가모니의 탄신일과는 무관함에도 한국 중국 일본 동양 3국은 오랜 옛적부터 4월초파일(일본은 양력)에 연등을 밝히고 봉축해 왔다. 우리 동이족은 왜 하필이면 이날을 기리는가.
본래 해모수의 북부여 건국 축제일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은 《역사일감》(歷史日鑑, 1947)에서 “옛날부터 있어 온 1년 중의 명절이 대게 어른들을 위하는 날이었으나 딱 한번 아동을 위하는 명절이 4월8일, 보통 ‘파일’이라고 부르는 날 이었다”며 ‘파일’이라 이름 하여 기리는 명절이 오랜 옛적부터 있었음을 말했다. 그는 또 “서기전 59년 ‘4월 초8일’에 해모수(解慕漱)가 요(遼)의 땅 흘승골성(訖升骨城)에다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워 이름을 북부여(北扶餘)라 했다. 스스로 천제자(天帝子)라 일컬었다”고 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북부여기(北扶餘記)》 《단군세기(檀君世紀)》 《조대기(朝代記)》 등에는 47세 단군 고열가(古列加) 57년 임술 년 4월 초8일에 해모수가 웅심산(熊心山)에 하강하여 북부여를 세우고 천제자의 자리에 즉위 했다고 전한다. 고열가 단군을 끝으로 단군고조선은 막을 내리고 해모수단군에 의해 북부여로 계승 된다. 이날을 기념하고 축하하는 행사로 관등경축(觀燈慶祝)이 거국적으로 펼쳐졌다고 한다.
4월8일은 불교가 전래되기 이전부터 천제자인 해모수의 북부여 건국기념일로서 본래부터 등(燈)을 달고 경축해 왔던 민족적인 대축제일 이었던 것이다. 해마다 이날에 있었던 전통적인 민족축제가 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에 까지 이어 졌으나 제17대 소수림왕(小獸林王) 2년(372) 불교가 들어와 세력화 하면서 점차 석가모니 탄신일로 바뀌고 말았다는 것이 민족사상 연구가들의 주장이다.
오탁악세(汚濁惡世)의 사바(娑婆)에 허우적거리는 무명 중생을 건지려 몸을 나투신 이 경사스런 석가모니부처님 오신 날을 봉축함은 마땅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사월 초파일’이 있게 된 민족사적 의의를 더하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 칼럼 2 -
석가부처님은 단군의 자손 우리 東夷族이다
김 주 호/철학박사. EyTV 부회장
네팔의 룸비니 동산. 마야부인의 몸에서 태어난 가비라국 정반왕의 실달다 태자. 29세에 출가하여 35세 까지 설산(雪山) 염부주(閻浮洲: 神州)에서 6년간 고행 수도하고 대각하여 80세에 입멸(入滅) 할 때 까지 45년간 설하신 법을 통해 고해에 허우적거리는 중생구제에 생을 헌신하신 석가모니 부처님. 그 석가세존의 민족적 뿌리는 어디인가.
석가 족은 어느 민족인가
여기서는 석가의 씨족근원(氏族根源)을 말하고자 한다. 석가 족은 어느 민족인가.
《불교사전(佛敎辭典)》(耘虛龍夏 저)에 화신불(化身佛)인 석가모니 부처님에 대해 서른두 가지의 훌륭한 상(三十二大人相)을 말했다. 이 가운데, 부처님은 온 몸 빛이 황금색 상이라 했고, 머리에는 우리 민족의 고대 풍속인 왕의 상투가 있다고 했다. 이는 석가모니가 넓게 보면 황인종이고, 좁게는 우리 단군민족에 속함을 보여 준다.
석가의 씨족근원은 인도의 드라비다계(系)나 아리아계도 아니며 우리와 같은 단군족(檀君族)임을 밝혀 보고자 한다.
《불교대장경》(제 74책)의 《석가씨보(釋迦氏譜)》를 보면, 석가부처님 성(佛姓)을 구담(瞿曇), 감자(甘蔗), 석가(釋迦), 사이(舍夷), 일종(日種)이라 했다. 《석가보(釋迦譜)》에는 ‘구담’을 일명 ‘사이’라 하고, ‘사이’는 “외국의 귀성(貴姓)”이라 풀이해 놓았다. 이 《석가보》에는 또 ‘감자’는 묘족(苗族)의 후예라 했고, 석가는 단종(檀種), 찰제리(刹帝利)라 했다.
이를 보면 석가의 씨족적 근원은 ‘사이’, ‘묘족’, ‘단종’, ‘찰제리’ ‘일종’ 등 여러 가지로 말해진다. ‘사이’의 ‘夷’는 동이(東夷), 서이(西夷)의 ‘夷’이며, 특히 ‘사이’는 “외국의 귀한 성씨”라 했으니 인도의 원주민도 아니며, 드라비다계도, 아리아계도 아니다. 외부에서 인도 근방으로 이주한 동이나 서이의 일파로서 넓게는 알타이족이라 하겠다.
박시인(朴時仁)의 《알타이 人文硏究》(1985. 361쪽)에 의하면 서이를 알타이족이라 하였고, 동이도 알타이족이므로 사이도 알타이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석가족은 같은 알타이족이라 할 것이며, 석가족과 우리민족은 넓은 의미에서 같은 민족이라 할 수 있다.
석가모니의 탄생지역인 현재의 네팔은 국민의 인종 구성이 극히 복잡하다. 북방으로부터의 몽고인종과 남방으로부터의 인도 아리아계 인종이 주류를 이룬다.
‘묘족’은 국어사전에 의하면 “고몽고계(古蒙古系) 인종(人種)”이라 했다.(이희승. 《국어대사전》 1982. ‘묘족’ 참조) 사실 네팔 사람들의 얼굴 모습도 우리 한국인과 매우 같음을 본다.
영국의 인도사학자 빈센트 스미스(Vincent Smith)도 ‘석존(釋尊)몽고인 설’을 주장했다.(中村元 저. 김지견 역. 『佛陀의 世界』. 171쪽) 주지하다시피 우리민족도 몽고계 인종이며, 동이족이다. 여기에서도 석가족과 우리민족은 매우 같은 민족임을 말해 준다.
또 ‘단종’과 ‘찰제리’ 및 ‘일종’은 직접 우리민족을 가리킨다. 단종은 그대로 ‘단군종족’이란 뜻으로 직접 우리민족을 말하는 것이고, 찰제리도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우리나라 신라왕을 찰제리라 하였으므로 우리민족을 가리킨다.(《三國遺事》 卷 第三, 塔像第四)
일종은 광명을 숭상하는 종족이란 뜻인데 우리민족이야 말로 광명사상을 지녀온 민족이다. 단순히 물리적 존재의 밝은 태양을 숭상한 것이 아니라 철학과 사상, 문화도 ‘밝음’을 지향해온 민족이다. 우리민족의 총체적 사상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바로 ‘한’이다. ‘한’은 ‘밝다’, ‘환하다’, ‘하늘’, ‘하나님’, ‘하나다’ ‘같다’ 등 수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다.
‘배달’은 ‘밝달’→ ‘박달’ 곧 ‘배달’로서 ‘밝은 땅’을 뜻하며, ‘단군(檀君)’ 역시 ‘박달임금’ 곧 ‘밝은 땅의 임금’이며, ‘조선(朝鮮)’이란 나라이름도 ‘아침태양이 빛나는 밝은 나라’라는 뜻이다. 그야말로 어둠과 죄악이 없는 광명한 이상세계가 구현된 나라를 말한다.
석가는 동이족 단군의 자손
석가모니가 단군조선족의 후예임을 밝혀 주는 또 다른 근거 자료를 제시한다. 영국의 권위 있는 옥스포드 사전의 다음과 같은 기록이다.
“Dhanu(dhan?) Raja the name of one of the name ancestors of Sakya- muni.”(《Sanskrit-English Dictionary》. Oxford. p.509)
“단군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선대 조 조상의 한 이름이다.” 이는 단적으로 “석가모니는 단군의 자손”이라는 말이다. 여기서 ‘Dhanu’는 단군의 ‘단(檀)’이며, 특히 괄호 속에 ‘dhan’(단)이라고 까지 표시하여 이를 좀 더 명확히 하고 있다. ‘Raja’는 산스크리트어로서 ‘임금’, ‘왕’, ‘군(君)’이란 뜻이다. 곧 ‘단군’이란 말이다.
그런가 하면, 중국의 3대 문호라 일컫는 사람이 이태백(李太白), 류종원(柳宗元), 한유(韓愈)이다. 한유(768~824)는 하남성(河南省) 창여(昌黎) 출신이며 류종원과 함께 고문(古文)부흥에 힘썼다. 그의 저서 《한창여문집(韓昌黎文集)》 에 〈논불골표(論佛骨表)〉가 있다. 그는 이 책에서 석가가 동이족임을 밝혔다.
“부처님은 본시 선대로부터 동북방 지역의 동이족 사람이다. 모든 중생이 정(情: 여기서는 본성, 생명, 의식 있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음을 깨우치셨다(夫佛本夷狄之人, 佛以覺悟有情 一切衆生)”는 기록이 그렇다.
또 천축(天竺)이란 예전에 중국서 부르는 인도를 일컫는다. 1700년 전 동진(東晉)시대 법현(法顯)스님이 천축국을 찾아나서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12년여 여행하고 《역유천축기전(歷遊天竺記傳)》을 남겼다. 그는 여기서 “천축은 인도에 없다”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천축은 우리 동이족이 살던 강역이다”(임혜경 저. 『천축은 인도가 아니다』)는 주장도 있다.
이처럼 석가의 출생 지명이 구체적으로 명기 되어 있고, 또 그가 분명히 동이족임을 밝혀 보았다.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불교계에선 사찰마다 법요식을 봉행하고 또 연등을 달아 무명에 빠진 중생을 일깨우고 있다.
한편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이 우리와 같은 동이족 조상임을 밝히는 것도 이날의 의미를 더할 것이다. 혼탁한 세상에 위없는 정각에 오르신 부처님의 자비광명이 온 누리에 가득하길 기원하면서.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